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31일 일요일

변절자로 오해받은 독립운동가 이유필과 흉터치료

변절자로 오해받은 독립운동가 이유필과 흉터치료


이유필(李裕弼, 18851128~19451129)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이다. 호는 춘산(春山). 본관은 경주. 아버지는 이계초(李啓初)이다. 1900년대 초 안창호·전덕기·양기탁 등이 조직한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해 활동하였다. 1912년 일본 정부가 한인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할 목적으로 날조한 105인사건으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고 유배형에 처해져 1년간 진도에 유배되었다. 19193·1 만세 운동이 발생하자 평안북도 의주 등지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고 상하이(上海)로 망명했다.
1919년 임시의정원 창설에 참여하였고 4월 상해 임시정부 내무부 비서국장을 역임했으며, 이광수 등과 함께 임시정부의 기관지 독립신문 창간을 주도했다. 1920년 안창호와 임시정부 선전위원회를 설치하였고 그해 8월에는 미국 상하원의 의원단을 찾아 한국의 독립을 호소했다. 19214월 한·중 양국이 서로 도와 대일항쟁에 공동 대처하자는 취지로 중국인 우산(吳山) 등과 함께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 설립에 참가했다.
1922년 김구, 손정도, 여운형, 조동호 등과 함께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를 조직하고 경리부장이 되었으며 1926년 김구가 노병회 이사장직에서 사퇴하자 후임 이사장에 취임했다. 19238월 한인거류민단 민단장에 선출되어 민단에서 경영하는 인성학교(仁成學校)의 교장도 겸임하였다. 이어 잡지 민성 民聲등을 창간, 발행하였다.
19241216일 임시정부 내무총장이 되었으며, 192510월에는 국무위원 겸 재무부장이 됐다. 19301월 독립투쟁전선통일을 목표로 김구·조완구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 조직하는데 참여하였고 한독당 총무이사로 피선되었다. 이봉창, 윤봉길 거사 이후19333월 상하이에서 일본영사관 경찰에게 체포되어 한반도로 송환,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일제강점기 말기 1944년에는 조선건국동맹에 참여해 활동했다.
19458·15 해방 이후 건국준비위원회활동을 하게 된다. 건준이 인민위원회로 전환하자, 평안북도 임시인민정치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소련군이 한반도 이북지역에 진주하자, 조만식 등과 함께 반공지도자가 되어 활동하였다. 그러나 소련군이 진주한 이후 김일성을 비롯한 공산주의세력이 영향력을 행사하자 월남하였다. 그 뒤 월남 도중 3.8선 근처인 청단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2016731일 오전 11시에 방송된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는 억울하게 누명을 쓴 독립운동가 이유필의 이야기가 담겼다.
독립운동가 이유필은 3.1 운동 주동자로 경찰에게 쫓기자 상해로 떠났다. 이후 임시정부 내무총장직을 맡은 이유필은 안창호와 함께 미국 상원의원들에게 독립운동을 도와달라 호소하고, 독립운동가 자제들의 교육을 담당했으며 이에 백범 김구, 도산 안창호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신망 높은 독립 운동가로 활동했다. 윤봉길 의사가 1932년 상해에서 일본군 지위부를 향해 폭탄을 던지자 이유필을 비롯한 임시정부 관계자들은 윤봉길의 의거를 사주한 죄목으로 또다시 쫓기게 된다. 김구를 비롯한 이들은 모두 중국 항저우로 떠나지만 이유필만은 상해에 남는다.
1년 후 이유필은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고 말았다. 그러나 이유필은 한 달 후 풀려났고, 이에 임시정부 관계자들은 쉽게 풀려난 이유필에 대해 의문에 휩싸였다. 심지어 상해에서는 이유필이 체포된 게 아니라 자수한 것이라는 소문이 떠돌았는데, 이유필이 독립운동가들의 기밀정보를 자백할테니 풀어달라고 요청했다는 것. 이에 변절한 것이 틀림 없다고 생각한 임시정부 관계자들은 이유필을 임시정부에서 제명시킨다.
이 모든 소문은 일본 순사들의 짓이었다. 이유필은 한국 국적이 아닌 중국 국적이었고, 이에 중국과의 외교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본이 그가 자수했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던 것. 때문에 이유필은 변절자로 낙인찍혀 어렵게 살다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러나 이후 일본 외무성의 극비 문서가 드러나 모든 사실이 밝혀졌다.
 
자신이 한 독립운동가가 아니라 변절자 소문이 나게 해서 얼마나 억울했으면 심장마비로 사망했을 것인가? 안타깝지만 나중에라도 후손이 재판기록을 찾아내서 명예회복을 하니 천만다행한 일이다.
사람도 마음이 자주 변한다. 그런데 그런 사람의 완악한 마음에도 원래의 본 마음이 내재되어 있다. 흉터도 마찬가지이다. 흉터는 단단하고 흉측하게 생겼지만 원래 피부의 모습은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것이다. 이런 처음의 마음의 회복을 이미지한의원의 흉터침으로 가능하게 해준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