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28일 수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홍채학

虹彩學(IRIDOLOGY)이란 ?
虹彩가 무엇이라는 것은 중고등학교 과정중 생물 시간에 배웠으므로 누구나 다 잘 알고 있을 것이지만 우리의 기억력을 돕기 위하여 눈의 구조를 잠시 살펴보면 우리의 눈은 바깥쪽에 3층의 막이 있어 수정체, 유리체, 안방수를 감싸고 있다. 첫째 층은 각막과 강막인데, 각막은 안구의 앞쪽 6분의 1을, 강막은 그 뒤쪽 6분의 5를 감싸는 반질반질하고 튼튼한 흰색의 막이다. 둘째 층은 맥락막, 모양체, 虹彩로 되어 있으며 혈관이 많다. 虹彩(iris)는 사진기의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수정체의 앞쪽에서 이를 둘러싸고 중심에 있는 동공을 매달아 빛의 양을 조절한다. 세째층은 망막으로 빛을 느낀다. 일반적으로 “파란 눈을 가진 사람이다.” 혹은 “갈색 눈을 가진 사람이다”라고 말하는데 그 표현은 虹彩의 색소에 의해서인 것이다.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 虹彩는 신경을 통하여 대뇌에 연결되어 있어 신체에 일어나는 화학적 물리적 변화에 따라서 바이브레이션으로 전달 섬유 조직의 형태가 변하게 되는데, 이 변화되는 상태를 판독하여 신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것이 바로 虹彩學이다.
먼저 虹彩學의 유래를 살펴봄으로 이 과학 분야에 첫 발걸음을 내딛어 보도록 하자.
虹彩學의 탄생과 발전
헝가리의 수도 부타페스트 근교 지방인 에거바에 이그넛츠 본 페크제리라는 한 소년이 살고 있었다. 그 소년에게는 애완동물로 눈이 유별나게 큰 새인 올빼미가 있었다. 그가 열 살 때에 하루는 올빼미를 데리고 놀다가 그의 실수로 인하여 다리가 부러지게 되었다. 고통과 아픔을 참지 못하는 올빼미는 매우 처절하게 울부짖었으며 새를 불쌍하게 바라보던 소년은 그 새의 눈에서 매우 흥미스러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여 매우 유심히 관찰하게 되었다. 올빼미 눈의 虹彩 하단 부위에 한 작은 줄이 형성되기 시작하더니 나중에는 그 줄이 매우 얇고 어두운 점으로 변하였으며 그 줄 부근에 흰줄과 명암이 생기는 것이었다. 그는 虹彩에 일어나는 현상은 필시 다리와 어떤 연관이 있을 것이라 생각을 하였으며, 이 사건은 그에게 매우 큰 감명을 주었다. 훗날 그가 의대를 졸업한 후 외과 의사로서 생활을 하면서 그가 어렸을 때 받았던 인상을 잊을 수 없었으므로 자신이 치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찰을 하기 시작하였다. 정상인 사람의 虹彩를 관찰하고 또 자신의 환자를 관찰 비교함으로 그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환자들의 상태는 虹彩에 일률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던 것이다. 자신의 경험과 관찰을 토대로 그는 1866년에 虹彩學에 관한 책을 출간하여 의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虹彩學은 그후 닐스 릴제퀴스트에 의하여 더욱 발전하였으며 虹彩를 통한 진단학을 미국에 전하였다. 그의 저서인 “눈을 통한 진찰”이라는 책자는 영어로 번역되어져 많은 관심 있는 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많은 의학자들에 의하여 虹彩學은 더욱 연구 발전하였으며 이들의 연구 결과의 노력으로 말미암아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챠드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20세기에 와서 虹彩學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인물은 오스트리아 사람인 헨리에드워드 레인 박사에 의해서였으며 “눈을 통한 진단법 - 虹彩學”이라는 책을 1904년 와싱톤에서 출간하였다. 그의 제자인 린들라 박사는 虹彩學에 관한 강의와 이 방법을 통하여 환자들을 진찰, 치료함으로 이 분야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 과학의 발전에 공로를 세운 많은 인물들을 열거하려면 수많은 사람들의 이름과 그들의 업적을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나 현재 가장 자세하고 정확성이 높은 이론과 실체를 정립한 버나드 젠슨 박사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는 1908년 캘리포니아에서 한 카이로프랙틱 의사의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의 뒤를 이어 18세에 웨스트 코스트 카이로프랙틱 대학에 입학 공부하였고 4년 후인 1929년 졸업을 한 후 오클랜드에 개업을 하였다. 그가 개업을 하여 많은 환자를 위해 봉사하는데 그의 온 힘과 능력을 다하였다. 하지만 그의 건강은 점점 악화되었고 거의 죽게되었다. 여러 의사들을 찾아 다녔으나 아무도 그의 疾病을 고치지 못하였다. 여러 해가 지난 후 당시 베틀크릭 세니타리움 원장이었던 켈록 박사를 만나 자연 치료에 대한 제안을 받았으며 그의 프로그램을 따라 행함으로 건강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 경험은 그에게 전환점이 되었으며 그의 분야를 천연 치료로 돌렸다. 그는 여러 곳을 방문하며 천연 치료를 연구하던 사람들을 만나 가르침을 받았으며 시카고의 한 대학에서 虹彩學을 접하게 되었다. 더 많은 지식을 쌓기 위하여 그는 뉴저지의 한 카이로프랙틱 대학에 입학하여 깊이 있는 공부를 하였다. 그후 그는 자신의 요양원을 경영하며 수많은 환자들을 접하면서 虹彩學과 천연 치료를 겸함으로 많은 공로를 세웠으며 이 분야에서 최고로 권위 있는 자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그가 발전시킨 虹彩學 챠드는 거의 모든 이아리돌로지스트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 “虹彩學”은 지금도 많은 학생들의 텍스트 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젠슨 박사는 세계 여러 곳을 방문하면서 虹彩學과 천연 치료를 병행하여 강의하며 虹彩學의 보급에 많은 심혈과 노력을 기울여 왔다. 동양 국가로서는 중국과 일본 등지에 다니며 虹彩學을 보급하기도 하였으나 한국에는 虹彩學을 알리지 못하였음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과거에는 虹彩學을 배우기에 너무나도 많은 제약이 뒤따랐으며 스스로 연구해야만 하였다. 오직 소수의 학교와 대학에서 가르쳤으므로 이 과학을 연구한 사람들은 모두 개개인의 노력의 결과이었던 것이다. 이 진단법이 발전하기에는 오랜 세월이 흘렀으며 지금도 수많은 의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그들의 연구가 虹彩學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함으로 疾病으로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얻고 건강한 사회를 이룩하게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虹彩學 理論
虹彩學을 자세하게 이해하려면 먼저 疾病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성 疾患은 어떻게 발생하게 되는가?
현대 과학이 엄청나게 발전하여 가고 있지만 과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더 많은 疾病들이 늘어간다는 사실은 오늘날의 현실이다. 특히 의학의 발전으로 疾病을 치료할 수 있는 수많은 약품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성인병과 만성 疾患들은 늘어만 가고 있다.
