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31일 토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www.imagediet.co.kr 한의학과 혈압

심계󰠏󰠇󰠏심장질환
󰠌󰠏혈관질환󰠏󰠇󰠏혈액(혈압)
󰠌󰠏중풍
심󰠏󰠇󰠏유형
󰠌󰠏무형: 신명(정신)
<<육절장상론>>
“심자 기충재혈맥.”
󰠌󰠏>‘기능’을 설명. 심의 추진력이 혈맥에 반영
; 심은 혈액운행에 있어서의 원동력
혈맥은 심의 동력을 받아 실제적으로 운행을 담당하는 통로
--> 심과 혈맥의 관계에서 ‘혈압’의 개념을 알 수 있다.
(혈압은 혈액을 운행시키는 동력이 되므로)
혈압: 혈액과 혈관벽 사이에서 나타나는 압력
cf.병원의 차트에는 Vital sign 적는데...
Pulse(맥박수) Temperature(체온) Respiration(호흡수) B.P.(혈압)
1)동맥혈압: 임상에서 흔히 언급되는 것으로 물론 정맥혈압,말초혈압도 있다.
결정인자󰠏󰠇󰠏심박출량 󰠏󰠈
󰠌󰠏말초혈관저항 󰠏󰠎 상관관계에서 혈압결정
대개 심박출량은 5 l/min(심한 운동후에는 35 l/min)정도
말초혈관저항은 세동맥의 안지름이 굵으면 크다.
2)맥압: 수축기혈압 -- 확장기(이완기)혈압
곧, 최대혈압 -- 최소혈압
정상맥압은 30-50 mmHg정도
맥압증가되는 경우: 혈관벽의 탄력성감소(ex.노인성)
심박출량의 증가
맥압감소하는 경우: 대동맥협착
비만
3)혈압계 󰠏󰠇󰠏 압력계
󰠉󰠏 압박대(Cuff)
󰠌󰠏 송기구(Bulb)
cf. Cuff의 종류: 다양하다. 상완에서 잴 수없는 경우는 대퇴에서 잰다.
대개 폭 12-14cm 길이 22cm. 혈압계에서 제일 중요하다.
대퇴에서 재는 것은 폭 24cm 정도이고 소아는 폭 8cm 정도이다.
종류 󰠏󰠇󰠏 아날로그 혈압계
󰠉󰠏 디지탈 혈압계
󰠌󰠏 수은 혈압계
cf.체질따라 상완둘레다른 경우의 보정
󰠆󰠏 40cm 이상: - 15-20mmHg
󰠌󰠏 20cm 이하: + 10-15mmHg
4)혈압측정
직접측정: 경동맥 절개후 관을 넣고서...(동물실험에서나)
간접측정: 외부에서 동맥혈류 차단하고 측정(일반적 측정)
󰠆󰠏 청진법: 󰠆󰠏 발광법
󰠐 󰠌󰠏 발음법
󰠌󰠏 촉진법: 요골동맥촉진(최대혈압은 잘 나타나나 최저는 글쎄...)
몇가지 측정기준
전완의 위치: 제 4 늑골간(흉골부위) 󰠏󰠇󰠏 내려가면 혈압상승
󰠌󰠏 올라가면 혈압감소
예민한 성격의 환자 불편해 할때: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Cuff를 감고 손가락 두개 정도 들어갈 정도의 공간확보
최대수치를 올릴때 요골동맥을 촉진하여 최대혈압 + 30 mmHg(대개 200mmHg) 정도로
공기를 뺄때 2-3 mmHg/sec 정도의 속도로
cf.Korotkoff sound(pace)
󰠐 1: 점차 맑아짐
󰠐 2: 탁하고 커짐
󰠐 󰠐 󰠐 3: 다시 맑아지기 시작
󰠏󰠏󰠏󰠏󰠏󰠏󰠏󰠏󰠏󰠏󰠍󰠏󰠏󰠏󰠏󰠏󰠏󰠏󰠏󰠏󰠏󰠍󰠏󰠏󰠏󰠏󰠏󰠏󰠏󰠏󰠏󰠏󰠍󰠏󰠏󰠏󰠏󰠏󰠏󰠏󰠏󰠏󰠏 4: 탁하면서 부드러움
1 2 3 4 5 5: 소리 사라짐

5)혈압차이가 생기는 경우
신체부위: ex.발끝에서 낮다. 심하면 90mmHg 정도차이가 나기도
체격: 남여,비수에 따라
ex. 대체로 여성이 같은 조건에서는 더 낮다.
肥한 경우가 높고 수한 경우가 낮다.
