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0월 9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향약구급방 국어자료

<국어학 자료>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1. 자료 해설: 鄕藥救急方은 13세기 중엽 大藏都監에서 간행된 우리나라의 옛 醫藥書이다. 현재 初刊本은 전하지 않고, 조선 태종 17년(1417)에 간행된 重刊本만이 전한다(일본 궁내성 서릉부 소장). 이 책에는 약재로 사용된 180여종의 식물, 동물, 광물 등에 대한 요약된 설명이 실려 있는데, 차자표기로 향명들이 표기된 예들이 있어 국어 자료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2. 향약구급방의 국어 자료

漢語名
借字表記
解讀(南豊鉉)
李德鳳의 解讀
1. 葛根
叱乙根, 叱乙
즐불휘, 즐
칡불휘
2. 乾藕
蓮根
년
연근
3. 決明子
狄小豆
되(ㄱ)
되
4. 京三稜
結次邑根,
結叱加次
갇불휘,
갖불휘

가지불휘
5. 鷄冠
鷄矣碧叱
의볏
의볏
6. 戒火(景天)
塔菜
탑
탑
7. 苦蔘
板麻
널삼
너삼
8. 苦瓠
朴葉, 朴
박닙(닢), 박

9. 括萋
天叱月乙
天原乙
天乙根
하
하
하불휘

하
하불휘
10. 螝
迴之木
횟나모
회의나모
11. 蕎麥
木麥
메밀
메밀
12. 韭
厚菜
후
후
13. 薤
海菜
薤菜
海菜白根

해
불휘

14. 瞿麥
石竹花
鳩目花
셕듁화
구목화
석죽화
비둘기눈곳
15. 蠷진*
影伊汝乙伊
影良汝乙伊
그르메너흘이
그르메너흘이

그리매널
16. 蚯蚓
居乎
居叱□□
居兒乎
휘
거휘(?)
휘


거호





17. 芎藭
芎□草
蛇休草
蛇避草

얌말이플
얌두러기플
말풀
쉬풀

18. 葵子
阿夫實
아보
아부→아
19. 菌(毒)

地瘡
木凔
(?)



20. 桔梗
道羅次
刀次
도랒

도랏
도랏
21. 糯米
粘米


22. 蘿葍
唐정實
唐정
대무
대무
당무

23. 落蹄
態月背
곰

24. 薍子
小蒜根
月老, 月乙老

뢰

노
25. 藍
靑台
靑苔
靑乙召只
쳥

플족

청태
풀소기비
26. 狼牙草
狼矣牙
일히의엄
이릐엄
27. 蘆根
葦乙根
불휘
불휘
28. 露蜂房
?蜂家
쇼벌집
쇠벌집
29. 鸕鶿
烏支
가마오디
가마오지물새
30. 廘角
少蔘矣角
사
사삼의
31. 膽
?老
?로

32. 當歸
黨貴菜
旦貴菜
당귀
당귀초

33. 大戟
楊等柒根
楊等柒
버들옷불휘


버들옷
34. 大麥
包衣, 包麥
包衣末
보
보
포래
35. 大蒜
汝乙
마
마널
36. 獨走根(馬兜鈴)
勿叱隱阿背
勿叱隱提阿
勿兒隱提良
슨아
슨아
?아
말즌배?
말즌뎨아?
말안뎨라?
37. 獨活
虎驚草
-둘흡
호경초, 범노리새?
38. 麻子
?乙


39. 馬齒莧
金非陵音
金非音
쇠비름
̋

쇠비름
40. 蔓菁子
眞菁實
무수
무
41. 麥門冬
冬乙沙伊
冬沙伊
겨사리
̋

겨울사리





한어명
차자표기
해독(남풍현)
이덕무의 解讀
42. 麥飯石
粘石
돌
돌
43. 麵
眞末


44. 茅香
置伊有根
置伊存
뒤잇불휘
뒤잇
두잇

45. 無患(木患)
木串子
夫背也只木實
모관
부븨여기나모여름

부배야기
46. 木賊
省只草
속새
살기풀
47. 牡蠣甲
屈召介甲
屈召介
굴소개겁질
굴조개

굴조개
48. 牡鼠矢
雄鼠糞
수(ㅅ)쥐
수쥐
49. 蕪荑
白楡實
한느릅
흰느릅나모
50. 薄荷
芳荷
방하
방하
51. 半夏
雉矣毛老邑
雉矣毛立
의모

