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0월 30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와인상식

와인 상식..
포도의 품종

카베르네소비뇽

카베르네소비뇽은 보르도의 메독이나 그라브 지역과 같이 배수가 잘되는 자갈밭에서 좋은 와인을 생산한다. 그리고 호주의 테라로사 토양이나 미국의 캘리포니아지역,이태리,스페인,칠레,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호주에서는 시라와 브렌딩되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메를로, 카베르네 프랑과 브렌딩되며 이탈리아에의 수퍼 토스카나가 생산 될 때는 산지오베제와 브렌딩 된다.

포도송이는 중간 크기이며 진한 푸른색을 가지고 있으며 껍질이 두꺼워 병에 강하다. 그리고 늦게 싹이 나와서 늦게 익으며 생산량은 많지 않다. 카베르네소비뇽은 나무가 단단하여 추운 겨울에도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통적으로 참죽나무, 자두, 검정 체리 그리고 스파이시한 향을 가지고 있다.

보르도 대학의 연구원들은 카베르네 프랑과 소비뇽블랑에서 유래되었다고 결론을 내리고있다.와인은 소고기, 양고기, 거위고기와 잘 어울리며 특히 허브가 들어간 음식과 함께 마시면 좋다.또한 브리에치즈, 초코렛과도 잘 어울린다.


시 라


원산지는 이란의 쉬라즈 지방이라고 알려져있다.시라는 프랑스의론 지역과 같은 점판암, 석회암토양에서 잘 자란다.포도송이는 작은 편이고 껍질은 두꺼워 늦게 익는 편이여서 9월 중순부터 10월초에 수확한다.

생산량은 카베르네소비뇽보다 많아 좋은 품질을 원하면 생산량을 조절해야 한다. 론 지역 외에 Hermitage, Cote-Rotie지역과 호주와 캘리포니아에서 많이 재배된다. 그리고 호주에서는 쉬라즈로 불리는데 penfold의 쉬라즈가 유명하다.

시라로 만든 와인은 후추,검정체리,가죽등의 향을 가진다.


메를로


메를로는 여러 종류의 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프랑스의 뽀므롤지역과 같은 점토 토양에서 좋은 와인을 생산한다.포도는 큰 편이고 엷은 껍질을 가지고 있다. 싹은 일찍 나오고 빨리 익으며 생산량은 많은 편이다. 이 역시 보르도 지역에서 최고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탈리아,동유럽,캘리포니아,호주등지에서도 많이 재배된다.

blackcurrant, black cherry, plum, mint향을 가지고 있다.뽀므롤외에 보르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는데 보통 브렌딩하여 와인이 생산되는데 카베르네소비뇽과 시라즈와 잘 브렌딩된다.


게브르츠트라미너


게브르츠트라미너는 이탈리아의 트라민(trimin)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비옥하고 모레가 부식된 진흙땅에서 좋은 와인이 생산되며 수확은 보통 9월 달에 하는 편이다. 또한 차가운 기후를 좋아하며 완전히 익었을 때 산도가 낮다. 생산량은 많은 편이다.

포도는 분홍색을 띠고 있다. 게브르츠는 독일에서 스파이시 하다는것을 의미하며 복숭아와 꽃 향을 가지고있으며 알콜의 함유량이 높다. 포도를 수확하는 시기가 중요한데 이유는 너무 빨리 수확하면 포도의 특성이 부족하고 너무 늦게 수확하면 신맛이 강해진다.

프랑스의 알사스지역이 유명하며 이탈리아의 북부지역,독일,오스트리아,동유럽,미국,호주등지에서도 재배된다. 게브르츠트라미너는 트라미네르로 또한 스위스에서는 Termeno Aromatico로 불린다.


리즐링


리즐링은 독일의 모젤 지역과 같은 배수가 잘되는 점판암토양에서 잘 자란다. 포도는 단단하여 추운 지역에서 잘 견디며 병충해에 강하다. 색은 엷은 색을 가지고있으며 포도에 반점이 있고 송이는 작은 편이다. 보통 싹이 늦게나오며 늦게까지 익는다. 포도나무는 단단하여 서리의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리즐링은 알사스지역과 독일의 모젤, 팔츠, 라인헤센, 라인가우등에서 많이 재배되나 유럽과 미국, 호주등지에서도 재배된다. 리즐링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 독일에서는 Klingelberger, 오스트리아에서는 Rheinriesling, 이탈리아에서 Riesling Renano, 스위스에서johannisberger, 미국에서 Johannisberg Riesling 또는 White Riesling등으로 불린다.

