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16일 수요일

실리콘 인공유방 부작용과 가슴확대수술 흉터치료

실리콘 인공유방 부작용과 가슴확대수술 흉터치료



2015914일 한의신문에 따르면 인공유방이나 인공관절 등 인체 내에 직접 삽입하는 의료기기의 부작용이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은 새누리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체 이식 및 삽입 의료기기의 부작용 보고가 최근 5년 간 400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인공유방 보고가 3816(94.7%)으로 가장 많았고 생체재질 인공심장판막이 126(3.1%), 이식형 심장박동기전극 23(0.6%)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리콘겔 인공유방의 부작용 사유를 보면 인체 내 제품 파열이 2520(66%)으로 가장 많았고, 구형구축 846(22.2%), 모양변형 200(5.3%) 등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장 의원은 식약처가 체내 이식 의료기기 등에 대해 추적관리대상 관리를 강화한다고 했으나 지난 5년 간 수거 검사한 품목은 2종류에 불과하다의료인들이 부작용에 대해 환자에게 상세히 알려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실제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김용익 의원<사진>은 위험도가 매우 높은 인체이식 의료기기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관리·감독이 허술하다는 지적을 제기했다.
인체이식의료기기에는 심장에 직접 연결하는 인공심장판막이나 보조심장장치부터 시작해 미용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겔인공유방 같은 것이 있다.
추적관리대상 인체이식의료기기는 모두 인체 이식과 함께 높은 위험을 동반하는 의료기기로 제조, 수입에서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매우 주의 깊은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
실제 인체이식의료기기는 위험성도 높아 지난 3년간 42건의 사망사고가 보고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추적관리를 위해 의료기기 관련 기록과 자료를 업체 또는 사용자에게 제출하도록 요구한 내역이 지난 2011년 이후 단 한 차례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면서, 의료기기의 생산과 소비 전 과정에 대한 추적관리시스템을 마련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추적관리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식약처에서 체내이식 의료기기에 대한 추적관리를 강화한다는 약속이 무색하게도 지난 5년간 수거 검사한 제품은 단 2개 뿐이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장정은 의원은 이 같은 부분을 지적하면서, "인공관절이나 인공유방 등과 같이 인체에 직접 이식하거나 삽입하는 의료기기의 부작용도 급증하고 있어 보건당국의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관리감독이 부실하다"고 질타했다.
 
사실 인공 가슴 수술을 받으면 5년마다 MRI등으로 추적관찰을 하고 또 다시 수술을 해야 할 확률이 크다. 영구적이지 않다는 이야기인데 가슴확대 수술도 가슴 아래나 겨드랑이등에 또 흉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미지한의원에서 수술후 흉터침 시술인 OT침으로 진피 콜라겐을 끊어 다시 복구하는 방법으로 흉터를 희미하게 안보이게 치료도 받을 필요가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