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월 17일 목요일

피지와 여드름 음식 여드름 흉터 치료

피지와 여드름 음식 여드름 흉터 치료







친구가 피자먹는다는 얘기를 문자 오타로



[나지금 피지먹어]


어쩐지 너 피부가 좋더라.-사실 속칭 피지인 개 기름만 흘렀을 뿐이다.





피지란 사전적으로는 피부의 기름이란 뜻이며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액상의 지방은 모낭(毛囊)을 거쳐 털구멍에서 배출되어 피부표면의 건조를 방지한다. 피지선이 특히 많은 부분은 두발부·눈썹부·비순구(鼻脣溝)·겨드랑이·흉배부(胸背部)·사타구니 등이다. 피지의 분비량은 사춘기에 급증하며 남성호르몬이 분비를 촉진한다. 식사와의 관계는 지방뿐만 아니라 탄수화물의 섭취에 의해서도 분비가 증가한다. 피지선에 염증이 생긴 것이 여드름이다.



피지선 [ sebaceous glands, 皮脂腺 ]이란 손바닥, 발바닥 등 털이 없는 부위를 제외한 거의 모든 피부의 진피(眞皮)에 존재하고, 모포(毛包)의 경부에 개구부를 갖는 샘이다. 모포와 관계없이 존재하는 것을 독립지선(獨立脂腺)이라 하고, 이것은 구순, 소음순, 유두, 음경구두 등에 존재한다. 가장 큰 독립지선은 검판선(마이봄선)이다. 피지선은 피지(sebum)라고 하는 유성분비물을 생산하고, 선방상피(腺房上皮)의 붕괴에 의해 배설된다. 피선은 전분비선(holocine)이다. 피지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왁스 에스테르, 스쿠알렌, 콜레스테롤 에스터,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누두부에 존재하는 세균에 의해서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분해되어 생성된 유리 지방산은 여드름의 염증성 병변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지선은 출생시 발달하나 곧 쇠퇴하며 작은 크기로 존재하다가 8세 내지 10세에 다시 발달된다. 피지선의 발달과 피지의 생성은 남성 호르몬에 영향을 받지만 확실한 기능은 모른다.



서양의사들은 여드름은 음식과 크게 연관이 없다고 말한다. 보통 ‘한때는 초콜릿이나 동물성 지방이 여드름을 더욱 왕성하게 한다고 믿었던 적도 있지만, 연구결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특정 음식을 먹을 때 여드름이 악화되기도 한다. 이런 음식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므로 그 음식을 자제하는 것이 옳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피지의 구성성분이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스쿠알렌 기름 성분임을 명심해야 한다. 또 요즘 육류나 우유등에는 호르몬제를 넣기 때문에 호르몬적인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물론 식용 색소, 방부제, 유화제, 식품첨가물등이 위장에 나쁜 작용을 하여서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드름은 워낙 수많은 원인이 있기 때문에[뾰족한 원인이 없기도 하다]따라서 치료가 어려운 편이다. 하지만 귤껍데기 달표면과 같은 울퉁불퉁한 여드름 흉터는 이미지한의원의 AT침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단 여드름의 염증을 완전이 없애 불을 끈다음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