모롭
모립
52. 白歛
犬伊刀叱草
犬刀叱草
犬刀次草
가히돗플


가이돗풀


53. 白朮
沙邑菜
삽
삽
54. 百合
犬伊那里根
犬乃里花
가히나리불휘
가히나리곶
개나리곳

55. 蘩蔞
見甘介
보개(?)
보달개
56. 麩
只火乙
기블

57. 腐婢花
小豆花
곶

58. 浮萍
魚矣食
魚食
고기밥
고기밥

59. 射干
虎矣扇根
虎矣扇
범의부체불휘


범의부채
60. 蛇床子
蛇音置良只菜實
얌두러기
뱀도라기
61. 蒴藋
馬尿木
오좀나모
말오좀나모
62. 山茱萸
數要木實
수유나모여름
수요나모
63. 酸棗
三㫆大棗
사미대조
삼미대조
64. 商陸
者里宮根
者里宮
章柳根
쟈리공불휘
자리궁
쟝류근


장류불휘
65. 橡實
猪矣栗
돝밤
의밤
66. 黍米
只叱


67. 薯蕷
亇(?)
마디, 맏(?)
마□
68. 石決明
生鮑甲
생보겁질
포겁질
69. 蟾蜍
豆何非
두허비
둣허비
70. 細辛
洗心
셰심
세심→세신
71. 小麥
眞麥
밀
참밀
72. 蘇子
紫蘇實
소
자소





한어명
차자표기
해독(남풍현)
이덕무의 해독
73. 水藻



74. 菘菜
無蘇
무수
무소
75. 升麻
雉骨木
雉鳥老草
티골목(?)
됴로플
골나무
마로플
76. 柴胡
靑玉葵
猪矣水乃立
山叱水乃立
椒□
쳥옥규
돝므나리
묏믈나리
(?)

의나리
묏나리

77. 夜合花
沙乙木花
살나모곶
살나모곳
78. 藜蘆
箔草
박새
박새
79. 蠡實
□□花
筆花
--곶
붇곶

붓곳
80. 䕡茹
烏得夫得
五得浮得
오보/우득부득
오보/우득부득
오득부득

81. 鉛
那勿
나
나말
82. 燕脂
你叱花
니시(닛)곶
닛곳
83. 羚羊角
山羊角
산양
산양의
84. 烏鷄
黑鷄
검

85. 蜈蚣
之乃
지내
지내
86. 萵苣
紫夫豆菜
紫夫豆
부두


자부두
87. 芋
毛立
모
모립
88. 牛膝
牛膝草
쇼무릎플
쇠무릅
89. 牛溺
牛矣小便
쇼오좀

90. 郁李
山叱伊賜羅次
山梅子
묏이랒
산자
묏이사라지

91. 雄隺矢
雄鳥屎
鳥屎
수새
새
숫참새의똥

92. 遠志
非師豆力草
阿只草
비두도플
아기플
비사두갈풀
아기플
93. 威靈山
豹尾章
能消
車矣菜
표미초(?)
능쇼
술위


술의나물, 수리나
94. 蝟皮
高參猪
苦參猪矣皮
고돝
고토갗

고삼돋의겁질
95. 薏苡
豆訟
伊乙每
伊乙梅
두숑
이을믜



일
96. 茵蔯蒿 加
火左只
더블자기
더불우기
97. 蚌(虫)
所也只
소야기
소야기
98. 紫菀
迨加乙
扡加乙
갈

태갈
땅갈




한어명
차자표기
해독(남풍현)
이덕무의 해독
99. 雀麥
鼠衣包衣
鼠包衣
쥐의보
쥐보
쥐포
쥐포리
100. 楮
茶只葉
多只
닥닙(닢)



101. 剪草
騾耳草
나귀플
노새귀풀, 나귀풀
102. 葶藶子
豆衣乃耳
豆音矣薺
두의나
두름의나

두름의나이
103. 薺苨
獐矣加次
獐矣皮
노갖(갗)