연구 조사에 의하면 2000년대에는 국내에서만 약 40,000명이 매년 암으로 사망하게 될 것이라 한다. 이렇듯 많은 만성 疾患들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은 참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고 있다. 모든 만물의 이치가 원인을 알때에 해결책이 있듯이 만성 疾病이라 할지라도 근본 원인을 안다면 치료는 가능하다.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만성 疾患의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의 몸에는 항체가 있어서 생활 속에 접하는 모든 바이러스나 병균들을 소멸함으로 우리는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그릇된 습관이나 우리 몸을 자신의 체력의 한계 이상으로 과다하게 다루게 될 때에 병원균들은 틈을 타게 된다.
이 병원균이 활동을 강하게 하기 시작하면 우리 신체의 항체들은 이 병원균을 죽이기 위하여 몸에 열이 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항체가 우리 몸 속에 있는 병원균들을 죽이기 위하여 몸에 열이 나도록 한다.
항체들이 병원균들 죽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을 때에 우리가 도울 수 있는 일이란 단순히 휴식을 취하고 병원균들이 세력을 얻을 수 있는 음식물들을 삼가고 몸 안에 있는 毒素들을 씻어 줄 수 있는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면 되는 것이다(이러한 상태에서는 비타민C의 요구량이 많아지게 됨).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건강 원리에 대한 상식의 부족으로 감기에 걸리게 되면 약국으로 달려가 감기약을 사 먹는다. 감기 약을 먹으면 즉시 증세가 없어지므로 감기가 나았다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만성 疾患은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약은 감기 증세를 즉시 없애지만 병 자체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다. 병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병원균을 죽이려고 노력하는 항체를 억제시키는 것이 된다. 疾病의 증세는 항체가 활동함으로 나타나는 것인데 항체의 활동이 억제되므로 병원균은 억제 받지 않고 돌아다니다가 신체 중 가장 약한 부위에 정착하여 기생함으로 문제를 야기시킨다.
우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유전의 법칙을 생각해 보도록 하자.
흡연자에 대한 경우를 참고해 보면, 우리는 흡연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70~80 이 넘도록 암이나 아무 疾病이 없이 매우 건강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종종 본다. 하루에 똑같은 양의 담배를 피운다 할지라도 어떤 사람은 암에 걸리고 어떤 사람은 걸리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들이 선천적으로 매우 건강한 폐를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폐암에 걸리는 사람의 대다수는 선천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폐를 물려받아서 암의 요소인 毒素가 폐에 축적되고 그 축적된 요소가 배출되지 못하여 암 세포가 자라게 되는 결과가 생긴다.
이것은 비단 폐뿐 아니라 다른 장기들도 마찬가지이다. 부모가 당뇨에 걸렸다면 자녀도 당뇨에 걸릴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병원균은 신체에서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장기 중에 가장 약한 부위에 정착을 하여 자리를 잡고 문제 일으키기를 계속한다. 몸에 이상이 있다는 것은 몸 안에 毒素가 있다는 것이며 우리 몸은 그 毒素를 밖으로 배출하기를 원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러나 문제가 생길 때마다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를 맞음으로 배출을 억제시킨다. 약이나 주사가 증세를 없애 줄 수는 있지만 그 원인이 되는 것 자체는 없애지 못하고 더욱 악화시킨다. 여기에 그릇된 음식과 식생활이 계속되었을 때에 억제된 원인은 만성 疾患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만성 疾患이 생기는 원리를 간단하게나마 생각해 보았는데 그 원인은 부절제 곧 식생활 및 여러가지 부절제로 인한 것이며 특히 쉼 없이 일하는 과로로 인하여 생기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위의 자연 법칙은 虹彩學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虹彩學 理論의 定立
우리의 몸에 생긴 疾病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있는 것이며 모든 疾病들은 그 단계가 있는 것이다.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맨 처음 피곤함에서부터 시작하여 감기, 몸살, 고열, 폐렴, 천식, 암의 순으로 발전하는 것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몸에 이상이 생길 때에 虹彩에는 어떻게 반응이 나타나는가? 아래의 그림을 보면서 알아보도록 하자.
신체에 이상이 생길 때에는 초기 증상으로 虹彩의 어떤 부위, 즉 신체의 조직에 상응하는 부분이 정상적인 虹彩의 높이보다 위로 향하여 부풀어오르게 된다. 이런 초기 상태에 치료하지 않고 지나면 부어오른 부위에 홈이 파이게 되고 오래 방치될 수록 상처는 깊어져 가게 된다. 2는 중만성, 3은 만성, 4는 말기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좀더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등산을 갔을 때나 숲속을 거닐다가 곤충에 물리게 되면 그 물린 부위가 맨 처음에는 부어오른다. 그러나 치료치 않고 방치해 버리면 부어 올랐던 부위가 곪아 상처가 생기고 더욱 방치해 버리면 상처는 더욱 깊어져 가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그와 비슷한 원리로 虹彩의 조직에도 신체에 생긴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虹彩를 관찰해 보면 알 수 있지만 그림과 같이 疾病이 더욱 악화가 될수록 虹彩의 섬유 조직에 골이나 구멍이 더욱 깊어지고 검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 그림을 참조하면 더욱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흰 부위는 급성을 나타내고 검어질수록 만성이 되어 가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체의 어느 부위에 이상이 생기면 몸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가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한 노력을 기울일 때에 나타나는 증세를 일반인들은 병에 걸렸다고 말한다. 이때 그릇된 건강 상식으로 疾病을 치료하거나 혹은 지나쳐 버리면 중만성, 만성으로 악화되는 것이며, 疾病이 악화될 수록 서로 상응하는 虹彩의 부위에 생긴 골은 더욱 깊어져 가며 여러해 후에는 치료하기 어려운 疾病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위의 그림은 신체의 한 부위에서 나타나는 疾病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맨 처음 흰 부분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방치되었을 때
중만성, 만성, 말기로 악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으로 알 수 있듯이 虹彩의 어떤 부위에 나타난 반응을 통하여 신체 내의 어느 부위에 疾病이 어느 만큼 발전하고 있는지를 판단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눈을 통하여 장래에 어떤 疾病이 어느 부위에 발생할 것임을 미리 예측하여 예비할 수 있음이 虹彩學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은 신체의 한 부위에 나타나는 疾病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맨 처음 흰 부분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방치되었을 때에 중만성, 만성, 말기로 악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판독하는 방법(Iris Reading Method)
지금부터 실제로 虹彩를 판독하는 방법을 터득해 보도록 하자. 먼저 눈을 볼 수 있는 도구들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비싼 장비들을 구입할 수도 있을 것이나 연습하는 과정에서는 필요가 없으며 많은 전문가들도 매우 간단한 도구들만을 가지고 진단을 하고 있다.
