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29일 화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알츠하이머병 치매

알쯔하이머 病 (Alzhimer's disease;AD)


초로기에 발병하는 원인불명의 진행성 치매를 초래하는 질환으로서 1906년 Alzhimer가 처음 기재한 것이다. Alzhimer와 Pick병을 합해서 약 0.1%로 추정된다. Pick병은 드물지만 AD는 현재 보고된 것도 많아서 반드시 드물다고 말 할수는 없다.

(1)이화학적 소견
노년치매의 병리 소견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뚜렷한 뇌위축에 의한 뇌실 및 腦溝의 開大를 볼 수 있다. 조직병리학적으로는 신경세포의 變性, 탈락, 老人斑, Alzhimer原纖維變化 등을 볼수 있다. 이들은 노년치매의 그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은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다.

(2)임상증상
A.進行性치매
초기부터 뚜렷한 記銘, 기억장애와 방향상실이 있다. 특히 공간의 분별력이 나쁘고 자신이 잘 알고 있는 장소조차도 틀린다. 언어 이해도 나빠서 자발어로는 어간대(logoclonia), 반향언어(echolalia), 동어반복(palilalia)등이 잇다.
B.人格의 保持
뚜렷한 치매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태도, 대인 관계 장면에서의 응대, 주위의 事象에 관여할려고 하는 태도 등이 비교적 잘 유지되어 인격수준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다.
C.뇌병리학적 病巢症狀
실어, 失讀, 失認, 失行 등의 병소 증상이 나타난다. 특징적인 병소증상으로서, 공간지남력 상실, 혹은 지리적 지남력 상실을 보는 수가 있다. 자기 방과 변소의 위치 혹은 침대의 위치를 모르게 된다. 진료실에 들어와서도 출구가 어느 것인지 알아차리지 못하고 실내를 우왕좌왕한다.
D.多動傾向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배회하거나 단조로운 반복성 多動을 나타내는 것이 하나의 특색으로 되어 있다. 세탁물을 몇 번이나 접거나 펴고, 실내의 물품이나 가구를 끊임없이 바꿔 놓는다. 반복성 직업성 불안이라고 한다.
E.신경증상
추체외로증상으로서 근긴장항진, 근강경 등이 나타난다. 보행은 느리고, 어색하며, 짧은 보행을 나타낸다. 또 경련발작이 1/4~1/8의 증례에서 보여진다고 한다.

(3)감별진단
AD의 특징으로서 1.초로기에 발병하는 진행성의 치매, 2.인격의 保持가 비교적 양호한 것, 3.병소증상과 추체외로증상 등이 있다. 그위에 CT소견에 의해서 뇌 위축이 인정되면 진단은 확실하게 된다.

(4)치료
다른 초로기 치매와 마찬가지로 원인 요법은 없다. 앞에서 진술한 노년치매의 치료 원칙에 준한 대증요법이 주된 것이다.

- 東醫精神醫學, 黃義完 等, 현대의학서적, 1992, pp256, 267-268




Alzhimer's disease

- intellectual loss always precedes motor abnoramlities.
1. earliest stage
Memory loss
Decreased language facility
Visual spatial dysfunction
Apraxia
- dominant by aphasia, amnesia, apraxia disproportionate to other findings
- in this stage, appearance, dress, expressions, mannerisms, interpersonal behaviors seem normal
2. second stage(years after onset)
Progressive atropy of the frontal lobe.
Apathetic, less interested in others and in their environment.
Loss interest in reading, television
Conversation is slow and less spontaneous. Gait slows
3. advanced stage
Cannot perform the simple activity of daily living
Cannot venture out alone.
4. Terminal phase
Bed ridden, mute, stiff unless life is cut mercifully short by pneumonia, urosepsis or ducubitus ulcers

CIBA, Vol 1, part 2, 1986. p145




Alzhimer's disease:
- clinical features and differential diagnosis -

AD는 adult에 있어서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중의 하나이며, 행동과 사고형태에 있어서의 이중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질병의 condition은 치료에 의해서 많이 변화 될 수 있다.
(이 Article은 진단함에 많은 곤란이 있고, 치료에 의해서 증상이 많이 호전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치매(dementia)는, acquire impairment of intellectual, memory functiond으로 정의되는 clinical state이다. (AD는 adult에 있어서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치매의 주요 증상은→ memory disturbances, defects in mental abilities as judgement, abstract thinking, language, personality, praxis of visual-spatial skills.



AD is a cause of both senile and presenile dementia.
가장 중요한 symtom → gradual onset of progressive memory loss
- in early stage; relative preservation of motor, sensory, linguistic abilities with impairment in memory and orientation functions.
impairde functional modality ; memory*, attention*, vusual-spatial function*, problem solving*, calculations*, personality, thinking, affect, language, perception, praxia, awareness of disease, social skills#, motor deficits#, incontinence of urine and stool#, seizures
[* early sign, # late sign]
AD is characterized by steady progression of intellectual detoriation.
Behavior 'noncofnitive' features of AD are common.
- depression, personality change, apathy, afitation, irritability,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Memory - Involve 'things' more tha 'events'.
Depression - MID와 AD가 함께 있을 수도 있다. (15%)
MID증상-abrupt onset, history of stroke, stepwise deterioration, focal signs and symptoms, and HTN.
Parkinsonian disease와 AD가 함께 있을 수도 있다. (15-30%)
AD currently cannot be definitively diagnosed by noninvasive means. AD is considerde an untreatable disease, because its primary manifestations involving cofnitive funtion cannot be improved. Depression, insomnia, agitation,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may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pharmacologic and behavioral means.
Extra-pyramidal dysfunction may be seen in AD.
- seen in Pick's disease, more common in MID.



Requires a comprehensive review of med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 features of patient's life.
환자의 증상을 잘 평가하여야 하니, 이는 AD의 여러 증상중에서 치료될 수 있는 것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Much work currently is under way to develop a noninvasive diagnostic measure for AD using studies of blood, spinal fluid, and neuroimaging.

- Neurology, 1993; 43(suppl 4):S45-S51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