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23일 수요일

유장상법에서 영아의 관상

莫道嬰兒難相,一生出腹可知



영아가 상보기 어렵다고 하지 말고 한번 배에서 나오면 알 수 있다.






解曰: 凡下地小兒, 紅黑色爲妙,白色主夭。



해석에서 말하길 소아가 태어날때 홍색이나 흑색이 오묘하니, 백색은 주로 1달이면 몸이 요절하여 죽게 된다.



身生白瘼滑如糊,因臨盆房事多,而主生瘡疾多病。



몸에 고름이 풀처럼 백색으로 병들고 매끄러우면 분만에 임하여 방사가 많으니 주로 창질과 병이 많게 된다.



  有六件好養:



6가지의 좋은 기름이 있다.



凡男頭髮齊眉好養, 多福利。



1、남자의 머리카락이 눈과 먼 눈썹과 나란하면 잘 길러짐이다. 복과 이익이 많다.



頭寬好養 大貴。



2、머리의 피부가 느슨하면 잘 길러짐이다. 크게 귀하다.



鼻孔出氣、閉口睡好養。



3、콧구멍에서 숨이 나오며 입을 닫고 잘 자면 잘 길러짐이다.



鼻高、唇紅厚好養。



4、코가 높고 입술이 홍색이며 두터우면 잘 길러짐이다.



眼有神、啼高響者好養。



5、눈에 신이 있고 울음이 높고 울리면 잘 길러짐이다.



6、陰囊大皺黑而有弦者好養。



음낭에 큰 주름이 검고 현이 있으면 잘 길러짐이다.



  有二十一件難養:



21건의 기르기 어려움이 있다.



頭皮急,三歲開,面大無鼻梁,一歲開。



1、두피가 급하면 3세에 죽으며 얼굴에 크게 코뼈인 비량(콧대)이 없으면 1세에 죽는다.



鼻梁不起,一歲至死。



2、코뼈가 일어나지 않으면 1세에 죽게 된다.



睛如黑豆,身不滿周。



3、눈동자가 흑두와 같으면 몸이 두루 채워지지 못한다.



睛圓如雞,一周可知。



4、눈동자가 닭처럼 둥글면 1주함을 알 수 있다.



耳軟綿,三歲不全。



5、귀가 솜처럼 연하면 3세에도 완전하지 않다.



沒有腳跟,難過二春。



6、다리와 발꿈치(종아리뼈)가 없으면 두 봄을 넘기기 어렵다.



聲大腹小,一周難保。



7、소리가 크나 배가 작으면 한 해도 보장키 어렵다.



肉重如泥, 骨少,三歲死。



8、살이 진흙처럼 무겁고 뼈가 적으면 3세에 죽는다.



股道無腿,難過一春。



9、곡도(항문)에 주름이 없으면 1봄도 넘기기 어렵다.



唇薄如紙,一歲必死。



10、입술이 종이처럼 엷으면 1해에 반드시 죽는다.



耳後無根,不滿三春.



11、귀 뒤에 뿌리(壽骨)가 없으면 3해의 봄을 채우기 어렵다.



(耳後小高骨,又名玉枕,又名壽根,書云:“無玉枕, 不能言而亡,”正合此也。



귀 뒤에 작은 높은 뼈가 있으면 또한 옥침이라고 이름하니 또한 수근이라고 이름하니 책에서 말하길 “옥침이 없으면 죽는다고 말할 필요가 없다.” 바로 이와 합치한다.



沼有輔弼,只好二七十四歲.



12、소(귓구멍)에 보필하는 뼈가 있으면 다만 14세에 좋다.



(出耳行天停,此骨在髮邊,如無此骨者,十四歲必死)。



귀를 나와서 천정을 운행하면 이는 뼈 뒤에 모발 주변에 있으며 만약 이 뼈가 없으면 14세에 반드시 죽는다.



肉多骨軟,一周不滿。



13、살이 많고 뼈가 연하면 1세를 채우지 못한다.



頭大項細,不滿一周。



14、머리가 크고 뒷목이 가늘면 1세를 채우지 못한다.



雙目無神,不過三春。



15、양쪽 눈에 신이 없으면 세 봄을 넘지 못한다.



眼如含淚,只好二歲。



16、눈에 눈물을 머금고 있으면 단지 2해만 좋다.



頭尖又薄,五歲妨厄。



17、머리가 뾰족하며 또한 엷으면 5세에 액운이 방해된다.



腹大肚小,三歲必了(此言無腿肚也)。



18、윗 배가 크며 밥통(아랫배)이 작으면 3세에 반드시 죽는다. 이는 밥통이 없음을 말함이다.



19、髮黃又束,二歲而死。



모발이 황색이며 또한 묶이면 2세에 죽는다.



20、無眉齒, 早三歲而死.



20. 눈썹과 치아가 없으면 이른 3세에 죽는다.



(凡齒一周內生必好養,一周外生大貴,五、六月生主死,下齒先生者主大聰明,主妨母)。



치아는 1년안에 생기면 반드시 잘 길러짐이며 1년 밖에 생기면 크게 귀하며, 5,6개월만에 치아가 다 생기면 주로 죽는다. 아래 치아가 먼저 생기면 주로 크게 총명하나 주로 어머니를 방해한다.



凡小兒欲頂平、耳正兼硬、聲高氣足、神爽方好養。



21、소아가 정수리가 평평하며 귀가 바르며 겸해서 단단하며 목소리가 높고 기가 풍족하면 정신이 상쾌하며 잘 길러짐이다.



書云:神昏氣暗,必是貧窮之漢。



책에서 말하길 정신이 혼미하며 기가 어두우면 반드시 빈궁한 사나이다.



第一件總論,凡小兒欲聲高清響亮,亮而堅者爲妙,非貴即富。



제일건을 모두 말하면 소아는 목소리가 높고 맑고 울림이 밝아야 하며, 밝고 단단함이 오묘하니 귀하지 않으면 부유해진다.



以前相下地百日內之訣。



앞의 관상은 태어난지 백일안의 비결이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