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경림이란 책을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등장한다. 晨星謂賢人寥落, 雷同謂言語相符。 晨星:曉星, 새벽에는 별이 적어 희소함, 샛별.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반짝이는 금성(金星)을 이르는 말 晨星寥落 [chenxīngliaoluo]샛별이 드문드문하다 寥落:별이 적은 모양. 적막하여 볼 만한 것이 없는 모양. 영락(零落)된 모양 신성이란 현인이 뇌동이란 말이 서로 부합됨을 말한다. 心多過慮, 何異杞人憂天;事不量力, 不[奚]殊夸父追日。 奚의 원문은 不이다. 逐(쫓을 축; ⾡-총11획; zhú)의 원문은 追이다. *杞人之憂:≪列子(열자)≫ 天瑞篇(천서편)에 나오는 寓話(우화)이다. 杞(기)나라에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면 몸 붙일 곳이 없을 것을 걱정한 나머지 침식을 폐하고 말았다. 여기에 또 그의 그 같은 쓸데없는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을 걱정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가 침식을 폐하고 누워 있는 사람을 찾아가 이렇게 말했다. “하늘은 기운이 쌓여서 된 것으로 기운이 없는 곳은 한 곳도 없다. 우리가 몸을 움츠렸다 폈다 하는 것도, 숨을 내쉬었다 마셨다 하는 것도 다 기운 속에서 하고 있다. 그런데 무슨 무너질 것이 있겠는가?” 그러자 그 사람은 또, “하늘이 과연 기운으로 된 것이라면 하늘에 떠 있는 해와 달과 별들이 떨어질 수 있지 않겠는가?” 하고 물었다. “해와 달과 별들도 역시 기운이 쌓인 것으로 빛을 가지고 있는 것뿐이다. 설사 떨어진다 해도 그것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는 못한다.” “그건 그렇다 치고 땅이 꺼지면 어떻게 할 것인가?” “땅은 쌓이고 쌓인 덩어리로 되어 있다. 사방에 꽉 차 있어서 덩어리로 되어 있지 않은 곳이 없다. 사람이 걸어 다니고 뛰놀고 하는 것도 종일 땅 위에서 하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꺼질 수 있겠는가?” 이 말에 寢食(침식)을 폐하고 누워 있던 사람은 꿈에서 깨어난 듯 기뻐 어쩔 줄을 몰랐다. 그의 그 같은 모습을 보고 깨우쳐 주러 간 사람도 따라서 크게 기뻐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 다음에, 열자는 다시 장려자의 말을 덧붙이고 있다. 이들 두 사람의 주고받은 이야기를 전해 들은 장려자는 이렇게 말했다. “하늘과 땅이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은 너무 지나친 걱정이라고 말할 수는 있다. 그러나 무너지지 않는다고 단언하는 것도 또한 옳은 것은 못 된다.” 끝으로 열자는 이렇게 매듭을 짓고 있다. “하늘과 땅이 무너지든 무너지지 않든, 그런 것에 마음이 끌리지 않는 無心(무심)의 경지가 중요한 것이다. 위의 이야기는 쓸데없는 걱정을 보여 주는 사례이지만 고대인의 우주관이 나타나 있는 듯하니 詳考(상고)할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기인지우’는 보통 ‘杞憂(기우)’라고 쓴다.(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이담북스) *夸父:중국 신화 중에서 북쪽 땅에 살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거인족. 성도재천(成都載天)이라는 산에 살며, 두 마리의 뱀을 귀고리 삼고 두 마리의 뱀을 손에 쥐고 있다고 한다. 몸의 크기는 태양을 쫓아간 과보 용사의 이야기에서 엿볼 수 있다. 