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28일 월요일

진피 콜라겐으로 본 튼살 치료

우리의 세계는 겉층과 심층으로 되어 있다. 즉 흙도 표토와 심토로 구분되는 것처럼 피부도 28일마다 새로워지는 표피와 진피가 있으며 사실 진피가 진짜 피부라고 할 수 있다.



진피는 표피와 피하지방층 사이에 있다. 진피는 표피를 구조적으로, 영양적으로 지지한다.



진피는 표피와 물결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물결모양의 진피 유두체부분에 모세혈관, 신경섬유 등이 들어있다. 젊은 피부일수록 물결 모양의 경계부의 요철이 심하고 탄력이 있다. 진피의 두께는 다양한데,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제일 두껍고, 눈꺼풀과 페니스에서 가장 얇다. 나이가 들면 진피는 얇아지고 탄력성을 잃게 된다.



진피는 콜라겐. 엘라스틴, 기질로 이루어져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콜라겐이다. 교원섬유라고 불리는 콜라겐은 진피의 주성분(75%)으로 피부에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하며, 상처치유와 반흔(흉터)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노화된 주름은 치료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튼살도 진피 콜라겐의 문제이기 때문에 튼살은 치료가 된다.



기존 의학책에는 튼살은 선조팽창이라고 불리며 치료가 안되는 증상이며, 교과서상에도 거의 좁은 부위를 차지하였다. 치료가 안되는 줄로 알고 있지만 사실상 치료가 잘되는 질환이며, 치료할수록 좋아지는 특성이 있다.



튼살은 스테로이드, 여성 호르몬, 키가 크거나 살이 찌고 빠질 때 주로 잘 생기며, 의학적으로는 아직 확실한 원인은 미스테리이다. 하지만 치료는 침 위주로로 하며 이미지 한의원만의 특수침으로 지속적으로 치료가 잘 된다. 하지만 임신하거나 다시 살이 찌거나 빠지면 치료가 잘 안되기 때문에 미혼시기이거나 완전히 출산을 끝내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겨울철은 노출이 거의 없으며, 온도가 낮으므로 세균번식이 적고, 관리하기가 무척 쉽다. 휴가나 방학기간을 이용해서 꼭 소원이던 짧은 치마나 비키니를 입어보자.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