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24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이란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며 체내로 들어가면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

◆ 호르몬의 기능
우리 몸의 성장과 발달, 대사 기능, 생식 기능, 환경 적응 등 우리 몸의
항상성을 조절하고 적응하는 역할

◆ 환경호르몬이 우리인체에 미치는 영향
생식기의 기형, 생식기 발달 장애, 정자수의 감소 등 생식 기능의 저하와
행동의 변화, 면역 기능의 변화, 암 발생 등을 유발

◆ 환경호르몬 규제 대상 물질
한국 -42종, 일본-142종, 미국-약70여종

◆ 가장 심각한 환경호르몬은 농약!!

◆ 플라스틱 재질
PP(폴리프로필렌)
생산품 - 플라스틱 음식보관용기, TV, 주사기, 세탁기 등
특징 - 플라스틱중 가장 가볍고 내한성이 좋고 내열성이 우수

PE(폴리에틸렌)
생산품 - 포장용 필름, 쓰레기 봉지, 훌라후프, 샴푸용기 등
특징- 내수성, 내약품성이 뛰어남

PC(폴리카보네이트)
생산품 - 젖병, 물통, 플라스틱 음식보관용기, 선글라스. 캔음료 내부코팅제, 병마개 등
특징 - 내충격성, 내열성 뛰어남


<환경호르몬의 종류>
분류 / 대표적인 예
농약(살충제, 제초제) / DDT
폐기물 소각 시 발생하는 부산물 / 다이옥신
중금속 / 납, 수은, 카드뮴
합성세제 원료 / 알킬페놀
플라스틱 원료, 음료수 캔의 코팅물질 / 비스페놀A
(출처 : 세계야생동물보호기금 (WWF))


◆ 환경호르몬을 예방하는 대표적 생활수칙 5가지
1. 깨끗한 물을 마신다.
2. 유기농산물을 먹는다.
3. 합성세제 사용을 줄인다.
4.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쓰레기를 최소화하자.
5. 가급적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를 넣어 데우지 않는다.


◆ 몸 속의 유해물질 배출시키는 식품
- 채소, 과일, 콩, 두부, 현미 등의 잡곡, 샐러드, 나물 등 식이섬유가 들어있는 음식
- 환경 호르몬을 분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효소가 들어있는
브로콜리, 양배추, 콜리플라워, 십자화과 채소


◆ 엄마표 떡케이크 만드는 법 ◆
재료: 멥쌀가루, 포도즙, 설탕 조금, 대추 고명(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

만드는 법:
1. 미리 준비한 멥쌀가루에 포도즙과 설탕을 넣어 가볍게 반죽한다.
2. 체에 2~3번 가량 걸러 반죽을 곱게 가루를 만든다.
3. 체어 거른 가루는 설탕을 이용해 간 조절을 한다.
4. 준비된 찜통에 간 조절된 멥쌀가루를 넣는다.
5. 고명으로 대추(다른 것으롣 대체 가능)를 올린 후 쪄 낸다.