이 용사는 태양을 쫓아서 들판을 달리다가 결국 태양이 지는 골짜기까지 도달했던 것이다. 거기서 목이 말라 황하(黃河)와 위수(渭水)의 물을 다 마셔버렸는데, 그래도 갈증은 없어지지 않아 좀더 북쪽에 있는 대택(大澤)이라는 사방 천리나 되는 호수로 가려다가 도중에서 죽어버렸다고 한다. (환상동물사전, 도서출판 들녘) 마음이 과다한 염려가 많음이 어찌 기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함과 다르겠는가? 일이 역량만 못함이 어찌 과보가 태양을 따라감과 다르겠는가? 如夏日之可畏, 是謂趙盾, 如冬日之可愛, 是謂趙衰。 趙盾:晉나라의 권신(權臣). 진문공(晉文公, B.C.636~628 재위)의 고굉지신(股肱之臣)이었던 조쇠(趙衰)의 아들. 진양공(晉襄公, B.C.627~621 재위) 사후 공자 옹(雍)을 옹립하려다 조야의 반대로 번복하고 그대로 어린 세자 이고(夷皐)를 영공(靈公, B.C.620~607 재위)으로 옹립한 후 유주(幼主)를 대신해 정권을 장악했음. 그러나 영공의 타락과 무도를 막지 못했고 영공 시해 사건이 일어났을 당시 보신(保身)에만 급급한 나머지 지나치게 소극적이고 미온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결국 명 사관(史官) 동호(董狐)로부터 '조돈(趙盾)이 그 군주를 시해했다'는 필주(筆誅)를 받게 되었음. 제후국 간의 외교 책략에 능했고 빠른 상황 판단력과 현실적인 정치 감각, 통솔력 등을 지녔으나 정도(正道)만을 걸었다고는 할 수 없는 행적을 종종 남겼음 *趙衰:미상 ~ BC 622맹자여(孟子餘)로도 불린다. 춘추 시대 진(晉)나라 사람. 시호가 성(成)이라 조성(趙成)으로도 불린다. 또 조성자(趙成子) 또는 성계(成季) 등으로도 썼다. 공자(公子) 중이(重耳)를 따라 외국에서 19년 동안 유랑하면서 온갖 고생과 위험을 극복했고, 중이가 귀국해 진문공(晉文公)으로 즉위하는 것을 도왔다. 그 공으로 원대부(原大夫)가 되었다. 얼마 뒤 경(卿)이 되고, 상군(上軍)의 장수를 맡았다. 선진(先軫)과 난기(欒枝) 등을 천거하여 진문공이 패업(霸業)을 완성하는 일을 돕게 했다. 진양공(晉襄公) 3년 중군(中軍)으로 중군장(中軍將) 선차거(先且居)가 팽아(彭衙)에서 진(秦)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것을 도왔다. 진영공(晉靈公)의 왕위 옹립에 공헌한 조둔(趙盾)의 아버지다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여름 태양과 같이 두려운 사람이 조순이며 겨울 태양처럼 사랑스러운 것이 조최이다. 齊婦含冤, 三年不雨;鄒衍下獄, 六月飛霜。 *한나라 東海郡에 선량한 며느리가 있어 홀로 시어머니를 극진히 모셨으나 시어머니가 그 딱함을 보지 못해 스스로 죽자 시누이가 이를 며느리가 죽였다고 모함하여 죽임을 당했다. 그 지역에 3년동안 비가 내리지 않았다고 한다. 漢書 제나라 부인이 원한을 머금자 3년동안 비가 오지 않았다. 추연이 옥에 갇히니 음력 6월에 서리가 날렸다.
추연은 음양오행을 만든 사람인데 우리는 여자가 한을 품으면 5,6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것으로 잘못아는데 추연은 남자이기 때문에 원래 그 속담은 잘못된 것이다. 서리를 한의학적으로 고찰해보면 흰색이며 만물을 죽이는 심판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 피부에도 만약 흰색이면 기혈순환이 안되는 허혈상태이다. 피부에 흰색 서리가 내리듯이 흰색 튼살이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미지한의원에서는 이런 흰색 튼살을 특화된 비키니 튼살 프로그램 ST침으로 치료한다. 사람의 선입견중에 흰색 튼살은 오래되어 치료가 안된다고 잘못 알고 있는데 이는 기우에 불과하기 때문에 충분히 하얀색 튼살도 치유가 잘 된다.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