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 29일 수요일

많은 사랑의 박애 폴리 아모리와 출산율 배 튼살치료

많은 사랑의 박애 폴리 아모리와 출산율 배 튼살치료


많은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폴리(poly)’사랑이라는 뜻의 라틴어아모르(amor)’의 변형태인 아모리(amory)’의 합성어로, 서로를 독점하지 않는 다자간(多者間) 사랑, 즉 두 사람 이상을 동시에 사랑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파트너의 동의 하에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는 점에서 바람 피우기또는 스와핑과는 구별된다. 폴리아모리를 지향하는 사상을 폴리아모리즘(polyamorism), 폴리아모리를 행하는 이들을 폴리아모리스트(polyamorist)라고 한다.
폴리아모리스트들은 전통적인 혼인 관계에 집착하지 않고 한 사람에 얽매이지 않는 연애 생활을 추구한다. 이들은 모노가미(monogamy) 즉 일부일처제가 인간의 본성에 맞지 않는 결혼 제도라 하여 이를 비판하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여러 파트너와의 다양한 관계를 통해 삶이 더욱 풍요로워질 수 있다고 믿는다. 많은 사람들이 성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폴리아모리를 바라보고 있지만 폴리아모리스트들은 파트너에 대한 헌신과 친밀감 등의 정신적 유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폴리아모리를 행하는 이들 중 일부는 여러 파트너로 이루어진 그룹을 형성하여 해당 그룹 안에서 다양한 정신적·육체적 관계를 맺으며 일종의 가족 관계를 이룬다. 이들은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아이를 함께 키우고, 재산도 공유하는데 이런 형태의 집단혼을 폴리피델리티(polyfidelity)라고 부른다.
일부다처제 또는 일처다부제 등의 복혼제를 뜻하는 폴리가미(polygamy)가 종교적 또는 지역적 전통에 의하여 규범화된 결혼 제도라면, 일부일처제라는 기존의 규범에서 벗어나 공동체 가족 관계의 새로운 결혼 형태를 제시하는 폴리아모리는 문화적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폴리아모리 운동은 1970년대부터 태동하였고, 1990년대에 들어 성정치적·문화적 화두로 대두되었으며,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동성결혼에 이은 차세대 인권운동의 패러다임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의 사회심리 전문가들은 2009년 현재 미국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50만 명이 넘는 폴리아모리스트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폴리아모리를 옹호하고 지원하는 모임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984년 설립된 러빙 모어(Loving More)’라는 단체이다. 이 단체는 잡지를 발행하고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일 년에 두 차례씩 정기 모임을 연다.
 
