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29일 목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혈액투석

혈액투석
1. 혈액투석이란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신 대체 요법의 하나로 투석기(인공 신장기)를 이용하여 혈액으로부터 노폐물을 걸러주고 신체내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과잉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혈액투석을 받기 위해서는 혈관에 투석치료를 위한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외과적 수술을 통해 주로 前膊의 동맥과 정맥혈관을 연결해서 혈관을 점점 굵게 만드는 것으로 이 굵어진 혈관을 동정맥루라고 한다. 동정맥루가 충분히 굵어지면(약 6주 이상 소요) 주사바늘을 이곳에 삽입하여 투석기와 연결한 후 투석치료가 시작된다. 혈관이 발달하지 않은 사람들은 인공혈관을 사용해 누관을 만들 수 있다. 만약 동정맥루를 만들기 전에 혈액투석을 해야 하는 급한 상처에서는 플라스틱관을 어깨부분의 큰 혈관이나 서혜부정맥에 넣어야 투석이 가능하다. 어깨부분의 큰 혈관에 넣은 관은 2주에서 한달 정도 사용할 수 있다.

2. 혈액투석의 원리
투석기는 환자 혈액이 지나가는 부분과 투석액이 지나가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얇은 막(반투막)이 이 사이에 있으며 이 막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이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으로 빠져나가고 혈액세포와 단백질과 같은 우리 몸에 필요한 성분들은 크기 때문에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대로 남게 된다. 또한 신체에서 부족한 성분(칼슘, 당분 등)들은 투석액에 넣어주면 투석액으로부터 혈액으로 보충된다. 즉, 반투막을 경계로 한쪽에는 노폐물이 축적된 환자의 혈액과 다른 한편에는 정상인의 세포외액과 조성이 비슷한 투석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혈액 내에 축적된 요소와 다른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을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에 의해 제거하고 정수압의 차이를 만들어 혈장을 한외 여과시켜 혈장내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3. 혈액투석이 필요한 경우
언제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가 하는데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신장기능이 정상의 5% 이하가 될 때로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4-8ml/min 이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치가 10mg/dl 이상이 되면 투석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이보다는 환자분이 느끼는 증상(자각증상)이 중요하며, 예를 들면 심하게 메스껍거나 토하는 경우, 손발이 저릿저릿하는 경우, 요독에 의한 출혈증상이 생기는 경우등에는 비록 신장기능이 많이 있어도 투석을 시작할수도 있다.

4. 혈액투석의 방법
① 혈관수술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잘 쓰지 않는 쪽 손의 손목부위에 국소마취를 하여 동맥과 정맥을 문합하여 혈관을 크게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후 4-8주 지나면 수술한 혈관 사용이 가능하며, 그 동안 혈액투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대퇴정맥 혹은 쇄골하정맥등에 도관을 삽입하여 혈액투석을 해야한다.

② 횟수, 시간, 방법
일주일에 3회 하며 시간은 1회에 4-5시간 동안 하게 되는데 피검사 결과, 환자의 신장의 잔여기능정도, 식이조절능력, 식사습관, 인내력등에 따라 횟수와 시간을 결정한다. 방법은 혈관수수을 한 부위로 부터 10cm 정도 떨어진 곳에 주사바늘을 찔러 혈액이 나오게 한 후 인공신장기를 통해 걸러진 피를 다시 몸속으로 넣어 주는 것이다.

5. 혈관(동정맥루)관리
동정맥루란 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혈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혈관이 필요해 보통의 말초 혈관으로는 시행할 수 없으므로 간단한 수술을 통해 환자의 팔과 다리 등에서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혈관을 굵게 만드는 것으로 당뇨병 등으로 인하여 환자의 혈관이 좋지 않은 경우 인조 혈관을 삽입하게 된다.
동정맥루가 있는 팔에는 시계같은 금속물을 착용하지 않는다.
∘ 손목을 꼭 죄는 옷을 입지 않는다.
∘ 혈압을 잴 때에는 투석하지 않는 팔에서 재며, 투석하는 쪽의 팔을 베고 자지 않도록 한다.
∘ 따뜻한 물수건으로 찜질을 자주 해준다.
∘ 투석받는 혈관에서 󰡐쉭쉭󰡑소리가 나는지 자주 확인한다.

6. 혈액 투석의 기본 구조
투석기와 투석액, 그리고 투석 기계를 필요로 하며 투석기계 내에는 혈액 배달 장치와 투석액 배달 장치가 포함된다.


7. 혈액투석의 장점과 단점
① 장점
병원에서 시행되므로 안전하며 의료요원이 치료를 담당하며 다른 환자와 의료요원과의 정기적 접촉이 가능하며 폐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

② 단점
동정맥루를 만들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며 고정된 스케줄로 기계에 시간이 구속되며 혈액내 전해질 변화가 심하며 심장 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고 투석간 식이 요법 및 수분 섭취 제한이 필요하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