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17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탄수화물섭취법

*탄수화물 중독이란
일일 탄수화물 적정 섭취량인 300~400g보다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

*탄수화물 중독의 증상
-탄수화물을 많이 먹으면 거미형 인간이 된다.
(필요 이상 섭취한 탄수화물은 중성지방으로 축척돼 비만 유발)
-탄수화물 중독이 심해지면 우울증이 동반된다.
-탄수화물이 성인병을 부른다.
(인슐린-혈당을 낮추고 동시에 포도당의 체지방 전환을 도와 지질을 높인다)

*탄수화물 중독일까? -자가 진단법
1.아침 식사를 한 날은, 식사를 하지 않는 날보다 훨씬 더 허기가 진다!
2.식사 후 단맛이 도는 디저트를 즐긴다!
3.스트레스를 받으면 식욕이 당긴다!
4.식사 후 졸리고 나른한 경우가 많다!
5.일주일에 3회 이상, 밀가루 음식을 먹는다.

6.잡곡밥보다는 흰쌀밥을 선호한다.
7.작은 자극만 받아도 화가 난다.
8.가족이나 친척 중에 비만인 사람이 있다.
9.밤에 잠들기 전에 뭘 먹지 않으면 잠들기 힘들다.
10.배불리 먹어도 포만감이 오래 가지 않는다.

3개 이하면 정상,
4~5개면 탄수화물 중독에 주의,
6개 이상 해당하면 탄수화물 중독을 의심!

*탄수화물 중독 초기증상
①면역력이 약해진다
②하루종일 피로하고, 자주 짜증이 난다.
③체지방이 증가하고, 체중이 는다.

*탄수화물이란?
우리 식생활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열량식품으로서 지질, 단백질과 같이
3대 영양소 중의 하나이다. 탄수화물(Carbohydrates)은 지방질 및 단백질과 같이 생물체를
구성하며 우리의 음식물로서 중요한 물질이다.

*조심해야 할 탄수화물
3백(三白)- 도정된 흰 쌀, 흰 밀가루, 흰 설탕

*황제다이어트로 인한 체중감량은 수분이 빠져나가 생긴 효과일 뿐
지방을 줄이는 효과는 없음

*좋은 탄수화물
도정하지 않은 현미, 잡곡 등.
체내에 천천히 흡수돼 인슐린을 과하게 올리지 않는 것

*GI(glycemic index)지수
-식품의 섭취 후 체내 혈당상승이 얼마나 급격하게 올라가는가를 지수로 환산한 것
-GI지수가 60보다 낮은 음식을 섭취해야 좋다

*고혈당지수VS저혈당지수
1.호밀빵(55) < 바게트(93)
→바게트 빵의 경우 단맛이 떨어져서 혈당지수가 낮을 거라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성분은 같아서 식빵과 혈당지수가 비슷하다.
따라서 흰 밀가루 빵보다는 호밀빵과 같은 잡곡빵을 먹는 것이 좋다

2.감자(90) > 고구마(55)
→고구마는 섬유소가 많아 소화 속도가 느린 반면, 감자의 전분은 몸에 잘 흡수되고
혈당을 올리는 포도당으로 금세 전환된다.

3.당근(80) > 토마토(30)
→그렇다면 당근과 같이 당지수가 높은 야채는 무조건 피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당근의 당지수는 80정도로 흰쌀밥보다 높지만 열량이 적어 문제가 되지 않고,
당근에 포함되어 있는 포도당 총량도 적어 괜찮다. 문제는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

*나쁜 탄수화물-설탕, 흰빵, 흰쌀밥, 감자, 초콜릿, 케익 등
*좋은 탄수화물-통밀빵, 콩, 현미, 보리, 호밀, 고구마, 채소, 키위 등

*탄수화물을 건강하게 먹기 위한 생활습관
1.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양만큼 먹는다
2.밀가루 대신 통밀이나 귀리를 먹는다
(통밀과 귀리에 풍부한 필수아미노산과 섬유질이 배변을 돕는다)
3.고탄수화물을 섭취할 깨 단백질과 함께 먹는다
(찐감자 두 개 보다는 찐감자 하나와 우유한 잔/감자와 두부 등)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