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17일 목요일

2007년 자활사업

2007년도 자활사업안내
















































































목 차











제1장 자활사업 제도 개요 1



Ⅰ. 의의 및 추진경과 2



Ⅱ. 2007년도 주요변경내용 9



※ 2007년도 자활사업 예산현황14






제2장 자활사업대상자 선정 및 관리15



Ⅰ. 자활사업대상자 17



Ⅱ. 대상자 선정 19



Ⅲ. 대상자 관리(가구별자활지원계획)28



Ⅳ. 조건이행여부 확인 및 생계급여의 중지 39



Ⅴ. 지역자활지원계획의 수립44






제3장 자활사업 프로그램48



Ⅰ. 사회적응프로그램49



Ⅱ. 지역봉사75



Ⅲ. 자활근로사업83



Ⅲ-1. 주거현물급여 집수리사업125



Ⅲ-2. 자활사업 수익금 관리149



Ⅲ-3. 광역자활사업158



Ⅳ. 자활공동체 지원사업162



Ⅴ. 창업지원사업171



Ⅵ. 자활소득공제(자활장려금)사업206






제4장 자활사업 지원체계210



Ⅰ. 자활후견기관211



Ⅰ-1. 청소년자활지원관228



Ⅱ. 광역자활지원센터 지원사업 253



Ⅲ. 자활후견기관협회256



Ⅳ. 자활기관협의체259



서 식263



부 록311



제1장 자활사업 제도 개요
























Ⅰ. 의의 및 추진경과








1. 목 적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자활사업을 통해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이 스스로 자활할 수 있도록 자활능력 배양, 기능습득 지원 및 근로기회 제공



○조건부 생계급여제도는 자활사업 참여를 조건으로 생계비를 지급받도록 하여 국가의 보호에 안주하는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임






2. 자활사업 추진체계









구 분



기능·역할



비 고





보건복지부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총괄



○ 종합자활지원계획 수립(매년 12월)



○ 자활프로그램 개발·추진



○ 자활후견기관 지정·관리



자활정책·사업



총괄관리





시·도



시·군·구



○ 지역자활지원계획 수립(매년 1, 2월)



○ 기초생활보장기금의 설치·운영



○ 급여 실시여부 및 내용결정, 지급



○ 자활기관협의체 운영



○ 자활사업 추진



○ 생계급여중지여부 결정



자활사업



총괄시행





읍·면·동



○ 급여 신청·접수, 조건부수급자 책정



○ 가구별자활지원계획 수립·관리



조건부수급자



선별·관리





노동부



○ 종합취업지원계획 수립(매년 12월)



○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추진



취업대상자



총괄관리





고용지원센터



○ 개인별 취업지원계획 수립·관리



○ 취업알선 등 취업지원프로그램 시행



○ 취업대상자의 조건이행여부 확인



취업지원시행





3. 자활사업 추진경과(1999. 9~2006. 12)









일 시



추 진 내 용



비 고





○ 1999. 9. 7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공포(법률 제6024호)








○ 1999.10∼2000. 2월



○ 기초생활보장시행방안(자활지원사업 등 4개분야)



연구용역








○ 2000. 3∼4월



○ 모의적용사업 실시 및 자활사업 지침마련․교육



- 자활사업지침 보완 및 교육(8월)








○ 2000. 7월



○ 자활후견기관 50개소 확대지정



※’99년 20개소 → 2000년 70개소



○ 시행령 제정․공포(대통령령 제16924호)



○ 시행규칙 제정․공포(보건복지부령 제169호)








