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28일 월요일

식약청 정보 안전한 눈화장을 위한 주의사항

안전한 눈 화장을 위한 주의사항






□ 눈 화장품의 종류



○ 아이브라우 펜슬(eyebrow pencil)



○ 아이 라이너(eye liner)



○ 아이 섀도우(eye shadow)



○ 마스카라(mascara)



○ 아이 메이크업 리무버(eye make-up remover) 등






□ 안전한 눈 화장을 위한 주의사항






1. 화장품에 미생물 오염방지를 위해 보관․취급에 주의한다.






○ 모든 화장품을 청결히 유지한다.



세균이나 곰팡이가 화장품 용기나 화장품에서 증식할 수 있다. 눈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장품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먼지나 미생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뚜껑을 꼭 닫고, 화장을 하기 전 손을 깨끗이 씻는다. 눈 화장에 사용하는 도구(브러쉬, 아이팁 등)를 자주 세척해서 청결히 관리한다.






○ 화장품에 물과 같은 액체를 첨가하지 않는다.



화장품 농도를 묽게 만들거나 굳은 화장품을 녹이기 위해 물과 같은 액체를 첨가해서는 안 된다. 물과 같은 액체는 화장품의 보존력을 떨어뜨리고 세균 침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고온에서 화장품을 보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뜨거운 차 안이나 햇빛이 비치는 곳에 화장품을 장기간 보관하면 빛과 열에 의해 화장품의 보존제가 제 기능을 잃어 세균, 곰팡이가 증식할 수 있다.






2. 화장할 때 눈이 다치거나 자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한다.






○ 움직이는 차 안에서 가급적 눈 화장을 하지 않는다.



갑작스럽게 차가 멈추거나 충돌하면 마스카라 등 눈 화장 도구 때문에 눈에 상처를 입을 수 있다.






○ 다른 사람과 함께 쓰거나 바꿔 쓰지 않는다.



눈가 화장품을 다른 사람과 함께 쓰게 되면 세균이 옮을 수 있다.



화장품 가게에서 샘플을 쓸 때도 면봉과 같은 일회용품을 이용하여 샘플 테스트를 한다.






○ 눈에 화장품성분이 들어가지 않게 주의한다.



눈에 화학성분이 들어가면 결막과 각막에 자극을 주어 결막충혈, 이물감, 염증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눈 안쪽 깊숙한 곳까지 라인을 그리거나 눈 화장 이후에 눈꺼풀을 비비거나 문지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염증을 일으키는 눈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화장품 사용으로 인해 눈 안이 심하게 따끔거리거나 가렵거나 염증이 일어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염증이 지속되면 의사를 찾는다.






○ 눈에는 눈 화장용 제품만 바른다.



립라이너를 아이라이너로 사용하지 않는다. 입가의 감염이 눈에 전달될 수 있고, 립라이너에는 눈가에 적합하지 않은 첨가제가 들어 있을 수 있다.






3. 이럴 때는 눈 화장에 특히 주의






○ 눈이나 눈 주변에 염증이 있을 때는 눈 화장을 하지 않는다.



눈 화장으로 인해 염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눈 주위가 부어오르거나 염증이 있을 때는 눈 화장을 하지 않는다.






○ 렌즈를 착용할 경우 눈 화장은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렌즈 착용 중 눈에 화장품이 들어가면 눈을 비비거나 렌즈를 제거하는 과정에 눈에 미세한 상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화장품 성분이 렌즈에 침착되어 이물감, 알레르기, 안구 건조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렌즈 착용 시 눈 화장은 자극이 적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눈 화장을 지울 때는 렌즈부터 빼야 한다.






○ 오래되거나 변질된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화장품이 오래되면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마르거나 굳은 마스카라, 색깔이 변했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는 화장품은 과감하게 버린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