돋모짓
놀갗
104. 蠐螬
夫背也只
부븨여기
부배야기
105. 皂莢
注也邑
鼠厭木實
주엽
쥐염나모여름
주얍
쥐염나모여름
106. 枳
只沙里皮
只沙伊
기사리거플
기사리
기사리겁질
기사리
107. 地膚子
唐橻伊
唐橻
대리


당리
108. 地楡
苽菜
瓜菜
외


외
109. 蜘蛛
居毛伊
居毛
거믜


거모
110. 秦皮
水靑木皮
水靑木
믈프레나모거플(겁질)

물푸레나모겁질

111. 蒺藜子
古冬非居參
고비거
고들비거삼
112. 車前子
大角古
吉刑菜實
?
길형

기형(경)
113. 蒼耳
升古亇伊
刀古休伊
도고마리

돗고마리

114. 菖蒲
消衣亇
松衣亇
숑마(소마?)


소리마
115. 天南星
豆也亇次火
豆也味次
두여맞불
두여맞

두야밋
116. 蜀椒
眞椒
진죠

117. 茺蔚
目非也次
目非阿次
눈비얒
눈비앚
눈비얏

118. 漆姑
漆矣於耳
漆矣母
옷어

옷의어이
옷의어이
119. 澤瀉
牛耳菜
쇼귀
소귀나믈
120. 土苽
鼠苽根
鼠瓜
쥐외불휘
쥐외

쥐외
121. 菟絲子
鳥伊麻
새삼
새삼
122. 通草
伊乙吾音蔓
伊屹烏音
이흘옴너줄
이흘옴

이흘옴




漢語名
借字表記
解讀(남풍현)
이덕무의 解讀
123. 藊豆
汝注乙豆
너줄콩
너줄콩
124. 胞衣
□□音
―ㅁ

125. 蒲黃
蒲추上黃粉
助背추
부들마치우횟누른
(조마치? 도마치?)

조배방망이
126. 萆麻子
阿叱加伊實
阿次加伊
아가리
아가리
아즈가리

127. 鶴蝨
狐矣尿
여오좀
여의오좀
128. 玄蔘
心回草
心廻草
심회초


심회초
129. 荊芥
□□汝只
―너기

130. 胡挑
唐楸子
당츄

131. 胡麻
荏子

임자
132. 滑石
膏石
곱돌
고돌
133. 黃芩
所邑朽斤草
精朽草
솝서근플


솝서근풀
134. 黃蓍
甘板麻
數板麻
目白甘板麻
널삼
수널삼
눈널삼

두너삼
단너삼
135. 黃蠟
黃密
누른밀

136. 丹毒
所乙


137. 發背癰疽
包 刀(叱?)
보곰돗?

138. 附骨疽
骨無伊
(?)뮈

139. 疣目
斤次左只
(근자기? 자기?)

140. 癮疹
豆等良只
置等只
두드러기


141. 齒齼
齒所叱史如
니솟다

142. 猘犬
狂犬
미친가히

143. 熨斗
多里甫伊
多里甫里
다리브리


144. 母
乳母
젖어미

145. 牽牛子
朝生暮落花子
됴모락화(아침에 나서 저녁에 지는 꽃씨)

146. 伏龍肝
竈中卦釜下黃土也


147. 烸炱
釜下黑也
釜腰黑也








󰠏󰠏󰠏󰠏󰠏󰠏󰠏󰠏󰠏󰠏󰠏󰠏󰠏󰠏󰠏󰠏󰠏󰠏󰠏󰠏󰠏󰠏󰠏󰠏󰠏󰠏󰠏󰠏󰠏󰠏󰠏󰠏󰠏󰠏󰠏󰠏󰠏󰠏󰠏󰠏󰠏󰠏󰠏󰠏󰠏󰠏󰠏󰠏󰠏󰠏󰠏󰠏󰠏󰠏󰠏󰠏󰠏󰠏󰠏󰠏󰠏󰠏󰠏󰠏󰠏󰠏󰠏󰠏
** 자료 입력: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민숙, 이영경, 이인영
** 자료 편집: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창석
** 참고 문헌: 남풍현(1981), 借字表記法硏究, 단대출판사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