Anton J.님의 글중에서
 
복혼(複婚, polygamy)은 배우자가 2명 이상인 혼인형태, 즉 복수의 아내나 남편을 가지는 형태이다. 배우자가 한 명인 단혼의 반대말이다. 복혼제는 일부다처혼(一夫多妻婚, polygyny), 일처다부혼(一妻多夫婚, polyandry), 집단혼(集團婚, group marriage)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일부다처제는 한 남편에 다수의 아내가 있는 혼인 형태로, 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의 섬들, 아메리카 인디언 사회의 일부에 이 제도가 남아 있는데, 특히 이슬람 지역에 많다. 이슬람 지역에서 일부다처제 전통이 있는 이유는 이슬람이 세금징수를 통한 공동체의 생존을 위해 정복전쟁을 할 당시 과부들이 많이 생겼기 때문에 이들을 배려하기 위한 것이었다. 현대사회에서는 복지를 국가의 의무로 생각하여 직업교육등의 복지제도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슬람이 태동한 고대사회에서는 여성가장을 위한 복지가 없었다.
일처다부제는 한 아내에 다수의 남편이 있는 혼인 형태로, 인도의 토다족과 티베트의 하층민 사회가 일처다부제로 유명하다. 주로 가난한 계층에서 얼마 안 되는 재산을 여러 형제가 나누어 가지면 모두가 살기 어렵기 때문에 재산을 공유하는 것처럼, 여러 형제가 한명의 아내와 생활한다. 이때 남자가 여러 명이므로 각각 기간을 정해 생활한다.
집단혼은 여러 명의 남녀가 서로 공동의 배우가 되는 혼인 형태이다.
1861년 스위스의 J.바흐호펜이 <<모권론>>에서 원시시대에는 난교적 성관계과 모권제가 행하여졌다고 기술한 것을 계기로, 유럽과 미국의 학자들이 혼인=가족 이라는 진화의 도식을 발표하였다. 미국의 L.H.모건의 저서 <<고대사회>>(1877)는 난교집단혼대우혼단혼의 역사적 발전도식을 주장해 학계의 큰 영향을 끼쳤다. 19세기말 이래 호주의 W.슈미트, 영국의 B.말리노프스키, 핀란드의 F.웨스터마크 등이 원시시대에서도 단혼제가 보편적이었다고 주장한 뒤로, 오늘날 원시시대의 난교나 집단혼을 부정하는 학설이 지배적이다. 다만 부부만이 성을 독점하지 않고, 공동체 성원에게 개방되어 있었다. 이를 모건은 '프나르아혼'이라 하여 집단혼의 1형식이라 보았으나 실제로는 성의 공유였다. 형제형 일처다부제나 자매형 일부다처제의 복혼형태와, 그 수반현상인 레비레이트혼이나 소로레이트혼이라는 선호적 재혼형식도 이성적 공유관계에서 파생된 것이다. 한국 역사에서 가족, 호의 범위가 형태가 제도화되는 것은 조선왕조에 들어와서이다. 왕조는 복혼을 금지하고 단혼을 제도화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화로 처첩제가 생기는 문제도 있었다.
일부다처제가 허용되는 국가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리비아, 요르단, 모로코, 레바논, 이집트, 이라크, 알제리 등이 있다.
<꾸란 4:3> 만약 너희가 고아에게 공평하게 대해 줄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이 있다면 결혼을 할 것이니 너희 마음에 드는 여인으로 둘, , 또는 넷을 취할 것이다. 그러나 그녀들을 공평하게 대해 줄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이 있다면 한 여인이나 아니면 너희 오른 손이 소유한 것을 취할 것이다. 만약 너희가 그들을 공정하게 대할 수 없다는 두려움이 있거든, 오직 한 여자와 결혼하라.
일처다부제가 허용되는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을 중심으로 한 네팔 일부 지역과 아마존 몇 개 부족 등이 있다.
필자 생각에는 일부일처는 폐지되고 폴리 아모리등 여러 형태가 나타날 것이다. 아내가 결혼했다는 영화를 보면 손예진이 두 남자와 사는 폴리가미polygamie ‘[pɔligami] 1. 일부다처제,일처다부제 가 등장하는데 사문화되었던 일부다처제[polygyny]도 다시 등장할 수 있다.
필자 생각에는 연애는 논어의 자기가 싫어하는 일을 남에게 하지 말라는 도덕률에 따라 해야 한다. 만약 자신의 아내가 다른 남자와 바람을 피우는 것을 놔둘정도로 관대한 사람만이 자신도 해도 된다고 본다. 하지만 조선시대 남자처럼 자신은 기생과 바람을 피우고 여인이 바람난 것을 제재하는 이중적 도덕률로 재단을 하면 안된다고 본다. 또 필자 생각에는 복혼제도는 개인의 자유이지만 복혼이나 일부다처, 일처다부, 동성혼등을 법적으로 보장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법적인 보장이 오히려 조장이나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특이한 결혼이나 애정 형태가 늘어날수록 전통적인 결혼인 일부일처제는 낡은 유물인듯하고 점차 가정은 파괴된다는 점이다. 필자는 기독교인이 아니지만 흡사 개신교에서 말하는 악의 세력이 가정 파괴를 하려고 동성연애를 포함하여 일부러 이런 남녀사이의 다양한 복잡한 함수관계를 설정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가 싶다.
그런데 필자 생각에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폴리 아모리등 여러 가지 부부와 결혼제도를 설정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저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해서 결혼제도를 총 정비하려는 시도를 할수도 있다. 2014년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월드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올해 추정치 기준으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25명에 그쳐 분석 대상 224개국 중 219위였다.
합계출산율은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싱가포르가 0.80명으로 꼴찌였고 마카오가 0.93명으로 223위였다. 대만이 1.11명으로 222, 홍콩이 1.17명으로 221위였으며 영국령버진아일랜드는 1.25명으로 한국과 공동 219위였다. 그 만큼 출산율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지한의원에서는 산후에 발생한 배 튼살치료를 하는데 미혼여성의 종아리나 허벅지등 기타 임신과 무관하게 생긴 튼살과 비율이 2:8정도로 오히려 산후 출산으로 튼살이 발생하는 여성 자체도 출산율 저하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임신후 튼살과 하지나 가슴 팔뚝등 일반적인 튼살 모두 이미지한의원의 튼살침인 ST침으로 치료할 수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