독일 백포도주 중에 가장 우수하며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포도품종중의 하나이며 재배하기 어렵다. 독일의 최상급 포도로서 Sweet하며 산도의 조화가 이루어져 있다. 알이 작은편이며 만숙형이라 10월부터 11월에 완숙된다. 이렇듯 긴 숙성기간에 풍부한 아로마가 잘 형성이 된다. 방향성이 잇는 과일 향, 풍부한 산미와 강한 체질로 장기숙성에 적당하다. 생선과 조개류, 송아지고기, 닭고기 등의 요리에 최적이다.


산지오베제


산지오베제는 석회질과 돌이 많은 지역 그리고 점토토양에서 잘 자란다. 포도는 메마르고 더운 지역을 좋아하고 천천히 익는다.이탈리아의 키안티와 부르넬로 디 몬탈치노의 주 품종이며 아르헨티나, 캘리포니아지역에서도 많이 재배된다. 산지오베제로 만든 와인은 스파이시하고 체리와 raspberry향을 가지고있다.

산지오베제는 토스카나지역에서는 Brunello, Prugnolo Gentile, Morellino,Sangioveto등으로 불린다.


샤르도네


샤르도네는 어떤 토양에서도 잘 적응하는 능력이 있으며 추운 날씨에도 잘 견디며 따뜻한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포도는 송이가 작으며 얇은 껍질을 가지고 있고 싹이 빨리 나와서 빨리 익는다.생산량 또한 많은편이다.

샤르도네는 버건디지역과 샴페인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있다.샴페인지역에서 주품종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버건디지역에서는 향이 좋은 드라이한 화이트와인을 생산한다.세계 여러지역에서 독특한 향과 맛을 내고 있는데 이는 오크통을 사용하여 와인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에 잘 적응할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며 와인은 사과,멜론,배,복숭아,파인애플,스파이시,버터,해즐럿등 여러향을 낼수있다


세미옹


세미옹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재배만 프랑스의 보르도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더운 지역에서는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추운 지역에서는 가벼운 와인이 되기 쉽다. 포도송이는 크고 껍질은 얇은 편이며 일찍 익는다. 생산량은 많은 편이다.

botrytized 와인을 생산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소비뇽블랑과 브렌딩이 잘 된다. honey, clover, cigars, green wood향을 가지고 있다. 세미용은 프랑스의 보르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며 호주와 칠레 그리고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사용된다.


소비뇽 블랑


소비뇽 블랑은 석회질 토양에서 잘 자라며 자갈과 모레가 섞인 토양에서도 잘 적응을 한다. 차가운 지역에서는 포도의 특성이 잘 나타나고 더운 지역에서는 와인이 가벼워질 수 있다. 포도송이는 작은 편이고 껍질은 얇아서 빨리 익는 편이다. 생산량은 보통이다.

소비뇽 블랑은 프랑스의 로아, 쏘테른 지역에서 세미용과 브렌딩된다.세계 여러 지역에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 프랑스에서는 blanc Fume,독일에서는 Muskat-Silvaner,미국에서는 Fume Blanc으로 불린다피노누아


피노누아는 버건디 지역과 같은 석회암지대에서 좋은 와인을 생산한다. 추운 지역에서 잘 자라지만 너무 추운 지역에서는 잘 익지 않고 더운 지역에서는 아로마를 잃을 수 있다. 포도송이는 촘촘하게 열리고 껍질은 얇은 편이여서 빨리 익어서 8월말에서 9월에 수확한다.

검정체리, 스파이시, 레즈베리향을 가지고 있다. 생산량은 적은 편이다. 프랑스의 버건디 지역외에 상파뉴 지역에서도 중요한 품종이다. 독일에서는Blauburgunder로 이탈리아에서는 Pinot Nero로 불린다.



와인 테스팅



와인을 테스팅 하는 이유는 첫째로 와인에 이상이 있는지를 구별하기 위해서이고 둘째는 당신이 좋아하는 와인인지 아닌지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와인을 테스팅할 때에는 어떤 방법으로 해도 좋으나 가장 중요한것은 다른 사람이 얘기한 것에 대한 선입관을 없애는 것이다. 보다 능숙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며 테스팅을 많이 하면 할수록 잘 하게 된다. 와인은 색깔에서 여러 가지 특성을 파악할수 있다.

