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괄의 난(李适—亂)은 1624년(인조 2년)에 일어난 반란이다. 인조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은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는 무고를 당하자 난을 일으켜 한양까지 함락시켰다. 조선대의 내부 반란으로서는 처음으로 왕을 도성으로부터 피난시킨 전무후무한
난이기도 하다. 이후 길마재 전투에서 패배하여 진압되었다. 이괄은 1622년(광해군 14년) 함경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어 임지로 떠날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친분이 있던 신경유의 권유로 광해군을 축출하고 새 왕을 추대하는 계획에 가담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623년 음력 3월에
서인의 주도로 일어난 인조반정에서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즉위시키는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이괄은 2등 공신에 책록되었고 반정 뒤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임명되어 불만이 컸다. 그러던 중 1624년 음력 1월 문회, 허통, 이우 등이 이괄과 이괄의 아들 이전, 한명련, 정충신,
기자헌, 현집, 이시언 등이 역모를 꾸몄다고 무고하였다. 하지만 역모의 단서는 찾지 못했고 대신 이괄의 아들 이전을 서울로 압송하기로 했다.
이괄은 기익헌, 한명련 등과 함께 압송하려 온 사람들을 죽이고 1624년 3월 11일(음력 1월 22일) 항왜병 100명을 선봉장으로 하여 1만
2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자 인조는 김유의 말을 들어 기자헌, 김원량 등 40명의 연루자들을 처형시켰다. 이괄은
황주신교에서 정충신과 남이흥의 군대를 격파하고, 마탄에서 다시 부도제찰사 이시발이 이끄는 관군을 격파하고 황해도방어사 이중로와 우방어사 이성부를
전사시켰다. 이괄군이 개성을 지나 3월 26일(음력 2월 8일) 임진강을 건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인조는 그날 밤 서울을 버리고 수원에
도착하였다. 천안에서 반란군의 평정 소식을 접하였으나 패주하는 반란군이 이천 쪽으로 내려갔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12일 새벽 공주로 피란을
갔다. 3월 29일(음력 2월 11일) 이괄군은 한양에 입성하여 경복궁 옛터에서 선조의 열 번째 아들 흥안군 제(興安君 瑅)를 왕으로
세웠다. 인조는 6일 동안 공주에서 난을 피해 있어야 했고 한편 이괄은 포로가 된 풍천 부사 박영신이 끝내 협력하지 않자 그를
참살했다. 도원수 장만이 관군을 끌고 쫓아 와 안산(무악)에 진을 쳤다. 정예부대는 모두 이괄 예하에 들어 있어 관군은 약했다. 전투가
벌어졌고 초장에는 이괄 군대가 관군을 삼킬 것 같았는데 서북풍-무악 쪽에서 강풍이 몰아쳤다. 정충신이 고춧가루를 바람에 흘려 보내 이괄 군대가
눈을 못 뜨게 만들었다는데 반군이 도망가기 시작했다. 대패한 이괄은 수구문-광희문으로 빠져 나가 삼전도를 거쳐 광주 지나 이천까지 도망갔다.
이괄은 서울 사람들에게 장만 군대를 무찌르는 장면을 구경하라고 했다. 사람들이 구름 같이 몰려 어 인왕산부터 남산까지 이르는 성벽에 구경꾼이
마치 흰 빨래를 널어 놓은 것 같았다고 한다. 병인양요때 프랑스 제독도 한강을 거슬러 한양을 침공하려다가 구경나온 백성들의 흰옷이
군사들인지 알고 후퇴했다는 말이 있다. 우리 몸에서 생긴 흰색 흔적도 매우 보기에 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아리 튼살, 허벅지 튼살,
가슴 튼살의 경우 아름다운 각선미나 몸매를 파괴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런 튼살은 본인 노력이나 자연적인 방법대로 되지 않고 이미지한의원에서
반드시 ST침 튼살침 치료를 받아야 한다.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