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21일 월요일

한의학에서는 가슴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韓醫是如何認識乳房的?



한의학에서는 유방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對乳房經絡、解剖、生理、病理的認識,在最早的韓醫經典著作《內經》中已有記載,後世醫家也多有論述,如“男子乳頭屬肝,乳房屬腎;



유방의 경락, 해부, 생리, 병인의 인식에 대해서 최근 일찍 한의학 경전의 저작인 내경중에 기재가 있으니 후세 의사가 많이 남자의 유두는 간에 속하며, 유방은 신에 속한다고 논술하였다.



女子乳頭屬肝,乳房屬胃”,指出了乳房的經絡歸屬;



여자의 유두는 간에 속하며, 유방은 위에 속한다고 하니 유방의 경락에 귀속됨을 지적하였다.



“婦人乳有十二穰”,指出了乳房的解剖結構;



부인의 유방은 12양이 있음은 유방의 해부의 결체를 지척함이다.



“沖任爲氣血之海,上行則爲乳,下行則爲經”,指出了乳汁的生成來源;



충맥과 임맥은 기와 혈의 바다가 되며 위로 가면 유방이 되며 아래로 가면 월경이 된다고 함은 유즙의 생성내원을 지적함이다.



“婦人以沖任爲本,若失於將理,沖任不和,或風邪所客,則氣壅不散,結聚乳間,或硬或腫,疼痛有核”,指出了沖任不和是乳房病重要的發病因素之一。



부인은 충맥과 임맥이 근본이 되며 만약 이치를 잃어서



這些論述,爲韓醫乳房病學理論體系的形成奠定了基礎,是現代韓醫乳房病理論研究和臨床診治的學術淵源。



이런 논술로 한의학의 유방병학의 이론체계의 형성의 기초는 현대 한의학의 유방병리론의 연구와 임상 치료의 학술 연원이 된다.



一般認爲,對乳房的生理、病理影響最大者爲: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유방의 생리와 병리의 영향은 최대화한다.



肝、腎、脾胃功能是否正常以及肝胃兩經、沖任二脈是否通調。



간과 신, 비위의 기능의 정상여부와 간경과 비경, 충맥과 임맥이 통조되는지 여부가 주요하다.



在臟腑氣血津液中,以腎的先天精氣、脾胃的後天水穀之氣、肝的藏血與疏調氣機,對乳房的生理病理影響最大。



장부 기혈과 진액중에 신의 선천 정기와 비위의 후천의 수곡의 기와 간의 혈을 저장하고 소설하고 조달하는 기기는 유방의 생리와 병리에 영향이 최대이다.



在乳房的發育過程中,先天腎氣是否旺盛起著決定性的作用。



유방의 발육과정중에 선천 신기의 왕성여부가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腎氣盛,天癸至,使沖任二脈通盛,下可以作用於胞宮而產生月經,令其具有生殖功能;



신기가 왕성하고 천계가 이르고, 충맥, 임맥 두 맥이 통하여 왕성하면 아래로 자궁에 영향을 주어서 월경을 생산하니 생식의 기능이 있게 한다.



上可以作用於乳房,使乳房發育,爲孕育後哺乳作准備。



위로 유방에 작용할 수 있으니 유방을 발육하게 하며 임신과 산육뒤에 젖을 주는 준비가 된다.



泌乳是女子乳房的基本功能,乳汁的分泌及其調節與腎、脾胃及肝關系十分密切。



분비된 젖은 여성 유방의 기본기능이니 유즙의 분비는 신, 비위와 간의 관계가 십분 밀접하다.



腎氣盛則天癸至,乳房發育充分,乳汁則充盈;



신기가 왕성하면 천계가 이르며 유방의 발육이 충분하면 유즙이 차게 된다.



脾胃爲後天氣血之本,氣血的形成來源於脾胃水穀之氣,乳汁的生成也由脾胃水穀之精微所化生,故脾胃氣壯則乳汁多而濃,脾胃氣虛則乳汁少而淡;



비위는 후천 기혈의 근본이 되어 기혈이 형성함은 비위의 수곡의 기에 내원하니 유즙의 생성은 비위의 수곡의 정미가 화생하므로 비위기가 건장하면 유즙이 만고 진하며 비위기가 허하면 유즙이 적고 담담하다.



肝主藏血,肝血虛則乳少。



간은 주로 혈을 저장하니 간혈이 허하면 유즙이 적다.



在乳汁分泌的調節過程中,以肝之疏泄及脾胃之運化最爲重要。



유즙분비의 조절과정중에서 간의 소설과 비위의 운화가 가장 중요하다.



肝失疏泄,氣機鬱滯,或脾胃運化失司,濕熱蘊結,則乳絡閉阻,氣血瘀滯而致乳汁排出不暢,或驟然減少,甚至會煉乳成膿而爲乳癰。



간은 소설기능을 잃고 기기가 울체하며 혹은 비위의 운화가 맡음을 잃고 습열이 쌓여 결체하며 유방 연락이 닫히고 막히면서 기혈이 어혈로 정체하여 유즙이 배출이 창성치 않고, 혹은 갑자기 감소하며 심하면 젖이 고름이 생성하여 유옹이 된다.



乳房的經絡聯系爲:



유방의 경락 연계는 다음과 같다.



乳房與足陽明胃經、足厥陰肝經及沖任二脈有密切的關系。



유방은 족양명위경, 족궐음간경과 충맥, 임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足陽明胃經之直者自缺盆下於乳,貫乳中;



족양명위경은 직접 결분에서 젖의 아래에서 유중을 관통한다.



足厥陰肝經上貫膈,布胸脅繞乳頭而行;



족궐음간경은 위로 횡격막을 관통하며 가슴과 옆구리에 분포되며 유두를 둘러 운행한다.



沖任兩脈皆起於胞中,任脈循腹裏,上關元、至胸中,沖脈挾臍上行,至胸中而散。



충맥과 임맥 양맥은 모두 포 속에서 일어나며 임맥은 복부 안을 순환하며, 관원에 올라가며, 가슴 속에 이르니 충맥은 배꼽을 끼고 상행하여 가슴 속에 이르러 흩어진다.



這些經脈的通調和灌養作用,共同維持著乳房的生理功能。



이 경맥은 조화롭고 영양주는 작용을 통하여, 공동으로 유방의 생리기능을 유지한다.



若經絡閉阻不暢,沖任失調,則可導致多種乳房疾病的發生



만약 경락이 막혀서 창달하지 않고 충맥과 임맥이 조절을 상실하면 많은 종류의 유방 질병의 발생을 인도하게 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