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27일 목요일

중국의 인구와 중국인 흉터치료

중국의 인구와 중국인 흉터치료


 
영국의 인구학자 토머스 맬서스는 인구 증가가 식량 공급을 앞지르니 엄격하게 산하 제한을 하지 않으면 인류의 운명은 나아질 가능성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중화인민 공화국 초대 주석인 마오쩌둥은 맬서스가 인구를 소비의 관점에서만 파악했다고 보고 人口人手인수이기도 하다고 했다. 먹는 입이 많은 만큼 일하는 손도 많다는 뜻이다.
중국은 세계인의 1/5을 노동력으로 확보하고 있다. 마오쩌둥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했을 당시만 해도 중국의 인구는 많지 않았다. 당시 중국의 인구는 약 5억명에 불과했으며 경제적으로 후진국의 위치에 있었다.
마오쩌둥이 내건 슬로건은 런뒤리량다 人多力量多(사람이 많을수록 힘이 커진다였다.) 그는 아이를 5명 이상 낳은 어머니는 영광 엄마, 10명 이상 낳으면 영웅이라는 호칭까지 부여하며 출산장려 운동을 펼쳤다. 이 때부터 중국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1976년 마오쩌둥이 사망할 즈음 중국 인구는 94000만명에 달했으며 1982년에는 10억명을 돌파했다. 30년 동안 중국의 인구가 두 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급증한 인구는 마오쩌둥이 바란 것처럼 일하는 손이 되어 주었다. 경제 개방 초기에 메이드 인 차이나 물품이 전 지구촌을 휩쓸수 있었던 것은 거대한 저임금의 산업 생산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중국의 힘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슈퍼차이나, KBS슈퍼차이나 제작팀지음, 가나출판사 페이지 29-31
 
우리나라는 중국 인구 성장시기인 1970-80년대에 산아제한 조치로 가족계획을 실시하여 베이비 붐 인구를 통제하여 결국 인구수가 줄어 내수 경기가 부진하고 현재 성장 정체기를 겪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남북한이 분단되어 합쳐도 1억이 안되기 때문에 내수시장이 더욱 어려운데 말이다.
필자가 진료하는 이미지 한의원에도 중국인 환자가 많이 내원한다. 중국인 관광객은 아니지만 중국 연변 조선족이 많으며 중국 유학생이나 한국으로 일하러오는 흉터 치료환자가 많이 방문한다. 특히 중국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경우 수술후 흉터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큰데 예전 우리나라 병원에서도 20여년 더 이전의 경우 그렇게 수술후 흉터가 컸다. 중국에서 온 액취증 수술환자가 있는데 수술 흉터면적이 정말 엄청 큰 경우가 있다. 필자 한의원은 전국에서 오는데도 한국의 내수 시장이 좁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지만 중국이었다면 달랐을 것이다.
아무튼 수술 흉터나 사고 흉터, 베이거나 긁힌 흉터, 화상흉터등 모두 이미지한의원의 흉터침으로 치료할 수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