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24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자궁근종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이란 자궁 근육 조직의 일부가 이상 발육되어 딱딱한 덩어리가
되는 양성종양을 뜻한다. 화면을 보면, 방광, 직장, 자궁이 있는데
자궁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기가 자랄 수 있도록 무한정으로
늘어나는 근육주머니라고 생각하면 돼.
혹의 크기는 밤톨만한 것에서부터 어른 주먹보다 큰 것까지 다양한데,
발생 장소에 따라 점막하근종(자궁내막 가까이 있는, 출혈 많음),
근층내근종(근육 내에 있는, 통증 유발, 생리양 많아짐),
장막하근종(별 증상 없고, 소변 자주 보는) 등으로 구분된다.

* 가임기 여성이라면 누구든 자궁근종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원인?
아직까지는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다.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궁근육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가
외부 호르몬이나 여러 영향에 의해 점점 더 커지게 되는 것..

* 자궁근종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나?
근종은 위치나 크기에 따라 불임, 유산, 조산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불임환자의 5~10%가 자궁근종과 관련이 있으며, 자궁근종이 불임의
유일한 원인 인자인 경우는 3~5%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강에 변화를 주는 근종이 발생했을 때, 불임이나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장막하 근종은 임신율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점막하 근층내 근종은 영향을 미쳐 임신율이 떨어진다. 특히 점막하
근종은 자궁강의 모양을 변형시키는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불임과
유산을 증가시키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 생리통이 자궁근종과 연관이 있나?
평소에 없던 생리통이 생겼거나 갑자기 심해졌거나 생리기간 내내
지속되는 통증을 나타내는 경우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종, 자궁내막증
혹은 골반염이나 가눙내 피임장치 등 자궁이나 난소,, 골반의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자궁근종의 경우 심한 생리통외에 생리양도
많아지는데 특히 자궁근종 중에서 점막하근종의 경우에는 크기가
적더라도 대개 전부 출혈이 나타나고, 자궁근육내근종은 자궁내막을
침범한 경우에 출혈과다 혹은 생리기간 외에도 질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어쨌든 생리 변화가 나타난다면 문제가 생겼다는 일종의 신호!

* 스스로 느낄 수 있는 자각증상이 또 있다면?
1. 생리불순 및 과다
2. 잦은 소변과 변비(방광을 눌러 방광염과 같은 증상)
3. 아랫배와 허리, 골반 통증
4. 빈혈(어지러움증), 무기력증, 호흡곤란
5. 불임, 유산, 조산

* 자궁을 들어낸다는 건 여성의 상징을 잃는 건데 여성으로선 너무나
큰 것을 잃는 것 아닌가?

많은 분들이 그런 생각 때문에 자궁적출수술을 꺼려하는게 사실이다.
특히 자궁적출술을 받고 나면 비만증, 조기폐경증후군,
성생활 장애가 나타난다고 알고 있지만 모두 잘못된 상식이고
의학적인 근거가 없다. 자궁은 수정되어 착상을 한 태아가 성장을
하기위한, 단지 출산을 위한 기관으로의 역할을 할뿐, 자궁이
여성호르몬을 분비하지않고 수술 후 남겨진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이
계속 분비되므로 적출술 후에도 생리적으로 완전한 여성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술 후 다른 점은 더 이상 생리가 없는
상태로서 출산이 불가능하다는 것
(그래서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겐 적출술 시행하지 않아..)
이것 외에는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하혈, 요통, 염증성 질환으로부터
해방되어 삶의 질이 좋아진다.

* 자궁 전체를 들어내야만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
①자궁의 크기가 임신 3개월 이상 크기가 될 때
②자궁근종의 2차 변성이 와있을 경우
③혹이 급격히 커질 때
④자궁출혈이 심한 점막하근종
⑤다른 자궁질환이 같이 있는 경우
⑥주위 장기를 누르는 증상이 있을 때

* 자궁에 혹이 생기면, 암으로 전이된다?
정답은 "X"다.
자궁암과 자궁근종은 태생부터 다른 것이다.
자궁근종으로 진단 받은 후에 암으로 전이되는 경우는 거의 없어.
다만, 육종이라고 근종에서 암이 되는 경우가 있긴한데 확률은 1% 미만.
육종 말고도 자궁내막 안에 암이 생기기도 하는데 특히 나이 드신
분들이 자궁이 커지면서 폐경인데도 출혈이 있다든지 이런 경우는
자궁내 다른 암을 의심해볼 수 있으니 조직검사를 받드시 받아보도록!

* 폐경이 되면 자궁근종이 없어지니 그때까지 버티면 된다?
정답은 "X"
폐경이 되면 자궁근종이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해서 무조건 버틴다거나
민간요법이 약물치료로 자궁근종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는 말에
현혹되어 치료받는 환자들이 적지않은데 결코 효과적인 치료라고
할 수 없다. 약물치료는 수술 전 혹이 너무 커서 크기를 줄일 때
보조적으로 쓸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근종을 없애는데 도움이
안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