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31일 토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www.imagediet.co.kr 돌연심장사

突然心臟死 (Sudden Cardiac death)


□一般目標
突然心臟死의 意味와 原因을 理解하여 臨床的으로 應急的 狀況을 對處하는데 있다.

□具體的 學習目標
1.突然心臟死의 正義를 理解한다.
2.突然心臟死의 原因 및 機轉을 說明할 수 있어야 한다.
3.突然心臟死와 急性 心筋硬塞과의 關係를 說明할 수 있어야 한다.
4.突然心臟死에 對한 對處法을 說明할 수 있어야 한다.


1.突然心臟死의 定義
(Definition of Sudden Cardiac death)

WHO 국제 질병 분류에 의하면 발병하여 24시간이내에 사망할 때도 있으며, 원인이 불명하고 질병의 징조가 없으며 예기하지 못한 사망을 돌연사 (Sudden death)라고 한다. 돌연사의 원인 질환으로는 심장혈관계 (부정맥, 심근경색, 심tamponade, 대동맥류파열등), 폐경색, 뇌신경질환 (뇌출혈, 뇌경색), 대량출혈 (소화관, 복강내), Anaphylaxy, 질식등을 들 수 있는데 이중, 심장혈관계 질환으로 인하여 확실히 돌연사가 발생한 경우를 돌연심장사 (Sudden Cardiac death)라고 한다.
韓醫學에서는 그 임상증상이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혼수상태가 되고 빠른 시간안에 사망하는 경우로보아 “궐증”,“탈증”및 “猝中”“眞心痛”등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수 있으나 그 치료법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2.突然心臟死의 原因 및 機轉
(Causes and Mechanisms of Sudden cardiac death)
돌연심장사의 원인은 돌연적이고 예견하지 않았던 심박정지 (Cardiac arrest)이며 심박정지
기전으로서는 심실빈맥 (VT)과 심실세동 (VF)을 주로 하는 빈맥성 부정맥, 방실block과 동정지에 의한 서맥 혹은 심박정지와 electromechanical dissociation (EMD)등이며 빈맥성 부정맥이 대부분이고 이 중에도 심실세동이 많고 서맥성부정맥은 20-30%정도이며 EMD는 심tamponade, 대동맥류 파열등에서만 발생된다. 이러한 심박정지를 일으키는 기초질환들로는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심근증 (비대형 또는 확장형), 심 tamponade, 대동맥류 파열, 폐경색, 심장종양, 약물중독, 신경반사, 전기 shock, anaphylaxy등이 있다. 결국 돌연심장사의 원인 및 기전을 종합해보면 돌연심장사는 심근경색, 관상동맥 경화증 등의 기초질환에 의해 야기되고 심실세동, 심실빈맥, 완전방실Block같은 중증 부정맥을 신속하게 치료하지 못하므로써 심박정지 (Cardiac arrest)가 온 상태이다.
돌연심장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인은 관상동맥의 급격한 폐색으로 발생되는 급성심근경색으로 즉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연심장사의 출현율은 생후 0-6개월 사이, 45-75세 사이에 최고를 이루며 위험인자 또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3.突然心臟死와 急性心筋硬塞과의 關係
(Relation of Sudden cardiac death and Acute myocardiac infarction)
급성심장사의 救命된 예에서 救命후에 급성심근경색의 경과를 취하는 예는 전체의 1/3이하이며, 나머지 2/3에서는 관동맥경화는 확실하나 경색은 없다. 경색이 없는 급성심장사 구명예에서는 치사적인 부정맥 재발율이 경색예보다 높고 예후가 불량한 데 이는 전기적이상을 주체로 하는 허혈성 질환말기의 한 증후군 (sudden cardiac death syndrome)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돌연심장사와 급성심근경색과의 관계를 발병에서 사망까지의 시간, 심근경색에서의 심전도 및 효소의 변화, 부정맥, 치사적 부정맥의 재발 측면에서 살펴보면 표1과 같다.



심근경색
돌연심장사
발병에서 사망
수분-1시간
순간적
심근경색의 심전도변화


효소변화


부정맥


치사적부정맥의 재발
5%이하
30%
[ 표 .心筋硬塞과 突然心臟死 症候群의 差異 ]


4.突然心臟死에 對한 對處法

돌연심장사의 원인은 심근경색같은 여러질환에 의해 발생되는 중증부정맥(심실세동, 심실빈맥, 완전방실블럭)으로 인해 심박정지가 오는것이므로 기초질환에 대한 치료도 중요하다. 우선 고려되어져야 할것은 중증부정맥에 대한 응급적 치료이다. 이를테면 치료받지 않은 심실세동은 3-5분내에 비가역적 뇌손상을 일으키고 그후 바로 죽는다. 突然心臟死의 원인인 심박정지를 예방할수 있는 방법은 신속한 심폐소생술의 실시와 초기 심실세동을 빨리 제거해주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