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9월 15일 월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정관정요 군도 제2 원문 및 한글번역

是月,徵又上疏曰:
이 달에 위징은 또한 상소하여 말했다.
臣聞求木之長者,必固其根本;
신은 나무가 자람을 구함에 반드시 근본을 견고하게 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欲流之遠者,必浚其泉源;
강의 흐름이 멀려면 반드시 원천을
思國之安者,必積其德義。
나라가 편안하게 생각하려면 반드시 덕과 의를 쌓아야 한다.
源不深而望流之遠,根不固而求木之長,德不厚而思國之理,臣雖下愚,知其不可,而況於明哲乎!
근원이 깊지 않고 강이 멀길 바라며 근본이 견고치 않고, 나무가 자라길 구하며, 덕이 두텁지 않고, 나라가 다스려진다고 생각하면 신이 비록 아주 어리석어도 불가함을 아니 하물며 명철한 사람은 어떻겠습니까?
人君當神器之重,居域中之大,將崇極天之峻,永保無疆之休。
군주는 그릇이 무거움을 알고 영역이 큼에 살며, 하늘의 준렬함을 궁국으로 하여 영원히 끝이 없는 아름다움을 보존한다.
不念居安思危,戒奢以儉,德不處其厚,情不勝其欲,斯亦伐根以求木茂,塞源而欲流長者也。
편안함에 거처하여 위험을 생각하며 검소함으로 사치를 경계하며, 덕은 두터움에 거처하지 않고 정은 욕심을 이기지 못하니 또한 근본을 쳐서 나무가 무성함을 구하며, 근원을 막아 흐름이 길고자 함이다.
凡百元首,承天景命,莫不殷憂而道著,功成而德衰。
여러 원수[군주]는 빛나는 천명을 이어서 근심하여 도가 드러나지 않음이 없으며 공이 완성되며 덕이 쇠약해진다.
有善始者實繁,能克終者蓋寡,豈取之易而守之難乎?
잘 시작하면 실제가 번잡함이 있으면 마침을 이겨서 적음을 덮으니 어찌 쉽게 취하여 지키기 어렵겠습니까?
昔取之而有餘,今守之而不足,何也?
예전에 취함에 남음이 있고 지금 지킴에 부족함이 어떻습니까?
夫在殷憂,必竭誠以待下;
매우 근심함에 있어서 반드시 성의를 다하여 아래를 기다립니다.
既得志,則縱情以傲物。
이미 뜻을 얻으면 정이 방종해지며 사물에 오만해집니다.
竭誠則胡越爲一體,傲物則骨肉爲行路。
성의를 다하면 호와 월나라가 한 몸이 되며 사물에 오만하면 골육이 행로가 됩니다.
雖董之以嚴刑,震之以威怒,終苟免而不懷仁,貌恭而不心服。
비록 엄벌의 형벌이 더해지며, 위협적인 분노로 진노하며 마침내 면하여 인을 품지 않고 모습이 공경하나 마음으로 복종하지 않습니다.
怨不在大,可畏惟人,載舟覆舟,所宜深慎,奔車朽索,其可忽乎!
원망이 큰 곳에 있지 않고 오직 사람을 두려워하며, 물은 배를 싣고 배를 엎으니 깊이 두려워햐야 하며 수레를 달리는데 썩은 줄로 하니 소홀할 수 있겠습니까?
君人者,誠能見可欲則思知足以自戒,將有作則思知止以安人,念高危則思謙沖而自牧,懼滿溢則思江海下百川,樂盤遊則思三驅以爲度,憂懈怠則思慎始而敬終,慮壅蔽則思虛心以納下,想讒邪則思正身以黜惡,恩所加則思無因喜以謬賞,罰所及則思無因怒而濫刑。
군주는 진실로 욕심을 보나 족함을 알음을 생각하여 스스로 경계하며 장차 일어나면 멈춤을 생각하여 알아 사람을 편안케 하며, 높고 위험함을 생각하여 겸손함을 생각하여 스스로 다스리니 그득차며 넘침을 두려워하며 강과 바다가 모든 하천을 아래에 있음을 생각하고 사냥하려 할때는 세곳으로 몰 생각을 하여 한도로 삼고 근심하고 나태할 때는 시작에 삼감을 생각하고 끝까지 공경하며, 눈과 귀가 막힘을 생각할 때는 빈 마음으로 아래를 들일 생각을 하며 참설과 사악함을 생각할때는 생각으로 몸을 바로잡아 악함을 내쫒으며, 더함을 은혜로울때는 기쁨으로 잘못 상주지 않게 하며, 벌이 이름에는 분노로 하여 형벌이 넘치게 하지 않습니다.
總此十思,宏茲九德,簡能而任之,擇善而從之。
모두 이것이 10가지 생각이며 이 9덕을 넓히며, 능력있는 사람을 써서 맡기며, 착한 사람을 선택하여 따르게 합니다.
則智者盡其謀,勇者竭其力,仁者播其惠,信者效其忠。
지혜로움에 도모를 다하며 용감함에는 힘을 다하며, 인자함에는 은혜를 베풀며, 믿음에는 충성을 본받습니다.
文武爭馳,君臣無事,可以盡豫遊之樂,可以養松、喬之壽,鳴琴垂拱,不言而化。
문과 무가 다투어 달리며 임금과 신하가 일이 없고 유희의 즐거움을 다 할 수 있으며 적송자와 왕자교의 장수를 배양할 수 있고 거문고를 울리며 소매를 늘어뜨리며 말하지 않고도 교화가 됩니다.