색깔은 포도원에서의 성장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더운 여름이나 건조한 가을 날씨에서 자란 포도는 완전히 익은 상태이고 껍질이 두꺼워져 진한 색깔을 낸다. 반면에 시원한 여름날씨나 수확기에 비가 오면 색깔이 약간 엷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사람은 10000여 가지의 냄새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

와인에는 500여 가지의 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향을 생각하면서 와인을 입 속에 한 모금 넣는다. 그리고 10-15초 정도 입 속에 머무는 것이 좋다.입안 전체를 적셔서 와인의 맛을 음미하고 목과 코를 이용하여 아로마를 느낀다.


테스팅 순서

1.가능하면 와인글라스 뒤에는 하얀색 종이나 천을 대고 본다.

화이트와인은 숙성되면서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색이 탁해지면 young하다는 뜻이다. 녹색이면 body가 가볍고 차가운 지역의 와인이고 약간 노란빛을 띠면 따뜻한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이다. 레드는 기본적으로 포도 품종에따라 색이 좌우된다. 와인의 가장자리를 보면 자주빛 색은 young한 full-bodied인 와인이고 루비색은 보졸레같은 라이트한 와인이다.

2.아로마가 나올수 있도록 흔들어 냄새를 맡는다.

와인의 냄새는 곧 테스팅이다. 향에는 포도가 가지고 있는 아로마와 숙성하면서 만들어진 부케가 있다.냄새를 맡고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구별한다. sancerre의 와인은 고양이오줌, 버건디의 레드 와인은 농장의 흙냄새가 특징이라고 한다. 좋은 와인의 대부분은 좋은 냄새를 가지고 있다. 이런 냄새는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fruity, floral, spicy, vegetal, earthy, woody등이다.

3. 와인을 한 모금 마셔서 입 속에서 돌린다.

그리고 이빨 사이로 또는 코를 통해서 공기를 빨아들이면 잔 속에 있는 와인을 흔들 때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런 다음 와인의 구성분 즉 texture(round, smooth), body(full, light), balance(당분,산도,알콜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를 알아낸다. 처음 느낌이 좋은가? 라는 질문을 자신이 해보고 좋으면 아주 좋은 와인이다. 마지막으로 끝 맛은 보통 "길다" "짧다"로 표현한다. 좋은 와인일수록 집약되고 많은 향을 가지고 있으며 입안에 향이 오래 남아있다.*

와인 용어해설

ACETIC ACID:모든 와인은 아세트산을 가지고 있으나 양은 극히 적어서 0.03%에서 0.06%정도이다. 냄새나 맛으로 알아볼 수 없다 0.07%가 넘으면 신맛이 난다

ACID:와인에는 4개의 주요 산이 있다. 이는 타르타르산, 말산, 락산, 시트르산등 이다

ACIDIC: 전체적으로 산이 많을 때 사용하는 표현

ACIDITY: 균형이 잘 되어있는 와인에서 산도는 0.6%에서 0.75%까지이다. 보르도지역과 버건디지역, 호주, 미국등지에서는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곳도 있다

ACRID: 약간 쓴맛이 있거나 곰팡이 냄새가 날 때 사용하는 표현 황이 많을 때 생기는 현상이다.

AERATION: 와인을 공기와 함께 접촉시키는 것. 공기는 와인을 부드럽게 한다

AFTERTASTE: 와인을 맛본 뒤에 입에 남아있는 맛이나 향

AGGRESSIVE: 탄닌이나 산이 많을 때 사용하는 좋지 않은 맛

ALCOHOL:발효하는 동안 당분에 이스트를 첨가하거나 자체적으로 작용하여 생기는 화학성분. 에틸알콜

ALCOHOL BY VOLUME: 테이블와인에서 14%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라벨에 있는 양보다 1.5%정도 가감이 가능하다

AMERICAN OAK: 카베르네, 메를로, 진판델을 숙성시킬 때 많이 사용된다. 프랑스산 오크통이 500달러정도인데 비해 약 250달러정도
AMERICAN VITICULTURAL AREA (AVA): 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에서 정한 포도 재배지역 예를 들면 나파밸리, 소노마밸리등이다