필요한 도구들로서는 첫째, 虹彩를 확대해 볼 수 있는 확대경이 필요하다. 확대경의 배율은 X10 짜리가 매우 적당하며 더욱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X4와 X20짜리가 있으면 매우 유리하다, 둘째, 눈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는 조그마한 펜라이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너무 밝지 않은 것으로 구입하도록 유의하기 바라는데 그 이유는 라이트가 너무 밝을 때에 환자들이 자극되어 자세히 진단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관찰한 결과를 기록할 수 있는 종이와 필기도구 등이다.
위에서 언급한 도구들이 준비되었으면 의자를 준비하고 환자를 의자에 편하게 앉힌 다음 환자를 마주보고 앉아 虹彩를 관찰하기를 시작한다.
처음에는 상대방의 虹彩를 확대경이나 아무 빛을 사용함이 없이 먼저 관찰하여 상대편의 반응을 살피도록 한다. 그후 빛을 눈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비추어 가면서 관찰하되 라이트를 정면에서 비추지 말고 측면에서 비추도록 한다. 그리고 확대경을 통하여 상대방의 虹彩를 읽고 어디에 문제점이 있는지를 찾도록 한다.
맨 처음으로 관찰할 부분이 있다면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들일 것이다. 예를 들어 다리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다리 부위를 관찰하려고 하지 말고 그 원인이 어디에서 발생했는가를 주요 장기에서 찾아보도록 한다. 다리에 생기는 문제가 간에 이상이 있어서 그런지 아니면 심장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지 알 수 없으므로 먼저 중요한 장기들을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절대로 섣불리 판단치 말고 환자에게 부정적인 암시를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충격을 주기는 쉬우나 그 충격을 제거하는 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장기 중에서 문제점들을 발견하게 되면 발견한 문제점들을 꼭 필기해 놓은 후 결론을 내리도록 한다.
눈동자의 중심에 동공이 있다. 이 동공은 빛의 밝고 어두움에 따라서 그 크기가 변한다. 동공 가장자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3분의 1정도 나아가면서 동공과 눈동자 사이에 울타리와 비슷한 모양의 막이 둥그렇게 형성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공 주변을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는 이 선은 自律神經이다. 지금부터는 이 선을 自律神經線이라 부르도록 하자. 自律神經線을 중심으로 신체의 모든 조직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자율신경선의 모양은 곧 소화기관의 상태를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자율신경은 내장이나 혈관 샘 등에 분포하여 생명 유지에 필요한 각종 작용을 무의식적, 자동적, 반사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심장은 우리가 자고 있을 때에도 항상 일정한 박동을 계속한다. 自律神經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같은 기관에 분포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신경의 작용은 거의 정반대로 이루어진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같은 내장의 여러 기관에 분포하여 그 작용을 대항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교감신경의 경우에 있어서는 심장의 박동을 격하게 시키지만 부교감신경은 서서히 작용을 한다. 즉 이 두 가지는 서로 반대되는 작용에 의해 서로 협력하며 그 결과로 각 기관의 작용이 교묘히 조절된다. 이들 신경은 숨골 또는 간뇌에 있는 중추에 의해 자율적으로 지배되고 있다. 또한 교감신경은 아드레날린과 관계되지만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과 관계된다. 自律神經이 지배하는 부분은 생명 유지에 극히 중요한 기관들이다. 특히 내장 중 소화기 계통의 위, 장은 의지와는 관계없이 自律神經의 지배를 받으며, 그 소화 운동은 교감신경의 작용으로 억제되고 부교감신경의 작용으로 촉진된다. 혈액循環의 중심인 심장의 작용은 교감신경에 의해서 강화되고 부교감신경에 의해서 억제된다. 호흡은 어느 정도까지는 조절 가능하나 보통은 自律神經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몸의 기관은 신경계의 작용으로 조절되고 있는데, 이 중요한 自律神經의 위치가 바로 아래의 그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것이다.
이 自律神經界를 나타내는 虹彩의 막의 형태는 소화기관의 상태를 나타냄을 거듭 강조하고자 한다. 虹彩에서 自律神經線(막)을 찾았으면 自律神經線에서 동공을 향하여 직경으로 2등분한다. 그리고 밖으로 4등분하도록 한다.
自律神經線 내부는 위와 장을 가리킨다. 이 부위를 다른 어떤 부위보다는 신경을 써서 관찰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大腸은 신체의 거의 모든 장기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大腸의 문제 발생 부위에 따라서 그에 해당하는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疾病의 85%는 거의 大腸에 그 원인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의 自律神經線 모양은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동공에서부터 거의 3분의 1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自律神經線의 모양은 곧 장의 상태를 나타낸다고 하였는데 그 실체를 그림을 보면서 정립해 보도록 하자.
大腸의 형태가 변함에 따라서 虹彩의 自律神經線도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大腸이 아래로 쳐지게 되면 그 부위에 해당하는 自律神經線도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일어나며, 풍선같이 부푼 때에는 自律神經線도 大腸의 모양과 같이 바깥쪽을 향하여 늘어난 형태를 취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렇다면 大腸은 다른 장기들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大腸이 밑으로 쳐진 탈장 현상을 예로 들어보도록 하자. 大腸이 아래를 향하여 쳐지게 되면 大腸의 하단 부위에 있는 장기들은 어떻게 되겠는가? 특히 여성들의 경우, 장의 쳐짐 현상이 심할 수록 장이 자궁과 방광을 짓눌러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없도록 방해함으로 월경통이나 방광염 등 여러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며 더 악화되면 무서운 疾病으로 번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虹彩를 통하여 신체의 상태를 판단할 때에 장의 형태를 가늠하는 것은 중요한 척도라 할 수 있다. 만일 귀에 통증이 있다고 호소하는 환자가 있다고 한다면 귀의 부위만을 관찰하려고 하지 말고 그 원인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함께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다음의 그림은 大腸과 우리 신체의 중요 장기들과의 연관성을 그려 본 것이다. 귀에 통증이 있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있다면 귀와 연관된 大腸의 부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관찰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IRIS ANALYSIS FORM
1. IRIS COLOUR
Yellow Brown Dark-Brown
2. IRIS STRUCTURE
Silk Linen Hessian Net
3. GENERAL CONSTITUTION
4. STOMACH & INTESTINES
Central toxaaemia Hyper-acidity Hypo-acidity Spastic-colon Tight-colon
Inflammation Impactions
5. NERVOUS
Tention-rings Tight-pupil Large-pupil Head-acute Head-chronic
ANW Pupil-distortion
6. CARDIO-VASCULAR
Scurf-rim Arcus-senilis Heart-weak Poor-circulation Tendency-v.vains
7. RESPIRATORY
Strong-tissue Weak-tissue Congestion-lung Congestion-bronchial
Congestion-throat
8. LYMPHATIC
Congestion Lymphatic-rosary
9. URINARY& REPRODUCTIVE
Kidneys-weak Kidneys-congertion Bladder Prostate/Uterus Penis/Vagina
10. MUSCULAR & SKELETAL
Inflammation Loose-tissue Transverse-fibers Neck & Shoulder Arm
Spine Leg
11. MISCELLANEOUS
Liver Gall-bladder Pancreas thyroid pituitary Spleen
◉虹彩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現狀들
앞에서 우리는 건강한 사람의 虹彩는 어떤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논하였다. 그러면 지금부터 虹彩에 어떤 모양이 나타났을 때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논하도록 하자
사람에 따라서 아래의 그림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양과 형성된 부위에 따라서 어떤 부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虹彩學 챠드에 나타난 장기들의 위치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장기들을 대표하는 虹彩의 부위에 나타난 현상들과 사인들을 이해하는 것은 신체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들을 판단하는데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自律神經線이 기준점
12시 기준점
1.비듬(때) 테두리: 흑테 - 호흡기, 피부호흡 및 피부 배출 기능의 문제
虹彩의 가장자리에 검게 형성된 링으로서 피부가 배출기관으로서의 기능과 피부호흡의 기능을 다하지 못함을 나타내며 피부 세포에 노폐물의 축적을 의미한다.