何必勞神苦思,代下司職,役聰明之耳目,虧無爲之大道哉!
하필 정신을 피로하게 하여 고통스러운 생각으로 아랫사람을 대신하여 관직을 맡아서 총명한 귀와 눈을 부리면 무위의 대도를 휴손하게 됩니다.
太宗手詔答曰:
태종이 손수 조서를 내려 답하였다.
省頻抗表,誠極忠款,言窮切至。
자주 표를 살피니 진실로 충성과 정성을 다하니 말이 지극히 간절하다.
披覽忘倦,每達宵分。
열어 보면 권태로움을 잊고 매번 한 밤중까지도 이르렀다.
非公體國情深,啟沃義重,豈能示以良圖,匡其不及。
공이 나라를 위해 몸소 사정이 깊으려 열어 비옥하게 하여 뜻이 무겁지 아니면 어찌 좋은 의도를 보여서 이르지 못함까지 바로잡겠는가?
朕聞晉武帝自平吳已後,務在驕奢,不復留心治政。
짐이 진무제가 평오에서부터 끝난 뒤에 교만과 사치를 힘써서 다시 마음을 정치에 두지 않았다고 들었다.
何曾退朝謂其子劭曰:
하증이 조정에서 물러나 자식인 하소에게 말했다.
“吾每見主上不論經國遠圖,但說平生常語,此非貽厥子孫者,爾身猶可以免。”
내가 매번 주상을 알현함에 국가의 경륜과 원대한 도모를 논의하지 않고 다만 평생의 일상 말만 말하니 이는 그 자손에 이르지 않으니 몸에 화 면할 수 있을 것이다.
指諸孫曰:“此等必遇亂死。”
여러 자손을 지칭하여 말하길 이런 무리는 반드시 혼란한 죽음을 맞을 것이다.
及孫綏,果爲淫刑所戮。
자손 하수에 이르러 과연 넘치는 형벌로 죽게 되었다.
前史美之,以爲明於先見。
앞의 역사는 그를 찬미하여 선견지명이 있다고 하였다.
朕意不然,謂曾之不忠其罪大矣。
짐의 뜻은 그렇지 않으니 일찍이 불충한 죄가 크다고 말한다.
夫爲人臣,當進思盡忠,退思補過,將順其美,匡救其惡,所以共爲理也。
군주의 신하가 되어서는 생각을 진상하여 충성을 다하며 물러서 생각하기에 잘못을 보완하여 아름다움을 순조롭게 하며 악행을 바로잡아 구제하여 함께 다스려야 한다.
曾位極台司,名器崇重,當直辭正諫,論道佐時。
하증의 위치가 태사를 다하여 명성과 그릇이 숭상되고 존중되어 직접 말이 바르게 간해야 하는데 논의하는 도로 시기를 바로잡아야 한다.
今乃退有後言,進無廷諍,以爲明智,不亦謬乎!
지금 물러남에 뒷말이 있고 나아감에 간쟁함이 없음을 분명한 지혜로 여기면 또한 그릇되지 않는다.
危而不持,焉用彼相?
위태로운데 지니지 않으면 어찌 저런 재상을 등용하겠는가?
公之所陳,朕聞過矣。
공의 진술함에 짐도 잘못을 들었다.
當置之幾案,事等弦、韋。
상소문을 책상에 두고 무두질한 가죽과 활시위처럼 마음을 바로 잡았다.
必望收彼桑榆,期之歲暮,不使康哉良哉,獨美於往日,若魚若水,遂爽於當今。
반드시 저 뽕나무와 느릅나무가지가 있는 서쪽을 바라서 해가 저물때를 기약하여 편안하고 좋게 하지 않고 홀로 가는 해를 찬미하며 임금과 신하의 사이가 물처럼 고기처럼되지 지금에는 상쾌하다.
遲復嘉謀,犯而無隱。
늦게라도 다시 좋은 도모를 하여 나를 범하나 숨김이 없게 하라.
朕將虛襟靜志,敬佇德音。
짐은 장차 빈 흉금으로 뜻을 고요하게 하여 공경하여 덕스러운 말을 오래하였다.
貞觀十五年,太宗謂侍臣曰:
정관 15년에 태종이 모시는 신하에게 말했다.
“守天下難易?”
천하를 지킴이 어려운가 쉬운가?
侍中魏徵對曰:“甚難。”
시중 위징이 대답하여 말하길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太宗曰:“任賢能、受諫諍,即可,何謂爲難?”
태종이 말하길 현명하고 능력있는 사람에게 맡기며 간쟁을 받으면 가능한데 어찌 어렵다고 말하는가?
徵曰:“觀自古帝王,在於憂危之間,則任賢受諫。及至安樂,必懷寬怠,言事者惟令兢懼,日陵月替,以至危亡。聖人所以居安思危,正爲此也。安而能懼,豈不爲難?”
위징이 말하길 고대의 제왕으로부터 보면 근심하고 위태로운 사이에 있어서 현명한 사람을 임명하여 간쟁을 받았습니다. 편안함에 이르러 반드시 생각이 느슨하고 권태로워서 말과 일이 다투어 두려우니 날이 가고 달이 교체하여 위급하고 망함에 이릅니다. 성인이 편안함에 거처함에 위태로움을 생각함이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편안하여도 두려울 수 있는데 어찌 어렵지 않겠습니까?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