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17일 목요일

골절

[동의어]----골절, Bone fracture

[정 의]

- 뼈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부러진 상태를 말함
골절타입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음
- 완전골절 : 뼈가 부러져 완전히 분리됨
- 불완전 골절 : 부러진 뼈가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음
- 분쇄성 골절 : 부러진 부위에 뼈 조각이 2개 이상 있음
- 개방성 골절 : 부러진 뼈에 의해 피부가 손상됨
- 폐쇄성 골절 : 부러진 뼈가 피부를 손상시키지는 않음
- 압박성 골절 : 뼈에 심한 압력이 가해져 골절이 일어남
- 치밀성 골절 : 부러진 끝이 서로 맞물려 들어감
- 분열성 골절 : 심줄에 힘이 가해져 뼈가 어긋남
- 병리적 골절 : 질환에 의해 약해져 있는 뼈에 경미한 손상을 입어
일어나는 골절

[관련 신체부위]----뼈

[성별/나이]----남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증 상]

- 골절부위에 통증과 부종이 생김
- 골절 부위를 누르면 아픔
- 피부 색깔이 창백해지고 기형이 되기도 함
- 골절 아래부위에 맥박이 없어짐(사지에서 많이 일어남)
- 정신이 몽롱해지고 골절 아랫부위가 마비되기도 함
- 해당 부위에 출혈이 생기거나 시퍼렇게 됨
- 체중을 버틸수 없을 만큼 약해짐

[원 인]----외상을 입은 경우

[위험인자]

-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 뼈나 골수에 종양이 생긴 경우
- 외상을 입을 만한 위험한 활동을 하는 경우
- 사고를 일으킬만한 무모한 행동을 하는 경우

[예방법]

- 알콜이나 정신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한뒤 운전하지 말것
- 스포츠를 할때는 보호용의복을 입을것
- 좌석 벨트를 착용할것
- 골다공증이 있을때는 치료계획대로 잘 지키고 상처를 입을 만한 상황은
피할것

[진단법]

- 자가진단으로 이상여부 관찰
- 전문인의 검진
- 혈액손실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 손상부위의 X-선 촬영

[합병증]

- 치료에 실패함
- 혈액 손실로 쇼크에 빠짐
- 손상부위에서 폐와 뇌로 지방세포 조각이 떠돌아 다님
- 가까이 있는 동맥이 막힘

[치료전망]

- 노련한 응급처치와 계속적인 치료로 회복될수 있음
부러진 뼈는 손으로 잘 맞추어 되도록 움직이지 않게 해줄것
6시간이 지나면 뼈를 맞추기가 더욱 어려워짐
치유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양함
골절부위 뼈가 움직이지 않을 때 회복이 완전해지며, X-선 촬영을
해 봄으로써 완전히 치유되었는지의 여부를 알수 있음

[치료법]

1. 일반요법

- 응급 처치법을 알아둘것
- 손상 부위를 고정시키고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시킬것. 손가락,
손목, 팔, 다리, 발목등의 골절이 분명한 경우에는 딱딱하게
말아올린 종이, 나무, 철판등으로 임시 부목을 만들것



- 옷이나 그밖의 물질을 이용해 손상받은 사지에 부목을 단단히 고정시킬것
- 등이나 목에 심하게 상처를 입어 골절이나 탈골이 의심될 때에는
앰블런스 차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를 따뜻하고 안정되게 유지시킬것

[치료법] --- 계 속 ---

2. 약물요법

- 전문인이 다음과 같은것을 지시해 줄 수 있음
- 진통제
- 골격근 이완제

[생활시 유의사항]----증상이 호전되는 즉시 정상적인 생활을 되찾을것

[식이요법]




- 필요없음
- 치유를 돕기 위해 비타민C 제제를 복용할 것

[전문인과 상담해야 할 경우]

- 골절증상이 느껴진는 경우
- 수술이나 부목 고정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느껴지는 경우
- 골절 부위 위나 아랫부위에 부종이 생김
- 심하고 지속적인 통증 - 골절 아랫 부위에 감각이 없어짐
- 골절 아랫부위, 특히 손톱밑의 피부가 푸르스름하게 되거나
잿빛으로 변함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