-- 虹彩의 마지막(7영역-피부)에서부터 시작하여 동공을 향해 안쪽으로 퍼진 검은 테두리는 피부의 노화를 의미한다. “피부는 제3의 신장이다” 라고도 말하는데 노폐물이나 毒素를 배출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 때문이다. 피부의 땀샘을 통해 호흡도 하고 노폐물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만일 땀이 배인 옷을 오래 입으면 피부는 배출하였던 毒素를 다시 흡수함으로 신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속옷을 자주 갈아입으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테두리가 두르고 있는 위치에 따라 그 테두리 안쪽에 위치한 장기들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특히 폐의 바깥쪽 위치에 이 테두리가 많이 형성되는데 이는 폐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毒素가 축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목욕과 마찰의 필요성을 일깨워 주는 현상이다.
♣흑테의 임상적의의
옅은 색(실증) 묽은 땀의 배출이 지나치다 추위 더위에 민감.
짖은 색(허증) 땀이 전혀 나지 않고 진한 땀이 손발에 약간
흑테가 있는 환자들은 약 70%정도에서 호흡기 기능이 약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약 30%에서 결장 및 신 비뇨기가 약함을 볼 수있다.
화장이 짙은 여인들 피부호흡이 안되므로 호흡기계에 불량이 초래됨
부분적인 흑테의 의미-해당 부위의 장기의 문제점을 시사
◉배출 기능과 관계된 부위 - 피부, 호흡기계, 임파, 결장, 신비뇨계
毒素의 피부에서의 배출량과 화장실에서의 배출량은 거의 비슷하다. ???
처음에 이 징후는 피부와 관련된 영역에서 나타나고 그 후에 모양체대까지 확산된다.
염증성 질환과 중독증이 있을 때 발육 이상성 테두리를 볼 수있다. 즉 유독 인자와 약물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나타나며 이 징후의 정도는 분비기능을 하는 기관(피부, 폐)에 부하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현상은 활동이 불충분하고 관련기관과 조직의 혈류가 감소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만일 흑테가 폐영역에서 발견되었다면 그것은 폐에 유독대사산물(피부, 신장 그 외의 다른 기관의 정화 기능이 줄어들어서 유기체내에 그 유독성 산물을 없애지 못함)이 과다하게 쌓여 있는 것을 의미
홍채에 나타나는 흑테는 피부오염정도를 나타내는 특별한 인티케이터-저한증과 무한증을을 평가하는 홍채학적증후임,
흑테가 분명히 나타나는 경우는 추위를 많이 탐,
흑테가 있는 내부기관의 유독물질이 많음을 의미.
건선, 경핵,사구체신염등과 같은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
예방접종과 오랜 기간의 약물의 투여로 - 특히 항생제와 콜티코스테로이드로 치료하는 피부질환과 관련됨
내분비계질환의 경우와 가장 심각한 단계에서의 피부를 투영하는 부분이 탁하게 보이는 현상
흑테가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저항력이 낮아져 있고 피부질환에도 걸리기 쉽다.
뇌가 투영되는 부분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분지들은 대뇌부분에 울혈성 및 위축성 변화가 있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현기증, 두통, 우울증, 편두통, 피로감을 빨리 느끼는 것, 졸리움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남.
2. 산도(Acidity) -- 虹彩에 나타나는 흠이나 마크, 색조 변형들의 현상은 신체내의 산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개 몸안에 산이 과다하게 되면 카타르성이 되기 쉽다. 배설 기관들이 몸 안에 산이 형성되는 속도로 몸 밖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면 기관지, 코, 목 등을 통하여 과다하게 쌓인 산성 노폐물들을 처리하기 위해 카타르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산이 과다하게 되면 虹彩의 대응하는 부위는 하얗게 되며 다른 정상적인 부위보다 부어오른다. 이러한 중세가 되면 환자는 자신의 어떤 부위에 통증을 호소할 것이다. 이 현상이 지속되면 만성염으로 악화되며 하얗게 부풀어 올랐던 부위에 홈이나 마크가 생기며 점점 골이 깊어지게 된다. 이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이다.
3. 중독증세 -- 毒素 축적 현상은 상해, 구멍 혹은 홀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중만성, 만성, 말기 현상으로 나타나며 장기나 신체의 어떤 부위에서 毒素를 제대로 배출해내지 못함을 뜻한다. 毒素의 축적은 주로 막힌 상해에서 볼 수 있다. 毒素는 장에서 찌꺼기들로부터 흡수되거나 혹은 해로운 음식과 약을 섭취함으로 축적된다. 더러운 공기를 마시거나 목욕을 자주 하지 아니함으로 피부에서 제거되지 않은 노폐물들을 다시 흡수함으로도 쌓일 수 있는 것이다. 대개 암이나 혹은 종양은 주로 막힌 상해에 독이 쌓임으로 형성된다.
4. 상처와 수술 -- 상처나 수술은 어느 범위까지는 虹彩에 나타난다. 그러나 마취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마취제가 신경을 마비시킴으로 虹彩에 전달되지 못하여 나타나지 않게된다. 다리의 골절이나 근육에 상처가 생긴다든지 혹은 다른 타박상들의 경우는 눈에 막힌 상해로 나타난다. 마취를 사용하여 수술을 했을 경우는 수술하기 바로 직전의 상태가 虹彩에 기록으로 남아있게 된다.
5. 血液循環 障碍 -- 노인환의 증세와 비슷하다. 제 7영역(피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虹彩의 주위에 불투명한 링을 찾아볼 수 있다. 사실상은 각막에 나타나는 증세이다. (공막에 파랗게 나타나는 혈관 충혈과는 혼돈하지 말것) 원인은 血管循環이 나빠서 혈관이 막혀 콜레스테롤이 쌓임으로 모세혈관으로 흘러가는 흐름을 방해하여 생기는 빈혈증세이다. 40대에 나타나는 이런 증세의 대부분은 그 원인이 운동부족에 있으며 철분의 섭취 부족도 그 몫을 하고 있다.