○ 2000. 7∼9월



○ 지역특성별 자활지원모형 개발 연구용역



- 지역사회 자활사업 공급자원조사








○ 2000. 10월



○자활사업대상자 선정․통지 및 가구별 자활지원계획 수립



○시․군․구 복지행정시스템 및 고용안정망



(work-net) 연계 실시



○시․군․구 자활기관협의체 구성



○장애인 직업재활․학생․자활공동체 참가자에게



10%∼15%의 소득공제 실시








○ 2000. 11월



○자활사업 실시








○ 2000. 12. 27



○ 2001년 종합자활지원계획 수립








○ 2001. 1∼3월



○ 자활사업 담당자 합동교육



○ 조건부수급자 선정 재확인 전면 실시



○ 소득공제 1차 시범사업 실시








○ 2001. 4∼7월



○지자체 자활사업 추진상황 평가제도 도입








○ 2001. 5∼7월



○간병도우미사업 실시방안 공청회 및 매뉴얼 작성․보급



○ 재활프로그램 실시기관 22개소 지정․실시








○ 2001. 6월



○ 자활후견기관 157개소로 확충








○ 2001. 9∼12월



○ 자활후견기관 평가지표개발 및 실시








○ 2001. 12. 18



○ 2002년도 종합자활지원계획 수립














일 시



추 진 내 용



비 고





○ 2002. 1월






○ 2002. 1. 17



○ 2002. 1. 22



○ 지방자치단체 자활사업 종합평가실시



○ 근로소득공제 2차 시범사업 실시(16개 시·군·구)



○ 전국표준화자활사업 추진반 구성



○ 민․관 자활사업담당자 합동교육실시








○ 2002. 2월



○ 재활프로그램실시기관 34개소 지정








○ 2002. 3월



○ 2002. 3. 29



○ 불완전취업자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추진



○ 2001년도 자활우수기관 29개 시·군·구 지정








○ 2002. 4∼6월



○ 집수리사업 기술교육훈련실시(1∼4차)



○ 자활후견기관 지정취소 3개소(총164개소)








○ 2002. 5. 16



○ 2002. 5. 29



○ 저소득층 자활사업 실태조사(패널조사)



○ 재활프로그램 실시기관 10개소 추가지정(총44개소)








○ 2002. 6월






○ 2002. 6. 20



○ 집수리사업 중점실시기관 선정(24개소)



○ 자활후견기관 신규지정 11개소(총175개소)



○ 하반기 자활사업 중점추진방향 시·도계장회의








○ 2002. 7월



○ 전국자활후견기관사업안내 및 홍보책자 발간



- 『 희망을 나누는 일터 』








○ 2002. 9월



○근로소득공제율 30% 상향 조정



(장애인직업재활시설·자활공동체 참가자, 학생)








○ 2002. 10월



○ 집수리자활사업 추진현황 점검·교육








○ 2002. 11. 18-19



○ 자활사업단 연수대회 개최(600명)








○ 2002. 12월



○ 2003년 종합자활지원계획 수립



○ 자활후견기관 신규지정 18개소(총192개소)











○ 2003년 근로소득공제 시범사업 실시계획 통보



- 16개 시·군·구, 5개 모형, 2만 수급자 가구 대상














일 시



추 진 내 용



비 고





○ 2003. 1월



○ 2003년도 근로소득공제 시범사업 실시(7개 모형)



- 16개 시․군․구, 32천 수급자 가구 대상








○ 2003. 2월



○ 2003년도 재활프로그램기관 지정(35개소)








○ 2003. 3월



○ 저소득층 생업자금융자 활성화 조치








○ 2003. 5월



○ 저소득층의 탈빈곤을 위한 자활정책 추진방안 마련



- 자활정책기획팀 구성․운영



○ 저소득층 자활사업실태조사(2차)








○ 2003. 7월



○ 재활프로그램실시기관 6개소 추가 지정(총40개소)



○ 자활후견기관 신규 지정(17개소)








○ 2003. 7∼10월



○ 지방자치단체 자활사업 평가



- 평가결과 26개 우수 지자체 선정








○ 2003. 7∼11월



○ 자활후견기관 자활사업 평가



- 평가결과 45개 우수기관 선정








○ 2003. 8월



○ 자활정책․지원제도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실시



('03. 8월 ∼ '04. 1월)








○ 2003. 11월



○ 자활수기집 제1집 발간(내 힘으로 다시 사는 삶)



○ 전국자활연수대회 개최(500명)








○ 2003. 12월



○ 자활근로사업 연속성 확보 추진(10월 → 12월)



○ 근로소득공제 시범사업 완료('01.5월∼'03.12월)











○ 2004년 종합자활지원계획 수립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규칙 개정



- 자활사업참가자에 대한 근로소득공제 확대














일 시



추 진 내 용



비 고





○ 2004. 1월



○ 자활근로사업 다양화 추진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