연령: 신생아는 80-90 mmHg, 국교생은 100 mmHg 정도
조석: 막 눈떴을때가 가장 낮다.(제일안정,교감신경흥분없다.)
계절: 겨울이 여름보다 10-20mmHg 높다.(심혈관질환의 합병증은 겨울에 호발)
cf.한랭승압시험
4℃에 한손을 담그고 30-60초후 다른쪽 팔에서 혈압측정
혈압에 문제있는 경우는 50-60mmHg 정도 차이 나기도
민족: 흑인이 조금 높다.
기타: 농촌보다 도시가 높고 정신노동자가 육체노동자보다 높다.
6)혈압구분
기초혈압(Basal B.P.)
가장 안정상태에서 측정(입원환자의 경우는 재기 쉽다.)
일반적으로는 측정하기가 어렵다.
높은 사람은 혈압에 문제있다.
근사기초혈압(Near Basal B.P.)
외래 환자의 경우 눕히거나 심호흡등 몇가지 조건을 갖춘후에 측정하는 것.
수시혈압(Casual B.P.)
역학조사시 측정하는 것으로 모든 피검자의 일반(기후)조건을 갖추고 측정하는 것.
기준혈압(Standard B.P.)
학문적으로 기준을 정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수치를 기준으로 한것.
cf. 보통 혈압측정시 정확한 혈압측정조건
충분한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 측정
갑작스런 온도변화(찬 혈압계,청진기)는 피해야
외래환자의 경우는 볼일 다보고나서 측정(담배,식사,소변등)
한번에 3회정도 측정해보고, 여러날 3회 측정해야 정확
대개 절반정도는 심리적인 이유때문에 혈압상승한다.
3.고혈압(Hypertension)
유병률 높다.: 15% 정도(당뇨,결핵의 3-5%에 비하면)
요즘에는 저연령층에서도 높아지는 경향있다.(若年性)
사망률 높다.: 사망원인중 뇌졸중(심장질환)인한 경우가 1,2위
뇌졸중의 대부분이 고혈압과 관련
(관상동맥질환,협심증등의 40%가 고혈압원인)
합병증수반: 혈압상승 --> 뇌,심,신에 직접적 손상초래
ex.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신부전증 요독증...
불확실한 증상(History)
무증상(다른 이유로 병원들렸다가 발견하는 경우)
혈압높은 것을 알면서도 치료하지 않은 경우(합병증생겨야...)
불충분한 치료: 치료보다는 관리가 중요하다.(합병증은 치명적이므로)
4.고혈압의 분류
1)혈압치에 따라
WHO의 기준 수축기 확장기
정상 100-140mmHg 60-90mmHg
고혈압 160mmHg 이상 95mmHg 이상
경계고혈압 140-160mmHg 90-95mmHg
저혈압 100mmHg 이하 60mmHg 이하
미국(확장기혈압을 중요시)
정상 󰠏󰠇󰠏 정상: 85mmHg 이하
󰠌󰠏 높은 정상: 85-89mmHg
고혈압 󰠏󰠇󰠏 경증: 90-104mmHg
󰠉󰠏 中症: 105-114mmHg
󰠌󰠏 重症: 115mmHg 이상
2)장기상해에 따라(검사기준)
Ⅰ기: 타각적 소견 불분명(심혈관계의 기질적인 병변없다.)
Ⅱ기: 타각적 소견 한가지이상 나타날때
ex. X-ray소견(좌심실비대) 심전도변화(좌심실비대소견)
소변검사(단백뇨) 안저검사(망막혈관의 협착)
Ⅲ기: 타각적 소견 + 자각적 소견
ex. 심부전증: 호흡곤란등 + 타각적 소견
고혈압성 뇌증: 두통 마비 구음장애 + 타각적 소견
3)병인따라: 기전불분명,원인불분명의 경우가 대부분
󰠆󰠏 본태성: 90% 이상. 원인불명.  
󰠌󰠏 증후성: 10% 정도. 임신중독증,갑상선기능항진증의 후유증,신장이상
4)혈압상승 형태에 따라: 수축기,확장기혈압
󰠆󰠏 수축기↑ 확장기↑: 동맥성 고혈압(본태성,신성,부신성)
󰠌󰠏 수축기만↑: 수축기압성 고혈압(노인성,갑상선기능항진증 후유증,대동맥폐쇄부전증,감기등 발열성 질환,운동후,긴장등)
5)혈압성질따라: 경과의 신속,완만으로 분류
󰠆󰠏 양성(Benign): 오랜기간동안 혈압상승이 완만
󰠐 ex.심부전증 관상동맥경화
󰠌󰠏 악성(Malignant): 혈압상승후 1년지나서 사망하는 경우 대부분
(6개월후 사망할 확률이 50% 이상)
원인은 불분명하나 승압물질배출한다고 추측
( ex. Angiotensin Aldosterone )
cf.특징적인 임상증상
󰠆󰠏 뇌압상승: 두통 구토 현훈...