APPEARANCE: 와인의 맑음 정도. 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APPELLATION: 포도가 자란 지역을 나타내는 말. 규정은 나라마다 다르다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AOC): 1930년대에 시작된 프랑스의 appellations시스템. 품종,포도의 익은 정도, 알콜의 양, 포도의 생산등을 규정하고 있다

AROMA: 발효된 포도로부터 나는 냄새

ASTRINGENT: 탄닌과 높은 산도로 인한 거친 느낌

AUSTERE:깊이와 서로성분이 불균형을 이루고 산도가 높을 때의 표현 보통 young한 와인이나 body가 부족 할때 사용

AWKWARD:맛과 향이 불균형을 이룰때 사용하는 표현

BACKBONE: full-bodied이고 structure가 잘되어있고 산도가 적당 할때 사용하는 표현

BACKWARD: 같은 해에 수확하여 같이 만든 와인중에 숙성정도가 느린 와인

BALANCE: 어느 한가지 성분이 우세하지 않고 여러성분이 잘 균형을 이룬 상태

BIN NUMBER: cask number참고

BLANC DE BLANCS: 샤르도네만 사용하여 만든 샴페인

BLANC DE NOIRS: 피노누아나 피노메니에르도 혼합하여 만든 샴페인

BLUNT: 좋은 향이 적고 다른 향이 강하고 알콜 양이 많을 때 사용하는 표현

BODY: 와인의 무게나 향이 많은정도의 느낌. 보통글리세린과 알콜,장분의 조화를 나타낸다.full-bodied, medium-bodied, medium-weight, light-bodie로 표현

BOTRYTIS CINEREA: "Noble Rot"라고도 불린다. 기후조건으로 인해 포도가 줄어들어 향, 당분, 산등이 농축된 상태. 프랑스의 소테른, 독일, 토케이와인등이있다

BOUQUET: 병입후 또는 숙성후에 생기는 냄새

BRAWNY: 강한 맛과 탄닌을 많이 함유한 와인을 나타내는 표현. 반대되는 표현은 elegant
BRIGHT: 신선하고 잘 익은 포도로 만든 향이 풍부한 young한 와인

BRILLIANT: 아주 맑은 와인을 가리키지만 여과된 와인을 뜻하기도 한다.

BRIX: 포도, 포도액, 와인의 당분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이는 수확기의 포도의 익은 정도를 나타낸다.대부분의 테이블와인은 21-25brix를 가진다.

BROWNING: 완전히 숙성하여 상했을지도 모르는 상태의 와인의 색깔

BRUT:드라이한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

BUTTERY: 버터나 그을린 오크통 향을 가지고 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

CARBONIC MACERATION: 이산화탄소가 있고 으깨어지지 않은 포도의 발효.

CASK NUMBER: 특별한 뜻이 없는 특별한 와인에 사용되는 용어

CEDARY: 오크통에서 숙성된 카베르네소비뇽등 참죽나무의 냄새를 나타내는 표현

CHAPTALIZATION: 발효 전후 또는 발효중에 설탕을 첨가 하는것

CHARMAT: 스파클링와인의 대량생산

CLEAN: 향이 아주 신선할 때 사용하는 표현

CLOUDINESS: 와인의 맑은 정도가 부족한 상태. 이스트에 의해서 상했을 가능성이 있음

CLOYING: 산, 알콜, 향등이 균형 되게 있지 않고 아주 당분이많은 와인

COARSE: 탄닌이나 오크향이 너무 많을 때 사용하는 표현

COLD STABILIZATION: 와인의 온도를 차게 하여 녹지 않는 고형 물질등을 가라앉게 하는것

COMPLEXITY: 향, 맛등 여러 요소가 완벽하게 잘 조화를 이루는 아주 좋은 와인을 말한다

DECANTING: 와인을 마시기 전에 침전물을 걸러 내는것

DELICATE: 피노누아나 리즐링에서 볼수 있는 light에서medium-weight까지의 와인중 좋은 와인

DEMI-SEC: 샴페인용어, 중간정도 단것을 의미
DENSE: 여러 향이 응축됨을 보여주는 young한 와인을 표현 할때

DEPTH: 아주 좋은 와인에서 여러 향들이 골고루 내포되어 있을 때의 표현

DIRTY: 좋지 않은 저장통이나 코르크를 사용하여 냄새가 좋지 않은 와인을 표현 할때 사용

DRY: 당분을 느끼지 못하는 정도의 와인 .보통 당분은 0.5-0.7%일때 느끼게된다.