***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50가지 방법 ***
1. 랩은 폴리에틸렌 제품을 고른다.
2. 염화비닐계 랩은 가열하지 않는다.
3. 염화비닐 랩으로 포장한 식품은 구입하지 않는다.
4.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를 넣어 데우지 않는다.
5. 컵라면은 다른 그릇에 옮긴 뒤 뜨거운 물을 붓는다.
6. 통조림 식품은 될 수 있는 대로 먹지 않는다.
7. 캔 음료는 일체형을 고른다.
8. 근해 생선의 지방육은 피한다.
9. 생선 내장은 될 수 있는 대로 먹지 않는다.
10. 지방분이 많은 고기나 유제품을 늘 먹는 것은 삼간다.
11. 식품첨가물의 유무를 잘 살펴본다.
12. 식품첨가물이 많은 식품은 피한다.
13. 유기농산물을 먹는다.
14. 식물성 섬유를 많이 먹는다.
15. 곡물과 녹황색 채소를 적극적으로 먹는다.
16. 엽록소를 많이 먹는다.
17. 셀레늄이 많이 함유된 것을 먹는다.
18. 균형 있는 식생활을 한다.
19. 될 수 있는 대로 깨끗한 물을 마신다.
20. 경구피임약을 복용하지 않는다.
21. 임신 중에 특히 주의해야 할 것
22. 늦은 나이에 출산할 경우, 모유와 우유를 함께
23. 아기에게 두유를 먹이지 않도록 한다.
24. 젖병은 유리제품을 사용한다.
25. 염화비닐 제품의 장난감을 될 수 있는 한 사용하지 않는다.
26. 염소계 플라스틱 제품은 될 수 있는 한 구입하지 않는다.
27. 스티롤 제품의 컵은 피한다.
28. 젖먹이와 유아용품은 플라스틱 제품을 피한다.
29. 학교 급식 용기를 교체하는 운동을 벌인다.
30. 식료품을 담는 쟁반이나 랩은 잘 처리한다.
31. 옷과 침구는 천연소재를 사용한다.
32.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을 줄인다.
33.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34. 제초제나 가정원예용 살충제 등을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다.
35. 살충제, 방충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36. 조리대에 기름이나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다.
37. 합성세제 사용량을 줄인다.
38. 염소계 플라스틱 제품을 쓰레기로 버리지 않는다.
39. 부엌 쓰레기량을 줄인다.
40. 환경호르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건은 구입하지 않는다.
41. 과잉 포장은 피한다.
42. 가정에서 쓰레기를 태우지 않는다.
43. 염화비닐 제품은 몇 번이고 재활용 하도록 한다.
44.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은 재활용한다.
45. 애완동물용 벼룩잡기 목걸이를 하지 않는다.
46. 애완동물 사료에 주의한다.
47. 치아의 충전물에 주의한다.
48. 화장품의 성분에 주목한다.
49. 발모제에 주의한다.
50. 담배를 피위 않는다.


** 환경호르몬 목록 **
< 국내 사용 금지 물질 (20종) >
▶ 농약(15종) - aldicarb(살충제), DBCP(살충제), DDT(살충제),
beta-HCH(살충제), lindane(살충제), PCP(방부제,살균제),
toxaphene(살충제), maneb(살균제), zineb(살균제), chlordane
(살충제), dieldrin(살충제), heptachlor(살충제), 2,4,5-T(제초제),
nitrofen(제초제), amitrole(제초제)
▶ 산업용 화학물질(2종) - PCBs(변압기절연유), PBBs(난연제)
▶ 부산물/ 대사물(3종)- DDE(DDT 대사물), h-epoxide(heptachlor 대사물),
oxychlordane (chlordane 대사물)

< 취급제한 등 규제되고 있는 물질 (27종) >
▶ 농약(19종) - endosulfan(살충제), ethylparathion(살충제), trifluralin(제초제),
2,4-D (제초제), carbaryl(살충제), cypermethrin(살충제),dicofol(살충제),
fenvalerate(살충제), malathion(살충제), ethomyl(살충제),
ziram(살균제, 가황촉진제, 안료, 도료, 잉크첨가제),
alachlor(제초제), benomyl(살균제), esfenvalerate(살충제),
mancozeb(살균제), metiram(살균제), metribuzin (제초제),
vinclozolin(살균제), permethrin(살충제)
▶ 산업용 화학물질(2종) - tributyltin oxide(방오제), 4-nitrotoluene(합성중간체)
▶ 부산물/ 대사물(2종) - dioxins/furans(소각시설 부산물)
▶ 관찰물질 지정(4종) - alkyl(C=5~9)phenol [pentyl~nonylphenol]
(합성중간체, 안료, 도료, 잉크첨가제), bisphenol A(합성수지),
DEHP(가소제), BBP(가소제)

< 미규제 물질 (20종) >
▶ 자료 수집,검토중(5종) - benzophenone(생산출발물질/중간체,
안료, 도료, 잉크첨가제), DBP(가소제), DCHP(가소제), DEP(가소제),
diethylhexyl adipate(가소제)
▶ 부산물/ 대사물(4종) - benzo(a)pyrene(불순물,부산물),
octachlorostyrene(대사물,부산물), styrene dimers/trimers(불순물,부산물)

< 국내 유통된 사례가 없는 물질(11종)>
▶ 농약(6종) - hexachlorobenzene(살균제,합성중간체), atrazine(제초제),
kepone(살충제), methoxychlor(살충제), mirex(살충제), transnonachlor(살충제)

▶ 산업용화학물질(5종) : DHP(가소제), DprP(가소제), DPP(가소제),
2,4-Dichlorophenol(원료중간체), n-butylbenzene(합성중간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