󰠉󰠏 안저검사: 유두부종
󰠌󰠏 요독증(신부전증): 두통 복통 설사 구토수반, 냄새심함, 구내염, 출혈성 병변, ... --> 혼수
5.본태성 고혈압
정의는 프린트 2p에 있음.
1)병태생리(정상인의 경우 고혈압시 나타나는 현상)
자동조절설: 심장에서 혈액량 많아지면 간조직내의 관류량 증가되므로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려는 대상현상 나타난다.
Na+운반이상설: 혈액공급증가 --> 신장에서의 Na+ 재흡수감소 --> 혈액내 Na+ 감소 --> 체액내 전해질 감소 --> 혈압감소
Na+ 섭취해도 혈액내 Na+량 증가 안하는 경우도 있다.
2)원인( 대개 유전인자(70%) + 환경인자(30%) )
유전인자: 식성,성격,취향이 비슷해서 고혈압된다고 봐야...
체질적으로 비인이 중풍에 잘 걸린다.
(유하간 “ 비칙주리치밀이 다울체기혈 난이통리 고다졸중야.”)
환경인자: 특히 한랭환경
󰠆󰠏 외적인자: 소음 기후 지역 음식
󰠌󰠏 내적인자: 감정변화(stress,칠정)
ex.불안 초조 긴장 흥분 충격 노 우 사 비 공 경
6.증후성 고혈압
1)신성: 증후성 고혈압의 대부분 차지 ex.사구체신염 신우신염
2)내분비성: 갑상선기능항진증(호르몬분비과다 --> 빈맥 --> 혈압상승)
갈색세포종(부신에서 50% 정도발생): 수축기 혈압이 상당히 상승(250mmHg 이상상승)
Cushing SD: steroid계 약물과다복용으로
3)중추신경성: 대뇌의 중추신경을 자극함으로
ex. 뇌종양으로 뇌압상승, 뇌염, 지주막하출혈등
4)심혈관성
7.고혈압증상
1)뇌(두부): 頭痛 眩暈 항강 안혼 이명 뉵혈 면적 정신혼란
두통: 두는 제양지회,정신지부
ex.담궐두통의 증상: 사지궐역 구토 현훈 두통여열 신중여산
대개 후두부의 두통이 심하고 아침에 심해진다.
11종 두통중 4종이 연관(열궐,담궐,풍열,습열두통)
특발성 두통: 원인불명 󰠏󰠇󰠏 심인성(긴장성): 신경성
󰠌󰠏 편두통: 구토 복시 閃輝暗點, 주로 좌측으로 치우친다.
증후성 두통: 뇌혈관순환장애(고혈압,동맥경화증등)
두개외 조직이상(중이염,구비동염등)
현훈: 어지럼증(눈이 침침해지는 것도 포함) “상허칙현훈.”
6종 현훈중 3종이 연관(열성,담성,허성)
정형성(회전성): 주시하는 대상이 흔들리거나 빙글도는 경우
ex.빈혈,뇌혈관순환장애,Meniere's Dis
비정형성 󰠏󰠇󰠏 근성: 높은 곳에서 느끼는 것
󰠌󰠏 부동성: 출렁이는 경우(배멀미) --> 저혈압성,빈혈인해서
2)심흉부: 대개 관상동맥의 이상으로
심계
흉민
호흡곤란: 폐울혈인해서 혈액공급 지장초래
고혈압성 심장: 좌심근이 우심근의 3배이상 두꺼워짐
협심증(진심통,심絞통): 한출 통증방사
온도 기후 음식부절시 자주 발생(특히 야간에)
심근경색증: 심근허혈로 심근괴사, 통증있으면서 심박동감소
3)신장부: 주로 뇨의 변화
다뇨(혈액의 노폐물배출을 위해서, 3.5 l/day 이상) 야뇨 혈뇨 단백뇨
cf.신성,비신성 고혈압의 차이비교
󰠆󰠏 신성: 뇨변화수반후 혈압상승
󰠌󰠏 비신성: 혈압상승후 소변변화초래
4)기타: 수족침해 ex.수족냉 저림 감각이상 무력감등
8.한의학적 이해
고혈압은 서양의학적 용어로 명확한 분류방법 진단기준없다. 다만 증상을 증후군으로 보아 변증을 통해서 치료할수 있을 뿐이다.
cf.중풍은 뇌졸중으로 뇌혈관질환(뇌출혈,경색,일과성 뇌허혈,고혈압성 뇌증등)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