DUMB:young한 와인이 아로마와 향을 발전시켜 나가 가는 것.

EARTHY:좋은 의미와 나쁜 의미 둘다 사용된다. 와인이 맛이 있고 깨끗할 때와 탁 할 때

ELEGANT:향과 여러 요소가 잘 균형 되어있고 좋은 와인

ENOLOGY:와인학. oenology.

ESTATE-BOTTLED:자신의 포도원에서 생산하여 병입한 와인

EXTRA-DRY: 특별한 의미가 없으나 이런 글씨가 있는 와인은 주로 sweet하다.

EXTRACT: 과일의 향과 맛이 있다는뜻. 좋은 와인을 말할 때 사용한다.

FADING: 색과 과일 향이 부족 할때 사용하는 표현

FAT: Full-bodied이고 알콜이 많고 신맛이 적을 때 사용하는 표현

FERMENTATION: 이스트가 당분을 알콜과 이산화탄소로 분해 하는 것

FIELD BLEND: 한 포도원에 여러 품종의 와인을 경작하여 수확할 때 한꺼번에 수확하여 하나의 와인을 만들 때

FILTERING: 발효 후에 여러 침전물을 걸러내는 것.

FINING: 벤토나이트나 젤라틴을 이용하여 와인을 투명하게 하는 것

FINISH: 와인을 마시고 남은 끝맛.

FLABBY: 부드럽고 신맛이 덜한 와인

FLAT: 신맛이 덜한 와인 flabby의 다음단계. 샴페인에서 거품을 잃은 상태.

FLESHY: 탄닌이 아주 적고 부드러운 와인.
FLINTY: 소비뇽블랑처럼 아주 드라이한 화이트와인.

FLORAL : 꽃의향. 화이트와인에서 사용하는 표현

FRENCH OAK: 전통적인 저장통.바닐라,참죽나무,버터스카치향을 준다. 하나에 500달러정도

FRESH: 깨끗하고 과일 향을 가지며 싱싱한 와인.

GRACEFUL:여러 요소가 잘 균형 되어있고 마셔서 좋은 와인

GREEN: 덜 익은 포도로 만든 와인이나 그 맛.

GRIP: 와인의 맛이 좋고 탄닌이 적당한 와인

HARD: 산도가 많고 탄닌이 많은 와인 ,YOUNG한 레드 와인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

HARSH: 탄닌과 알콜이 많은 와인.

HAZY: 투명하지 않은 와인

HEARTY: 레드 와인에서 알콜이 많고 full-body인 와인

HEADY: 알콜의 도수가 높은 와인

HERBACEOUS: 와인에서 허브의 향과 맛이 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

HOLLOW: 향이 부족한 와인

IMPERIAL: 4-6리터이 큰 병의 와인

LEAFY: 약간의 허브향과 식물의 향을 가지고 있다는 뜻.

LEAN: 과일 향이 약간 부족하다는 표현.

LEES: 발효중간 또는 발효가 끝나고 배럴이나 탱크에 남아있는 침전물.

LEGS: 와인은 흔들고 난 후 잔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것.

LENGTH: 와인을 마신후 맛이나 향이 입안에 남아있는 시간.

LIMOUSIN: 프랑스의 Limoges지역에서 생산된 오크통
LIVELY: 신선하고 과일향이 많으며 밝은 빛을 가진 와인

LUSH: 당분이 많고 부드러운 맛을 가진 와인

MACERATION: 발효 중에 포도의 껍질에서 탄닌과 아로마를 빠르게 추출하는 것

MAGNUM: 1.5리터의 병에담긴 와인

MALIC: young한 와인에서 볼 수 있는 녹색 사과향

MALOLACTIC FERMENTATION: 와인에서 일어나는 두 번째 발효. 말산을 락산과 이산화탄소로 바꾸는 발효

MATURE: 숙성이 다되어 마셔도 되는 와인

MEATY:여러성분이 잘 균형을 이루고있는 레드와인에서 사용하는 표현

METHODE CHAMPENOISE: 병속에서 2차발효를 하여 만드는 샴페인 좋은 샴페인은 대부분 이방법을 이용

METHUSELAH: 6리터용 크기의 와인 병

MURKY: 레드 와인에서 색이 너무 진하여 맑지 못한 상태

MUST: 포도를 으깨어서 만든 발효되자 않은 포도 쥬스

NEBUCHADNEZZAR: 15리터용 크기의 와인

NEGOCIANT (NEGOCIANT-ELEVEUR): 포도나 와인을 사들여 자신의 이름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상인. 버건디지역에서 많이 볼수 있다.

