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함 포템킨과 몽타주 기법 화상흉터 피부 이식수술 폐해
《전함 포템킨》(The Battleship Potemkin)또는 《전함 포툠킨》(Броненосец «Потёмкин»)은 1925년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감독이 연출한 소련의 무성 영화이다. '1905년 혁명 20주년'을 기념을 위해 만들어졌다. 옛 제정러시아의 수병들의 반란사건인 포툠킨 호의 반란에 기본을 두었으며 사회주의 혁명 선전영화로 만들어졌다.
몽타주 기법에 기본을 두어서 만든 영화로 유명한 영화이지만, 공산주의 선전이 섞여 있어서 해외에서의 공개는 검열을 받아 많은 장면이 삭제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스탈린 시대에는 소련 국내에서도 정치적 이유로 삭제되었다. 그 후 소련 영화 관계자의 노력에 의해 1976년에는, 재구성되었다. 음악은 원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으로 영화상영곡에 포함되어 있었다.
가장 유명한 신이자, 몽타주 기법이 유용하게 사용된 장면이 ‘오데사 계단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 장면’이다. 역사적 사건을 다룬 영화이지만 이 장면만큼은 실재했던 사건이 아니었다. 에이젠슈테인은 강압적인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이 장면을 연출했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 계단 주변으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런던타임스〉에 따르면, 실제로 군대는 군중을 향해 총을 겨누었으며, 사상자도 다수 발생했다. 하지만 정확한 피해자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계단 장면은 약 6분간 지속된다. 등장하는 배우의 대부분은 전문 연기자가 아닌 아마추어들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오데사의 주민들 중 함대의 선원 얼굴이 발견된다. 그중에는 감독인 에이젠슈테인의 모습도 보인다. 세트가 아닌 실제 장소에서 촬영된 장면이고, 따라서 종종 지역의 이름을 따 ‘프리모르스키 장면’이라 부르기도 한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여름용 흰 제복을 걸친 황제의 군인들이 열을 맞춰 계단을 내려간다. 그들은 모두 총기를 소지했고, 그 총구는 군중을 겨눈다. 사람들이 정신없이 대피하는 사이, 계단이 나타난다. 그 사이 화면에는 희생자들의 모습이 교차되어 보이는데, ‘코안경을 쓴 나이 든 부인, 어머니와 함께 있는 어린아이, 교복 입은 학생, 십대 여학생’ 등이다. 이후 사람들의 발에 깔려 죽은 아들을 들쳐멘 여인이 계단을 거슬러 오르기 시작한다. 병사들은 그 어머니 역시 총으로 쏘아 죽인다.
한편 계단의 아래편에는 말을 탄 기병대가 포진된 상황이라 시민들은 빠져나갈 구멍이 없다. 그러다 ‘검은 두건을 쓴 여자’가 살해된다. 죽기 직전 그녀는 유모차를 잡고 있었던 터라 그녀가 쓰러지면서 계단의 아래쪽으로 유모차가 구르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하강하는 아이가 탄 유모차’ 이미지와 ‘잔혹한 군인들’의 모습이 교차되어 보인다. 마찬가지로 어트랙션 몽타주의 예다. 이 장면은 당대로서는 혁신적 기법이었다. 따라서 이후 많은 감독들이 경의를 표하며 ‘오마주(존경의 표시로서 인용)’하기도 한다.
가장 유명한 오마주 장면은 브라이언 드 팔마의 〈언터쳐블〉(1987)에 나온다. 원작과의 차이점은 배경이 기차역으로 바뀌었다는 것, 그리고 슬로 화면으로 느리게 재생된다는 점뿐이다. 테리 길리엄의 〈여인의 음모〉(1985) 역시 오데사 계단을 오마주한다. 이 영화의 마지막 즈음에 주인공이 석방되어 공격을 받는 장면에서, 유모차 대신 진공청소기가 계단을 구르고 병사들이 일렬로 총을 들고 내려간다. 이 밖에 유모차 장면은 ‘패러디’의 방식으로도 자주 인용된다. 우디 앨런의 〈바나나 공화국〉(1971)과 〈사랑과 죽음〉(1975)이 그렇고, 데이비드 주커의 〈총알탄 사나이3〉 역시 이 장면을 인용한다. 하지만 엄밀하게 데이비드 주커는 〈언터쳐블〉을 패러디한 것이다. 에토레 스콜라의 〈우리는 그토록 사랑했네〉(1974), 안노 사울의 〈케밥 커넥션〉(2005) 역시 이 장면이 들어간 영화들이다.
몽타주 기법이란, A장면 뒤에 B장면이 배치됨으로써 보다 함축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하는 것인데, 이런 기법이 도입되면 관객들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감독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장면과 장면의 관계 속에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는 보다 능동적인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영화에서 몽타주 기법의 도입은 가히 혁명적인 사건인 것입니다. 몽타주 체계로부터 소외 효과의 원칙으로 발전되었는데, 이것은 낯선 맥락에 사물이나 인물들을 배치함으로서 관객을 소외시켜 이미지의 의미를 관객이 곰곰이 생각하게 만드는 효과이다.
몽타주 기법은 편집으로 두 가지 장면을 교차를 하는 것이다. 피부에서도 한 곳의 피부를 공여하여 다른 곳으로 이식하는 피부이식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화상흉터가 발생한 경우 쓰인다. 하지만 피부 이식수술을 하면 이식을 공여해준 부위에 흉터가 생기며, 생착이 안되는 경우 피부가 검게 죽거나 착색이 생기고, 또 이식한 부위 가장자리가 너덜너덜한 경우가 많다. 차라리 아무 시술도 하지말고 몇 달 지난 뒤에 이미지한의원의 기혈순환을 돕고 진피 재생을 하는 화상흉터침인 BT침 시술을 받는 것이 합당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