손과 발이 차가운 증세는 血液循環 障碍의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충혈로 발전하여 갑상선 기능을 저하시킨다. 血液循環 障碍중 가장 심각한 결과는 수많은 업무를 해야 하는 두뇌에 산소 공급의 부족으로 일어나는 빈혈일 것이다.
손팔 다리발 등에 동맥의 순환이 저조함
혈액순환장애의 띠는 콜레스테롤링과는 달리 반투명하고 폭의 형성이 없다.
♣혈압의 홍채현상 ①자아제어부에 압력 ②연수에 빗살무늬나 아급성의 병소 ③자율신경선의 접시형 ④콜레스테롤링 및 혈액순환장애링이 나타나는 경우 혈압을 의심해볼 수 있다.
6. 노인환 -- 노인환은 虹彩의 상단 부분에 반달 모양의 불투명한 링이 나타난다. 형태는 血液循環 障碍와 같다. 색은 매우 희거나 혹은 노랗거나 푸른색을 띈다. 뇌에 피의 공급 부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안과의는 각막의 노인성 실질성위축이라함 대게 40세 이후에 나타남
대뇌의 죽상경화단계, 환자의 나이,수축기압,혈액내 프로트롬빈 함량에 비례하고 대뇌혈관의 혈류에 빈비례
이런 징후는 종종 임상적 증상, 미세순환의 변화 및 대혈관의 폐색으로 진전됨
혈액순환이 약화되고 산성증이 더 크게 나타남을 초기에 알려주는 표지가 될 수있다.
7. 신경링 -- 虹彩에 밭고랑과 같은 형태의 링이 둥그스름하게 하나 혹을 둘 또는 여러개 나타난다. 이 링은 흰 색으로부터 매우 검은 색을 띄는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낸다. 이 링을 주의 깊이 살펴보면 이 링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흰 신경링은 신경통과 신경과민의 증세를 나타내며 색이 어두워질수록 신경의 손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위장 부위에서 이 링을 발견하였다면 신경성 소화불량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신경링은 스트레스를 보여주며 휴식과 안정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신경링의 시작과 끝이 어디에 위치하였느냐에 따라 신체의 어느 부위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말해준다.
이런 홍채학적 징후는 동공확장근의 긴장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계의 지연된 과도자극과 관련되며 괄약근의 이완과 확장근의 수축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면 중심성 주름과 구의 형성이 일어나는데 이는 특이적 반응의 하나로서 이는 주로 강한감정상태,신체적심리적 과도자극, 스트레스상태,각기다른 통증 및 자극의 결과로발생.
이들은 보통 민감한 사람들로서 그들은 감정을 내보이려 하지않고 안으로 숨기려하며 외부적인 평온함뒷면에 불안하고 과민한 성격적 소유자등임
.
생애중 가장활동적인 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노화가 진행되어가는 시기에는 최소로 나타남
◉ 스트레스링의 임상적 의의
①신체내 장기 조직이 부담을 받고 있다.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②성격적인 문제 - 강박장애 등의 인격적인 문제, 사고 방식의 문제, 성격이 못됐다.
③스트레스는 위장과 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④일반적으로 환을 이루고 있는 신경링은 단순한 스트레스 상태를 시사
⑤기관이나 장기가 영향을 받는 경우는 스트레스링이 끊겨진 그곳이 스트레스에 이상한 반응을 일으키는 병적인 부위임을 시사함
⑥단순스트레스링이 중간 중간 끊겨진 경우는 해당부위의 전달신경에 비정상적인 정보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남을 시사함
⑦자율신경 내부의 스트레스링
󰋗뇌세포이상으로 나타나는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신경계와 연관되어 척추나 뇌부의 이상과함께 전신마비의 위험성
󰋘신경성 소화불량
⑧스트레스링이 일정장기의 해당부위에 나타나는 경우 병소로서 파악을 함
홍채의 유독성 발유이상
형태: 유독성바퀴살, 백색바퀴살, 호산재양이물질, 이영양성태두리, 림프염주, 노인성궁등이 포함됨
원인: 이화장애의 장애와 4대분비계통의 장애, 생물생존권의 오염(화학적,방사선,전자자기등), 낮은신체활동, 과도한 식사, 만성변비, 산소부족 등의 현상으로 유가체내부 매질에 변화를 초래하고 유독성대사산물이 축적되며 유독성발육이상장애가 발생
8. 바큇살 -- 햇빛 광선 혹은 바큇살 모양의 선은 장에서부터 근원되어 밖으로 뻗어 나간다. 이것은 毒素나 장의 활동 둔화를 의미한다. 일직선으로 밭에 골을 타듯이 뻗어 있다. 이 살이 어느 위치로 향하느냐는 大腸에서 毒素가 향해 있는 위치의 장기로 번지고 있음을 말한다. 대개 바큇살을 많이 발견한다면 또한 신경링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바큇살의 존재는 大腸을 깨끗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며 또한 毒素를 장으로부터 제거해야 한다.
내부로 부터의 문제성을 의미하는바 특히장내의 유해성분의 축적을 시사함 그러므로 장청소를 위선함
◉ 바퀴살의 임상적의의
1.원동력 : Animathion Life Center 피로도, 重力과 對抗하는 活力
♣뇌에서 배출되는 생명력 Hormone의 배출처
♣바퀴살 등의 병소가 있거나 자율신경선이 처져있을 때 호르몬배출의 장애가 나타나며 이로 인해 한없는 피로를 느끼게되며 몸이 천근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건강하고 에너지가 차고 넘칠때는 몸이 날아갈 것 처럼 가볍게 느낌.
♣원동력이 나타나는 12시와 6시에 빗살무늬가 나타나면 피로도는 극대화됨
2.연수 : 뇌졸중, 혈압의 유전인자, 삼키는 능력 안검의 윤동
연수부위의 선천적유약이나 잠복형 결손은 뇌졸중의 위험인자임
3.심장 : 3영역을 넘지 않을 때 심장의 이상으로 읽음 좌측 3시 우측 9시
심장영역에서의 빗쌀무늬가 3영역은 넘는 경우 폐동맥의 이상
4.비장 : 3-4영역의 이상과 함께 빈혈징후
지역적으로 나타나면 목이 따가움
5.부신 : 3영역에만 국한함
부신기능의 저하
빗쌀무늬가 4,5영역까지 나타나면 직장의 S자결장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하지의 이상으로 보아야함
6.담낭(간) :
3영역에 국한되서 나타나면 담즙이 없거나 부족을 의미
3,4영역까지 나타나면 담낭으로 인한 간의 영향 간기능에 문제를 일으킴
7.척추부위를 지나는 바큇살
해당부위의 통증
8.빗쌀무늬가 정상적인 홍채의 결을 따라 있지 않고 결을 거스르는 경우는 동통의 근원지가 됨
바퀴살은 소화관,내분비계,면역체계에 질환으로 대사과정의 장애를 의미하며 이로인하여 미량원소의 균형장애, 운동계변화의 장애
바퀴살의 분류
①쇠약성방사상균열: 동공에서 바로 시작하는 검은선으로 동공대와 모양채대를 걸쳐 지나가지만 가장자리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쇠약상태의 징후로 인대의 약화가 나타나고 신경증에 걸리기 쉽다.