NOBLE ROT: Botrytis cinerea참고.

NONVINTAGE: 여러 해의 와인을 브렌딩하여 만들어진 와인

NOSE: 후각으로 느낄 수 있는 와인의 특성

NOUVEAU: 가볍고 과일 향이 많으며 young한 와인 .보졸레지역에서 많이 사용.

NUTTY: 산화된 와인을 표현 할때 사용.nutty
OAKY: 숙성된후에 오크통이나 배럴의 향과 맛이 배어 있을때 사용하는 표현

OFF-DRY: 당분을 거의 감지할 수 없는 약간 sweet한 상태

OXIDIZED: 공기에 오래 노출되었거나 색이 변하여 오래된 사과 향등의 향을 가진 와인

PERFUMED: sweet하고 꽃의 향이 많은 화이트와인

PHYLLOXERA: 포도나무의 뿌리를 공격하는 병. 19세기에 유럽에서 퍼짐.

POTENT: 강하고 힘이 있는 와인

PRESS WINE (or PRESSING): 화이트와인은 포도를 으깬 후에 그리고 레드 와인은 발효 후에 압착하여 만드는 와인

PRIVATE RESERVE: 와인너리에서 가장 좋은 와인에 붙이지만 법적으로 규정이 없다.

PRODUCED AND BOTTLED BY: 병입된 와인의 75%이상을 한 와이너리에서 으깨고 발효시켜 병입한 와인

PRUNY: 너무 익었거나 마른 포도송이로 만든 와인

PUNGENT: 신맛이 강하고 좋은 향을 가진 와인

RACKING: 찌꺼기제거와 공기접촉을 위해서 와인을 다른 저장통으로 옮기는 것.

RAW: 탄닌, 알콜, 신맛이 강한 Young한 와인

REDUCED: 공기와 접촉하지 않은 와인

RESIDUAL SUGAR: 발효되지 않고 남아있는 당분

RICH: 좋은 향이 많고 달콤하며 여러 성분이 잘 조화 되어있는 와인

ROBUST: full-bodied이고 강하고 좋은 향을 가진 와인

ROUND: 부드럽고 탄닌이 많으며 여러 성분이 잘 조화된 와인

RUSTIC: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지거나 그런 맛을 내는 와인

SALMANAZAR: 9리터용 와인 병
SMOKY: 오크통에서 숙성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향.

SOFT: 신맛과 탄닌이 약한 와인

SPICY: 계피, 클로버, 민트향, 후추향등을 가진 와인

STALE: 신선하고 young한 와인의 특성을 잃은 와인

STALKY: 포도의 줄기나 잎등의 맛과 향을 가진

STRUCTURE: 산, 탄닌, 글리세린, 알콜등 여러 성분의 상호작용. 또는 입에서 느끼는 성분들의 느낌.

SUBTLE: 신맛과 알콜등이 골고루 있는 와인

SUPPLE: 탄닌, body, 오크통의 특성이 잘 어우러진 레드 와인

TANKY: 탱크에서 너무 오래 숙성되어 좋지 않은 맛을 가진 와인

TART: 신맛이 강한

TERROIR: 포도가 자라고 있는 환경의 총칭

THIN: body나 맛의 깊이가 엷은 와인

TINNY: 금속성의 맛을 가진 와인

TOASTY: 오크통에서 숙성된 와인의 향.

VEGETAL: 식물이나 채소의 향과 맛을 가진 와인

VELVETY: 향이 아주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화려한 맛을 가진 와인

VINICULTURE: 와인학

VINOUS: 포도품종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보통의 와인

VINTED BY: 다른 포도원에서 대량으로 사들여 병입한 와인

VINTNER: 생산자

VITIS VINIFERA: 전통적인 유럽의 포도의 종류

VOLATILE (Volatile Acidity): 산도가 너무 강한
YEAST: 당분을 알콜로 변화시키는 균주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