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31일 토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식욕억제제 웰피온 비만약

웰피온 휴온스

약효분류 식욕억제제(Anorexiant)

효능효과 [효능효과에 따른 관련약품 검색]
[질환별 복약지도]
적절한 체중감량요법(식이요법 및/또는 운동)에 반응하지 않는 초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 BMI)가 30 kg/m2 이상 또는 다른 위험인자(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가 있는 BMI가 27kg/m2 이상인 비만환자에서 칼로리 제한을 기본으로 하는 체중감량 요법의 단기간 보조요법 이 약은 다른 식욕억제제와 병용하지 않고 단독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급여기준조회

용법용량 [용법용량에 따른 관련약품 검색]
성인 : 1일 3회, 1회 1정(25mg)을 식사 1시간 전에 복용한다.
남용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초기(2주이내) 투여량은 가능한 최소량을 처방하거나 조제하되 적절한 반응을 얻을 수 있도록 개인별로 조정하여야 한다.
이 약은 단기간(4주 이내) 동안 투여한다. 단, 이 약의 부적절한 사용과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환자가 첫 4주 이내에 만족할 만한 체중감량을 얻었을 경우(최소 1.8kg 이상 체중 감량이 있거나 의사와 환자 모두 만족할만한 체중감량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이 약으로 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임부투여]
1) Pregnancy Category B : 이 약은 처방 의사의 소견에 따라 치료적 유익성이 임신부와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하지 않는 한 가임여성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2) 이 약과 선천성 기형에 대한 인과관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기형발생의 증거는 없다.
3) 임신기간 중 복용으로 신생아에게 금단중상을 일으킬 수 있다.
4) 사람 용량의 1.6배(mg/m2에 근거하여)까지 복용시킨 랫트에 대한 생식연구에서 생식능력의 감소나 태아에 대한 해가 이 약에 의한다는 증거는 없다. 그러나 임산부에 대한 적절하고 잘 조절된 연구결과는 없다. 동물생식연구가 항상 사람의 반응을 예측할 수는 없으므로 이 약은 임신기간동안 명백하게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5) 사람에 있어서 선천성기형에 대한 자발적 보고가 있었으나 이 약과의 연관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6) 고용량 투여는 모체 그리고/또는 배아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수유부투여]
이 약과 이 약의 대사산물이 모유로 이행하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수유부에게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소아/고령자투여]
1) 16세 이하의 환자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이 약은 16세 이하의 환자에게 사용하지 않는다.
2) 이 약은 고령자에게 사용하지 않는다.


복약지도

금기 [금기에 따른 관련약품 검색]
MAO억제제를 복용중이거나 또는 복용후 14일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 폐동맥 고혈압 환자, 녹내장 환자,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 , 진전된 동맥경화증 환자 , 중증의 고혈압 환자 , 기지의 심장잡음 또는 판막심장병 환자 , 흥분상태 환자 , 교감신경작용 아민류에 과민하거나 특이체질 환자 , 약물남용 병력이 있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감정 불안자 , 다른 식욕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 부정맥이나 고혈압을 포함하는 중증의 심질환 환자 , 16세 이하의 환자

주의 [주의에 따른 관련약품 검색]
경증의 심혈관 질환이나 고혈압 환자, 간질 환자

제품성상 백색~미백색의 원형정제

부작용 [부작용에 따른 관련약품 검색]
불면, 신경질, 어지럼증, 불안, 초조 및 구갈, 원발성 폐동맥 고혈압(PPH)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등 기타 자세한 내용은 상세정보 참조

DUR
(의약품사용평가)

Pharmacokinetics

참고 1) 의존성 : 이 약은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에 및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에 의하여 마약류로 지정되어있는 약물이다. 이 약은 화학적 및 약리학적으로 암페타민류와 연관되어 있다. 암페타민류 및 관련 흥분성 약물들은 남용성을 가지며 이 약에 정신적 의존성이 발생한 환자에 대한 보고가 있다. 이 약의 남용 가능성은 체중 감량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의존성 약물치료의 필요성을 평가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2) 암페타민류와 관련 흥분성 약물의 남용은 강력한 정신적 의존성 및 심각한 사회적 기능장애와 연관될 수 있다. 3) 이 약을 고용량으로 장기간 투여 후 갑작스럽게 중단할 경우 극도의 피로와 정신적 우울증, 수면 EEG변화를 초래한다. 4) 이 약으로 인한 만성 중독 증상에는 중증의 피부병, 불면, 자극과민성, 기능항진, 성격의 변화 등이 있고, 가장 심각한 증상으로는 정신분열증과 유사한 정신이상이 나타난다. 5) 이 약의 발암성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기간의 동물실험 및 변이원성 시험이 수행되지 않았다. 동물 생식독성시험결과 생식력에 손상을 준다는 증거는 없었다(‘임부에 대한 투여’ 항 참조).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