②충혈성균열: 자신환에서 시작하며 정점은 중심부분으로 향한다.
해당기관에 울혈이 있다.
③계단양균열: 흔히 모양체대에서 나타나며 간헐적이며 사다리꼴모양으로도 나타난다.
조직의 경화성변화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
이러한 균열이 열공의 바닥에서 보이면 해당기관의 불가역성변화를 의미한다.(신장의 영역에서 나타나면 신경화증을 의미)
④말초의 균열: 충혈성 균열과는 달리 정점과 기저부의 구분이 없이 일자형균열
장기의 병리적 변화를 의미하며 장기경축이 나타나기 쉽다.
⑤동공대의 균열: 작고 어두운 바퀴모양의 자국
부교감신경계의 질환과 관련되어 있음
⑥자신환의 균열: 자신환선상의 균열
대부분 추체의 블록에 나타나며 교감성신경절의 변화인 추간판장애로 일어나는 척수신겨은염성 변화
백색바퀴살
소주의 탈색현상으로 햐안원광과 비슷하게 생긴 분기하는 햐안빔처럼 보인다. 가끔은 소화관 투영근처에 있는 벨트와 비슷하기도 하다. 산성증을 동반하는 오랜동안 지속되는 질환이 있을 때 이현상이 나타난다.
백색라디는 산-염기균형장애와 결합조직이 약화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징후로 B.jensen은 류마티스성 酸眼이라고 함
류마티성질환자 뿐아니라 운동기질환,족통풍과 관련됨
설사,발열,오랫동안 지속되는 비염,기관지염,피부발진,소인증세가 나타나는 어린이에서도 발생되며 이응 아동기의 불량하거나 불균형한 영양상태 설탕,육류,커피,술,향신료,녹즙 등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이 이유중의 하나가됨.
Slags
이는 목화솜 또는 구름모양으로 나타나는 증세
돌출된조직으로서 거의 배출되지 않는 대사 산물이 축적되어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축적으로 인해 간의 해독기능에 장애가 생기고 사구체의 여과증력이 감소되며 생화학적 과정에 변화가 나타난다.
①거무칙칙한 변화
②작은 영역은 구별되지 않음
③자신환전체 영역에 폐쇄되어
11. 혈관충혈 -- 이 상태는 虹彩의 바깥부분에 흐릿하면서도 파란 색을 띈 링의 형태로 나타난다. 사실상 虹彩보다는 공막(흰자위)에 나타난다.
홍채의 바깥부분의 공막에 형성된 푸른빛의 링으로 ①산소부족 ②철분부족 ③소모성질환(소화기계통이 불량하여) ④정맥의 순환이 불량한 경우 나타나며 혈관충혈의 폭이 넓고 혈관충혈이 짙을수록 증상은 심해진다.
혈관충혈 - 소화기
청막 - 피로 간계
12. 콜레스테롤, 나트륨 링 -- 각막의 연장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희고 불투명한 링이 虹彩의 둘레에 형성되어 나타나는데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들의 눈을 관찰하면 이 모양을 쉽게 발견할 것이다. 이 증세는 몸 안에 화학적 불균형으로 나타나는 것인데, 소금이나 소다를 너무 많이 섭취한다든가 혹은 나트륨의 함량이 많은 화학제품을 많이 취하였을 때에 그 표시로 나타난다. 또 혈관속에 콜레스테롤이 너무 과다하게 되었을 때에도 虹彩 맨 가장자리에 나타난다. 동맥경화, 관절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염분의 과다섭취, 혈관의 경화, 고혈압증세 등의 순환계의 이상을 초래하며 음주과다,발효식품(부풀게하는 음식),육식의 과다, 칼슘의 불균형, 나트륨의 과다축적, 튀긴음식과 맛소금이 이 현상의 주된 원인이다.
콜레스테롤링 - 심혈관계 동맥경화
循環障碍 - 심혈관계 동맥경화
빈혈
13. 임파선단 -- 임파선 계통은 피부를 나타내는 맨 마지막 영역 바로 안쪽에 나타난다. 임파의 循環에 障碍가 생기고 毒素가 생기게 되면 虹彩의 6영역에 작은 구름과 같은 점이 나타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구름같은 점이 신체 중 한 장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임파선단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작은 점들은 虹彩의 표면보다 부풀어 올라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흰 점은 초기(급성) 상태를, 노란 점은 중만성, 갈색은 만성 혹은 말기 상태를 나타내며, 毒素가 쌓여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임파선단 - 알러지성體質
제 6~7영역의 조직결손여부
임파선단의 의미는 배액기능에 장애가 생겼고 반유독기능이 떨어졌으며 정맥순환계에 질환이 생겼음을 시사.
밀가루성분이 많고 단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유기체에 무언가 많이 축적된 상태에서 발전하고 특히 림프계에 유독성 물질이 있고 대사기정에도 장애가 생긴 경우에 더욱잘 발생
림프성염주는 눈색갈이 밝고 그 색조가 다르게 나타나는(노랑에서 갈색까지. 가끔은 핑크빛 또는 갈색점이 있는 경우도 있음)사람들에게 더 자주 나타난다.
어던 부분에서는 폐쇠된 원주 또는 염주그룹으로 배열되는데 질환이 집중되어 있는 위치에따라 다름
진전된 상태의 질환에서 뿐아니라 질환의 전단계에서도 림프성 염주- 카타르성 질환,알러지성 질환,기관지 천식에 걸리기 쉽고 날씨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금성호흡기 질환에도 이환될 확율이 높다.
류마티스성질환,담석질환,대사장애등이 있을 때
악성종양에서는 양성인 경우보다 3배이상 많이 나타남
눈이 빨리심 ; 비타민D의 부족
14.自律神經線
★自律神經線은 自律神經界의 神經感應의 안테나
★교감 부교감신경의 상태- 유양돌기부에 自律神經線이 끊낌 이유없이 졸도
★自律神經線의 모양 -신경소통의 여부,장의상태, 결장반사, 충격이나 압력을 받은 흔적
체감증상과의 비교
★自律神經線의 크기 - 저항력 허실과 반비례
自律神經線 1/3이하; 强體質
自律神經線 1/2이상; 弱體質
동공의 크기 작음; 强體質
동공의 크기 큼 ; 弱體質
섬유질상태 조밀 ; 强體質
섬유질상태 느슨 ; 弱體質
섬유질조밀 自律神經線큼 ; 저항력이 약하고 장이 부푼 가스형
섬유질조밀 동공큼 ; 기가 약하고 경련 마비 발작형
섬유질느슨 自律神經線작음 ; 모든장기 신체근육이 경직 강직성으로 매우 허약한體質
섬유질느슨 동공작음 ; 약물중독 신경흥분
自律神經線이 솟아오르는 것 - 自律神經失調症
自律神經線1/2 섬유질조밀 : 가스형 대변이 묽음 ,대포
★自律神經線자체를 관찰할때는 두가지 중요한 특징이 모양과 구조(조직)이다.
