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17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안구건조증치료 www.imagediet.co.kr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의 분비 자체가 부족하거나 눈물의 증발이 많아짐으로써 눈의
표면이 건조해지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 겨울철 안구건조증이 많아지는 이유
건조한 겨울철엔 눈물이 빨리 증발되어 눈물층이 불안정해지면서
안구 건조증이 생기고 또 악화 될 수 있다.

** 눈 깜박임 운동과 눈물의 역할
안구는 매끄러운 원형으로 눈꺼풀이 덮고 있다.
눈은 계속적으로 깜박임 운동을 하는데 깜박임 운동은
눈을 뜨고 있는 동안에 파괴된 눈물막을 매끄럽게 해
눈이 편하게 느낄 수 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막과 결막의 표면은 항상 눈물로 촉촉하게
덮여 있으며 눈물이 이들 조직에 적절한 양분을 제공하고
윤활을 시켜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특별한 증상 없이 안구건조증일 수 있다?
꼭 자각 증상이 없거나, 있더라도 나이 탓으로 여기고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물론 안구 건조증이란 것이 대부분 가벼운 불편감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악화 요인이 있거나 정도가 심할 경우는 각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심한 안구 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 루푸스,
갑상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피부경화증, 간질성 신염 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혼자 판단하고 결론짓기 보다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안구 건조증의 정도와 원인에 대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노화 현상과 안구건조증
이가 들면 노화 현상으로 눈물샘의 분비 기능이 저하된다.
여기에 안드로젠이라는 호르몬이 저하되면서 눈물샘에 염증세포가
침투하고 이에 따라 분비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간혹 안구 건조증
환자 중에 눈물이 너무 많아 걱정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다.

** 눈물이 많아도 안구건조증?
안구 건조증이 있어도 눈물이 왈칵 흐를 수 있다.
안구 건조증은 단순히 눈물이 마르는 증상이 아니라 눈물의 정상적인
분비 기능에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이다.
안구 건조증에 걸리면 눈물막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에
바람이나 매연같은 자극에 반응해 눈물이 갑자기 줄줄 흐르는 경우가 많다.


** 호르몬과 안구건조증
정상적으로 올바른 구성성분을 가진 양질의 눈물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안드로겐이라 불리는 호르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지만 폐경기 여성의 경우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는 난소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안드로겐의 분비가 감소하여 부족하게 된다. 이런 호르몬
부족은 눈물샘의 기능에 영향을 끼쳐 눈물층의 안정성과 눈물분비량을 감소시켜 안구 건조증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로 만든다.

** 안구건조증의 치료
눈물이 부족하면 안구 표면에 염증이 생기고 이 염증에 의해눈물
분비기능이 떨어진다. 반대로 안구 표면에 염증이 생기면 이로 인해
눈물 분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인을 다 치료해야
하는데 눈물이 부족해서 생기는 경우엔 안경을 착용한다든가
인공 눈물을 넣어 수분을 공급해주고 안구 표면에 염증이 생긴
경우에는 항염제 안약이나 사이클로스포린 안약을 사용한다.
특히 눈꺼풀 염증이 있는 경우에는 안검세척.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 인공눈물 선택법
인공눈물 성분이 약제에 따라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환자분들이 선호하는 약제가 다를 수 있다. 하루 사용량은
눈물 분비량과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2-3시간마다
점안하는 것이 좋다.
하루 6-8번 이상 사용하여야 눈이 편해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방부제가 없는 약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 안구건조증에 생리 식염수를 사용한다?
생리 식염수는 눈물 잠시 적셔주는 효과는 있지만 눈물의 중요 성분을
씻어내므로 좋지 않다. 또한 생리 식염수는 사용 중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고, 눈물 성분과 비슷하게 맞춘 게 아니라 단지 소금 성분만
들어 있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는 게 좋다.

** 안구건조증과 환경의 변화
최근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또한 보고, 읽고, 컴퓨터 작업을 하는 등의 눈을 사용하는 일들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에 점점 더 눈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여름엔 에어컨 사용, 요즘 같이 추운 겨울철엔 난방을 많이 하는데 난방으로 건조해진 실내 공기가
안구건조를 증가 시킬 수 있다.

** 염색약, 헤어 스프레이가 안구건조증에 미치는 영향
염색 약 뿐 아니라 헤어 스프레이나 무스 같은 자극이 강한
이물질이 눈에 들어가면 당연이 여러 자극 증상이 일어난다.
대부분은 일시적인 불편감에 그치지만 심할 경우 각막염이나
각막 부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안구건조증에 효과적인 음식
기본적으로 몸에 좋은 것이 눈에 좋은 것이므로 필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최근에 널리 알려진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인 고등어, 꽁치 등 등푸른 생선이 안구건조증에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A결핍이 안구 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비타민 섭취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