왕소군 한나라 원제
왕소군(王昭君, 기원전 1세기)은 흉노의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 복주누약제 선우(復株累若鞮單于)의 연지(선우의 처)로, 본래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다. 이름은 장(嬙, 출전은 한서)이다. 성을 왕, 자를 소군이라고 하여 보통 왕소군이라고 불리며 후일 사마소(司馬昭)의 휘(諱)를 피하여 명비(明妃), 왕명군(王明君) 등으로도 일컬어졌다. 형주 남군(현재의 호북성 사시) 출신으로 양귀비, 서시, 초선과 함께 고대 중국 사대 미인의 한 사람에 손꼽힌다.전한의 원제 시대, 흉노의 호한야 선우가 한나라의 여성을 연지로 달라고 해, 왕소군이 선택되어 그의 장남을 낳았다. (당시의 상황으로 보아 변방의 세력을 달래기 위해 보냈다는 설도 있다.) 이후 호한야 선우가 사망하자, 당시 흉노의 관습대로 아들 복주누약제 선우의 처가 되어 둘째 딸을 낳았다. 한족은 부친의 처첩을 아들이 물려받는 것을 꺼려하여, 이것이 왕소군의 비극으로 민간에 전승되었다. 황량한 초원지대가 대부분이었던 흉노의 땅에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고향땅을 그리며 느꼈을 왕소군의 감정을 당의 시인 동방규는 "소군원"이라는 시에서 노래한다. 그 시구 중에 "봄은 왔으나 봄같지 않구나(春來不似春)"라는 구절은 흉노 땅의 봄을 맞이했음에도 고향 땅의 봄같지 않아 더욱 사무치게 고향이 그립다는 그녀의 애절한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지금도 이 시구인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은 그리움의 인용구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후 72세가 되던 해에 병을 얻어 돌무덤에 안장되었는데, 사람들은 그 무덤을 일컬어 소군묘(昭君墓) 혹은 청총(靑塚)이라고 부른다.
출전[편집]
《서경잡기》에 따르면, 원제는 흉노에게 보내는 여성으로 후궁 중 가장 추한 여성으로 선택하기 위해 초상화에 그려진 가장 보기 흉한 여성을 선택한 것이다. 초상화를 그리던 장인에게 뇌물을 주지 않았던, 왕소군은 가장 보기 흉하게 그려져 있었기 때문에 왕소군이 선택된 것이다. 황제에게 이별을 알리기 위해 마련된 자리에서 원제는 왕소군의 아름다움에 정신을 빼앗겼지만, 어쩔 수 없이 보내고 말았고 격노한 원제는 화상의 목을 쳤다고 한다. 그 후 호한야 선우가 죽고, 횽노의 관습대로 복주누약제 선우의 처가 되었다. 이러한 이야기는 후한 시대의 《서경잡기》(西京雜記)에 실렸던 것이, 진나라 때 왕명군사(王明君辭), 원의 마치원의 잡극 한궁추(漢宮秋) 등으로 작품화 되었다.
관련 작품[편집]
왕소군을 다루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당나라 백거이, 왕소군이수(王昭君二首)
- 왕안석의 명비곡(明妃曲)
- 두보의 영회고적(詠懷古蹟:明妃村)
- 조우(曹禺)의 극본 왕소군(王昭君)
- 한 고종 효원황제 유석(漢 高宗 孝元皇帝 劉奭, 기원전 76년 ~ 기원전 33년)은 중국 전한의 제11대 황제(재위 기원전 48년 ~ 기원전 33년)로, 자는 성(盛)[1] 이다. 선제(宣帝)의 장남이며 허평군(許平君) 소생이다.
- 현실주의자였던 선제와 달리 유교를 중시한 정책을 실시했다. 선제는 황태자가 죽은 애첩인 사마씨(司馬氏)를 그리워해 한탄하고, 슬퍼하고, 이상주의적인 유교에 심취하는 등 너무나 서정적인 성격이어서, 장래의 통치 능력에 의문을 가져 한때는 황태자의 폐위도 검토했다. 그러나, 조강지처인 허황후와의 사이에 태어난 아이라는 선제의 생각이나, 생모의 사촌동생인 중상시 허가(許嘉)와 계모 왕황후에 의해, 왕씨(왕황후=왕정군)와의 사이에 태어난 성제를 이유로 폐립까지 도달하지 않았다.
- 기원전 49년에 즉위 하면 황태자 시대의 학사인 소망지(蕭望之) 등 유생을 등용했지만, 선제시대부터 측근으로서 중용 되고 있던 환관인 홍공(弘恭), 석현(石顯)과 대립해 실각했다. 이후 원제의 치세는 환관에 의해 마음대로 결정되었다.원제는 원정을 앞에 두고, 세금을 경감해, 어려운 형법을 개정하는 등의 정책을 채용하여, 민중의 생활의 안정을 도모했다. 그 외 원제는 대규모 연회를 금지, 수렵용의 별장이나 황실 소유지의 경비를 억제하여 종묘 등 제사에 걸리는 경비를 삭감하고 재정의 건전화를 도모했지만, 재정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 이르지 않았다.그 한편으로 유교에 심취한 나머지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론에 근거하는 정책도 실시되어 전매제를 폐지해 재정을 악화시키는 등 국정을 혼란시켰다. 선제에 의해 중흥 된 국세는 다시 쇠약해져 원제의 황후 왕씨 일족으로부터 나온 왕망의 찬탈의 요인을 만들어 냈다. 후한의 역사가 반표(班彪)는 그 치세를 「우유부단으로 하여 선제의 업적 쇠약해졌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가족 관계[편집]
4남 4녀를 두었으나, 후손이 번성하지 못해 마지막 손자 평제의 사망으로 원제의 직계 혈통이 단절된다.- 황후 : 효원황후 왕씨(孝元皇后 王氏)
- 장남 : 성제 유오(成帝 劉驁) - 전한의 12대 황제
- 장녀 : 양아공주
- 후궁 : 소의 부씨(昭儀 傅氏)
- 후궁 : 소의 풍씨(昭儀 馮媛)
- 후궁 : 첩여 위씨(婕妤 衛氏)
- 3녀 : 평양공주(平陽公主)
- 후궁 : 미인 동씨
- 4남 : 미상(未詳)
- 후궁 : 양제 사마씨(良娣 司馬氏)
- 후궁 : 왕소군(王昭君)
- 후궁 : 미상(未詳)
- 4녀 : 영읍공주 (潁邑公主) - 생모미상(生母未詳)
연호[편집]
- 황후 : 효원황후 왕씨(孝元皇后 王氏)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