★우리가 自律神經線을 이야기할때는 사실상 동공괄약근의 영역의 모양을 가르키는 것으로 팽창된 自律神經線은 동공 괄약근이 넓어진 것을 표현하고 반대로 축소된 自律神經線은 좁아진 동공괄약근의 영역을 가르키는 것이다.
★自律神經線이 전체적으로 膨脹된 경우 장상태와 인격적 특성 ;
소화기관 내부의 긴장도가 약함,
근계의 신경감응이 약함,
만성적 無力性便秘와 헛배부름
과식의 성향이 짙고 판단력이 부족
생물에너지학적 개성이 원심성형태인 강한 바이탈에너지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사람
사교성이 많아 사회적영향력이 크며 청탁에 거절을 하지 못하는 성격자
소화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사교영역에서 과소비와 판단력 부족은 불리한 입장에서
생명력을 일어버릴 수 있음.
이런사람들은 자주 그리고 적은량의 식사와 많은 휴식을 취하고 명상 요가등과 같은
중심성행동을 취함으로서 보유능력을 극대화 해야함
★自律神經線이 전체적으로 縮小된 경우의 장상태와 인격적 특성
소화기관 내부의 긴장도가 항진된 상태
여러 가지 경련성 便秘의 경향
이 구심성형태의 개성은 매우 능률위주이며 사회생활과 영양섭취에 있어 매우 분별력
이 있다.
양보다 질을 추구.
이런 사람들은 운동과 활동을 주로 확장적인 것을 위주로 댄싱,수영 무술을 주로 할
것을 추천한다.
★自律神經線의 부분적 팽창
①측면팽창
장연동운동의 허약성으로 운반과정이 더딤
메가톤급콜론(풍선大腸)
상복부증상 콤플렉스
장의 근육외막과 自律神經섬유의 중간에 위치한 신경총의 기능障碍
鼓腸
세균감염
● 좌측측면 하단부위의 팽창 : 비장의 압박에 의한 기능 저하(항진), 최장꼬리의
기능저하, 한번에 조금밖에 소화할수 없음, 신경쇠약, 우울 ,요구적이며 명령적임
● 우측하단부위의 팽창 : 간의 신진대사의 障碍, 지방간의 위험성, 장하수, 치질경향
②하면팽창
골반내 복부충혈증, 복부혈관의 긴장도 약화, 복근이완, 장하수 ,치질, 전립선비대증, 허리에 통증 하초의 에너지가 약함
③쌍면팽창
소장과 大腸의 약화, 무기력성 便秘, 세균감염, 헛배부름, 의기소침, 팽창된 부위바깥영역의 장기기능의 이상초래.
④파도팽창
장근육의 긴장성이 약함, 만성적인 카타르성 압박, 헛배부름, 소화불량, 이러한 환자는 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가장 중요함, 만일 체액영역이 어두워져 있다면 장기능 약화에 따른 다른장기계통과 기능에 영향초래를 의심(두통, 다리의 통증등)
돌출된 虹彩조직의 하부가 어둡거나 희귀하면 게실의 경향이 있음
이 부분적 돌출내부조직의 변화는 해당되는 영역의 장이 영양혹은 신경공급의 부족으로 약하게됨을 의미
만약 마름목꼴의 병소나 버터플라이 병소가 있으면 해충의 침략에 매우 약함을 의미
⑤네모형 自律神經線
이 현상은 긴시간에 걸쳐 천천히 그리고 서서히 형성됨
이 현상이 초년기에 발견되었다면 교감신경이 體質的으로 약한 것을 고려한다.
주요 영양소의 흡수능력저하 및 블록
신체의 강건함을 형성하지 못하는 體質
알러지성體質 3-4영역의 중독과 같이
어떤병이든지 간에 이들은 매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로운 환자들이다.
만일 양측虹彩에서 관찰되면 치료불가능성을 의심해보라.
⑥지그재그형 자율신경선
소화기계통의 운동성이 항진된 상태로 장내용물의 이동시간이 매우 빠름
경련성 便秘? 고장 복통
일반적으로 痙攣性體質임
부모중 최소한 한명은 완벽주의자이거나 요구가 지나침
이러한 사람은 과격한 기분파이거나 외부적 영향에 민감하다.
그들은 매우 예민하며 쉽게 놀란다.
부분적 지그재그형은 해당부위 장근육의 경련障碍를 의미하며 혹 경험에 의하면 이 사인은 신체 다른 어느부위의 근육에서도 경련이 일어날 수 있는 痙攣性體質임을 시사.
만약 뇌부위에서 발견되면 노이로제,불안障碍, 공포 그리고 급작스런 기분전환 등의 유전성을 검토해야함.
만약 하단부위에서 발견되면 S자결장과 직장의 痙攣性障碍를 살피고 헛배부름을 검사.
⑦두겹의 自律神經線의 평행트랙
정신신경증 ,정신신체증을 시사
이는 유전성이 있으며 부모의 회상에서 증명됨
이 현상이 대뇌부위에서 발견되면 무관심 혹은 자살기도, 우울증의 유전가능성.
중간부위에서 발견되면 신경성 천식,심장의 박동障碍, 신경증
하단부위에서 발견되면 비뇨생식기계통의 배출과 관련하여 관찰요망
自律神經線은 소화기계통의 안테나이므로 신경성大腸疾患과 장간막,임파관의 자극의 가능성에 대하여 체크한다.
⑧自律神經線의 不在, 形成貧弱
自律神經界의 능력이 없는 상태로 병적 조절장치의 이상을 보아야함
신체적 취약성은 정신감정적 무력증과 커플을 이루다.
이런 환자는 절망과 과로로 매우 지쳐있음을 볼 수 있다.
어린이에서 발견되면 경련성體質, 뼈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칼슘섭취의 부족,식욕부진,메스꺼움,과다한 카타르를 동반한 위장의 연약성(점액질 구토),음식을 참지못함
종교적 심취, 격한 감정적변화에 쉽게 노출
⑨自律神經線의 部分的 不在
소화기관의 소화효소 분비저하 비타민(특히 비타민A)의 흡수 부족
☆自律神經不在의 特異한 境遇
깔데기모양의 부재는 연약한 근육과 조직의 연약성을 의미하는데 항상 탈장의 경험을 질문하라.
심장영역에서 발견되면 심근의 연약함 혹은 퇴화를 의미하는데 다른 부위에서도 같은 적용을함.
★大腸炎(大腸협착) -- 自律神經이 위장쪽을 향하여 협착되었을 때에 볼 수 있다. 大腸의 활동이 제한되어 있으며 便秘 및 염증을 유발한다.
虹彩를 觀察할 때는 疾病의 內面에 있는 精神的 門題도 觀察하여야 한다.
