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26일 수요일

영화 봄날은 간다 라면 먹고 갈래요와 끓는물화상흉터치료

영화 봄날은 간다 라면 먹고 갈래요와 끓는물화상흉터치료


봄날은 간다(영어: One Fine Springday)2001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각본류장하, 이숙연, 신준호, 허진호등이 맡았다.
8월의 크리스마스를 만든 허진호 감독의 두 번째 작품이며, 이영애, 유지태가 주연을 맡았다. 지방 방송국 아나운서 겸 프로듀서인 은수와 사운드 엔지니어인 상우는 소리 채집 여행을 시작하면서 급속도로 가까워진다. 어느 날 밤 은수의 아파트에 머물게 된 상우는 정신없이 그녀에게 빠져든다. 상우는 이 사랑이 영원할 것 같지만 이미 이혼의 경험이 있는 은수는 사랑이 변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헤어지자는 은수의 말에 상우는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라며 지독한 상처로 고통스러워한다. 지방라디오방송국 PD 은수(이영애)와 녹음기사 상우(유지태)는 자연의 소리를채집해 들려주는 프로그램을 함께 제작하면서 급속히 가까워진다.
그러나 첫 만남엔 곧 균열이 생긴다. 사랑을 보는 눈높이가 달라서다. 상우는 사랑을 소리처럼 테이프에 채록해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믿는다.
반면 "이혼녀" 은수는 "애정의 휘발성"을 너무 일찍 알아버렸다. 이혼의 상처는 이별에 대한 내성마저 길러줬다. 상우가 은수에게 던진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란 말은 주제를 함축한다.
상우는 번민끝에 "사랑의 생채기"를 추억으로 승화시키는 법을 터득한다. 벚꽃이 만발한 노변에서 두 연인의 재회와 작별하는 장면은 특히 인상적이다. 서서히 포커스가 흐려지는 은수의 모습은 그녀가 상우의 기억속에서 조금씩 잊혀질 것임을 상징한다.
그러나 멈칫멈칫 돌아보는 행동들에서 이들은 훗날 서로에게 "아름다운 추억"으로 기억될 것임을 예고한다. 다른 한 축으로 전개되는 상우 할머니의 연애담도 "사랑=추억"이란 등식을 제시한다. 치매걸린 할머니는 늘 기차역에 나가 "숨진" 할아버지를 기다린다.
그 기다림은 자신을 아껴주던 젊은 시절의 남편을 향한 것이지 바람을 피웠던 중년의 남편에 대한 것이 아니다. 중년 이후 남편에 대한 기억은 할머니의 기억에서 이미 소멸됐다.
할머니는 "버스와 여자는 떠난 다음 잡지 않는 거란다"는 말로 상우가 아픔을스스로 이겨내는 길잡이 노릇을 한다. 제목속의 "봄날"은 사랑의 순간을 뜻한다.
이영애와 유지태는 섬세한 감정의 결을 과장없이 드러내 보여준다. "사랑했지만 이혼할 수도 있는" 은수의 캐릭터는 변화무쌍한 여심을 대변한다. 두 사람이 눈부신 산하를 배경으로 사운드를 채록하는 장면들도 긴 여운을 남긴다.
삼척 대숲을 흔드는 바람소리, 정선 아우라지의 물소리, 맹방해수욕장의 파도소리, 노부부의 정선 아라리 이중창, 강진 보리밭이 일렁이는 소리들은 순수한 사랑처럼 언어세계 너머에 존재한다.
보리밭에서 은수의 허밍 녹음소리를 들으며 상우는 추억을 되새긴다.봄날은 그렇게 지나간다. 그러나 "속도의 시대"에 펼쳐지는 "느림의 미학"은 할리우드영화에 길들여진영화팬들에게 다소 따분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느린 장면전환, 삶의 미묘한 행간을 포착한 에피소드들은 관객의 능동적 참여를 요구한다. 이영애는 "사랑의 감정을 아는 사람들이 이 영화의 관객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유지태 : 상우 역
이영애 : 은수 역
백성희 : 할머니 역
박인환 : 아버지 역
신신애 : 고모 역
백종학 : 초대손님 역
손영순 : 작은 할머니 역
이문식 : 녹음실 선배 역
박선우 : 상우 친구 택시기사 정국 역
엄효섭 : 순경 역
김미경 : 밴드부 선생님 역
음악감독은 조성우가 담당했다. 영화와 동명인 곡 봄날은 간다는 자우림의 김윤아가 노래했다.
또한, 이 영화 중반부에 흐르는 곡인 언젠가 우리 다시 만나면은 유희열이 작사 및 작곡을 한 토이의 곡이며, 5집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 보컬은 김연우이다.
은수 역의 이영애는 해당 영화 때문에 KBS 2TV 명성황후 캐스팅 제의를 고사했는데 이 드라마와 똑같은 정통 사극인 KBS 1TV 태조 왕건 , KBS 2TV 장희빈 캐스팅 물망에 한때 거론된 바 있었다.
필자가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라면 먹고 갈래요?" 라고 이영애(한은수 역)이 말한 것이다. 이 말뜻에는 사랑을 나누자는 말을 돌려 표현한 것인데 라면은 인스턴트적이고 허기만 때우는 목적이 강하기 때문에 결혼은 하지 않고 그냥 원나잇 스탠드 사랑만하자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위 라면 먹고 갈래요는 수많은 패러디를 만들며 유행어가 되었다.
그런데 라면은 양은냄비처럼 빨리 끓지만 빨리 사라지고 식고 불어 못먹게 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라면의 즉석음식의 개념을 영화에서 잘 표현했다고 본다.
실제 라면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컵라면 국물을 쏟거나 끓인 라면을 모르고 발로 차서 발에 화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화상으로 끝나면 다행이지만 나중에 화상흉터로 발전되고 첫사랑의 날카로운 유리파편처럼 두고두고 지워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화상흉터를 한방 피부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www.imagediet.co.kr 이미지 피부과 한의원에서는 화상흉터침인 BT침으로 치료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