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19일 월요일

초두난액의 머리가 타고 이마가 그을림과 화상흉터치료

초두난액의 머리가 타고 이마가 그을림과 화상흉터치료


화약 [gunpowder] 은 충격이나 마찰 · 압력 · · 전기 등 가벼운 자극으로 급격한 화학변화를 일으켜 원래의 체적에 비해 많은 가스와 열을 발생하는 화합물이나 혼합물에 대한 총칭이다. 주로 독약이나 화기(火器)에 사용한다. 처음 화약은 중국 연단술사(煉丹術士)들이 단약(丹藥)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한 것이다. 동진(東晋) 갈홍(葛洪)포박자(抱朴子)에는 단약 제조에 유황(硫黃)과 초석(礎石)이 사용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지만, 아직 화약과는 무관하다.
그러나 당나라 초기의 약학자 손사막(孫思邈, 581~682)이 찬술한 단경(丹經)』 「내복유황법(內伏硫黃法)에는 이른바 복화(伏火)’를 제조하는 처방을 상술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유황과 초석이 각각 2()씩 든 항아리에 조각자(皁角子, 쥐엄나무 열매의 씨) 3개를 넣고 불을 지펴 불꽃이 일어날 때 목탄(木炭) 3()을 넣는다. 목탄이 3분의 1쯤 탔을 때 불을 끄고 혼합물을 꺼내는데, 그것이 바로 복화.
채동번의 중국 역사소설 15http://bit.ly/1QNA0Rl 를 보면 다음과 같은 전쟁 장면이 등장한다.
江陰故典史閻應元, 夙諳兵法, 爲城中士紳推擧, 一意抗清, 清將軍勒克德渾, 曾遣降將劉良佐往攻
강음고전사염응원 숙암병법 위성중사신추거 일의항청 청장군륵극덕혼 증견항장유량좌왕공
강음의 예전 전사 염응원은 병법을 잘 알아 성안에 신사의 추천 천거를 받아 한뜻으로 청나라에 항거하려고 하니 청나라 장군인 륵극덕혼은 일찍이 항복 장수 유양좌를 보내 공격하게 했다.
那城上的守具, 一是毒矢, 一是火磚, 一是木銃, 毒矢射人卽死, 火磚着人卽燃, 木銃中儲火藥, 投下時, 機發木裂, 火藥猛爆, 所當立靡, 這都是閻應元監工造成, 用禦敵軍
나성상적수구 일시독시 일시화전 일시목총 독시사인즉사 화전착인즉연 목총중저화약 투하시 기발목열 화약맹폭 소당입미 저도시염응원감공조성 용어적군
木銃:훈련 따위에 쓰기 위하여 나무로 만든 총 모양의 것
猛爆(터질 폭; -19; bào): 아주 많은 폭탄을 떨어뜨려 어떤 목표물을 맹렬하게 파괴함
성위 수비도구는 첫째는 독화살이며 둘째는 불 벽돌이며 셋째는 나무총으로 독화살은 사람을 쏘면 곧 죽고 불벽돌은 사람에 붙으면 불타고 목통은 화약을 담고 있어서 투하하면 방아쇠가 발사되면 나무가 터져 화약이 맹렬히 폭발하니 곧 쓰러져 이는 모두 염음원이 조성을 감독하여 적군을 막는데 사용함이다.
良佐的部兵, 圍攻數日, 多燒得焦頭爛額
량좌적부병 위공수일 다소득초두난액
焦头烂额 [jiāo tóu làn é]머리를 그슬리고 이마를 데다 대단히 낭패하고 곤경에 빠진 모양 불을 끌 때
유량좌의 부하병사는 며칠 포위공격하다 많이 머리가 타고 이마를 데였다.
 
전쟁무기에 불 벽돌과 화약을 쓰는 것은 불에 대한 인간의 원초적인 공포심으로 싸우는 것이다. 전쟁에서도 화공법을 사용하여 공격하는 것이 병법서에서도 기재되어 있다.
화약폭발이나 불화살로 몸에 화상흉터가 발생하는데 현대인은 직접적인 불보다는 끓는 물에 의해서 화상흉터가 대다수 생긴다. 이런 화상흉터는 이미지한의원의 화상흉터침인 BT침으로 진피 콜라젠을 자극 재생하며 기혈 순환을 도와 치료하게 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