◈자율신경선의 모양
①②③④⑤⑥⑦
홍채의 구조적 반사적징후와 색소병리적징후
구조,반사적이고 색소병리적 징후들은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홍채학적 징후이다.
색소반점과 구조상의 변화 홍채조지그이 결핍은 불가역적 징후에 속하며 이는 해당기관이나 기능체계가 충분히 활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한 번생기고 나면 평생동안 남게 되며 유전될 수도 있는데 이는 특정질병에 대한 유전적 소인을 나타낸다.
󰊱構造的 變化의 形成
국부 부종과 홍채기질부위의 경화증은 홍채의 구조적 변화 초기시에 나타남 결과적으로 몇몇의 섬유조직은 확대되며 부종이 끝난후에는 홍채영역의 조밀도가 감소됨을 볼 수 있다.
󰊲섬유조직간격의 확대
어느 영역에서 홍채의 조밀도가 감소되고 한 단우당 섬유조직의 수가 다른 부분보다 적고 이 영역의 섬유조직들리 꼬여 있으며 때로는 촘촘하게 된다.
󰊳홍채기질의 세밀화
󰊴열공
염증성 퇴행성 징후
이것들은 크기와 깊이,모양,색갈, 위치,테두리의 상태,밑바닥,각도로 평가됨
󰊵󰊶󰊷
9.상해(Lesions), 구멍 -- 이들은 후천성 혹은 선천성으로 연약함을 나타낸다. 이들의 모양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크기나 깊이, 명암은 각각 다르다. 열린 상해와 막힌 상해가 있는데, 열린 상해는 신진대사가 적은 양이나마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막힌 상해는 달걀모양으로 구멍이 난 것을 볼 수 있는데 비교적 매우 어둡다. 이런 모양의 상해는 어느 특정 부위의 심각한 증세를 말하는 것이며 특히 검고 막힌 상해는 암이나 종양이 생겼음을 경험은 가르쳐 준다.
10.구조적 현상들 -- 어떤 구조적인 문제점들도 虹彩에 나타난다. 가장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문제는 횡행결장의 탈장 현상이다.
이 현상은 大腸 밑에 위치한 장기들의 압박을 의미한다. 이 증세는 위하수의 증세를 야기시킨다. 주 원인은 칼슘의 부족으로 일어난다.
15.병소 - 신기루를 보지 말자
주요장기순으로 볼 것 - 오장육부순으로
깊이순, 열린병소, 섬유질의 높이
♣병소의 종류
타원형병소, 열린병소, 일자형병소(바퀴살), 마름꼴병소, 소원형병소, 병소군
①타원형병소, 일자형병소: 85%가 유전성
②열린병소, 마름모꼴병소, 소원형병소, 병소군: 90%가 후천성
③마름모꼴병소: 암으로 갈 확율이 70%
④병소군 :간영역에서 간염징후
⑤영역부위가 너무 밝거나 어두운 경우: 질환의 가능성
16.着色過多 -- 虹彩의 일반적인 색보다 더 짙은 불규칙한 점으로 나타난다. 붉은 색, 노란 색의 모양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약(화학)의 과다 복용으로 선천적으로 물려받은 연약한 부위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황의 과다 축적은 노랗게, 요드의 과다는 붉게 나타난다. 이 과다 현상은 더욱 짙어질수록 그 부위의 문제는 더욱 악화됨을 드러내는 것이다.
약의 축적은 體質개선으로 말미암아 줄일 수 있다. 虹彩에 나타난 약물과다 점은 흐리게 되기는 하나 결코 虹彩에서 사라지지는 않는다.
虹彩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현상들을 실제 사진을 보면서 관찰 연구해 본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 페이지부터 나오는 사진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여러 현상들을 기억 속에 저장하도록 한다.
독소가 축적되거나 약물의 과다복용 또는 신체의 노폐물에서 발생되는 독소에 의한 세포조직의 기능저하로 연결되며 유전적인 경우도 있다.
◉着色過多의 원인
①약물
②간의 해독능력의 저하
③약물을 다루는 이: 농약 화학약품
④선천적 인소: 약 15%정도
⑤색소음식
⑥着色過多는 사춘기때 가장 잘 형성된다.
⑦없어지지 않는다.
⑧Endogenic: 홍채조직과 같이 변색, Exogenic:虹彩조직위에 붙여 놓은것 처럼 변색
着色過多가 병소(선천적 유약부위, 바퀴살등)와 겹쳐서 나타나면 종양의 위험성을 시사.
소화기관내의 着色過多:단백질을 부패시켜 가스가 발생화고 독소가 차이게됨
虹彩에 땀띠모양
- 간에서 철분의 처리가 안될 때
얼굴이 검붉음 - 헴모글로빈수치가 높음(간에서의 철분
얼굴이 창백 - 빈혈증상
열린병소
- 벌어지면서 솟음 - 통증상태 밝을수록 통증
- 밑으로 가라 앉으며 벌어짐 - 조직의 궤사
17.대칭비교
정중앙의 장기는 좌우에 같이 나타나야함
계통장기가 같으면 병소 및 모양 깊이가 흡사
18. 동공의 흡수링의 크기 - 약효
홍채의 맨안쪽 혹은 동공의 둘레로 침투한 홍채의 연장
소화기관의 영양흡수능력을 나타낸다. 이부위의 명암도는 영양흡수력과 비례한다.
위영역의 조직이 치밀하고 솟아있는 경우 위기능항진으로 대식가
동공
◉ 동공의 빛반응은 대뇌구조들의 기능상태의 반영
동공의 색: 수정체는 검어야함 검은 것이 아닌 것은 질병을 나타냄
동공의 크기 : 병리학적인 축동증(마약의 진단 기준)과 산동증을 이해
동공의 기형 : 원형태가 아닌 것은 국소적인 질환과 관련됨
동공의 기형형태 : 타원형
부분기형
부정형
한쪽눈에만 보이는 기형은 질병의 증상
홍채나 동공의 기형은 변한 부분의 반사영역의 질환이나 같은 방향의 모양채 위에 있는 내부기관의 증상과 연관.
홍채와 동공의 중심이탈
◈ 정상적인 상태 : 동공과 홍채의 중심은 일치하거나 약간 안쪽 혹은 어래쪽에 위치함
중심이탈 :동공운동계의 교감 및 부교감신경계의 상호뷸균형을 의미함
동공에 장기간의 일정한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
-홍채 신경근요소의 손상이 심화
-이것은 부분적으로 약화되고 앋레날린성기능이 없어짐에 따라 동공을 움직이는 괄약근과 확장근사이의 관계에 장애가 발생
-동공의 원과 자율신경환 모두변형
동공의 중심이 홍채중심으로부터 3%이상 편향되어 있다면 이것은 진단을 내리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흡수링.동공연 (Pupillary Margin)
정상: 진한 갈색 또는 검은색의 벨벳과 같은 모양의 테두리
표징: 인체의 면역체계상태를 반영
바깥쪽부터 탈색되는 증세는 면역기능의 소모와 반종양성저항기능의 저하를 의미함
동공의 윗부분에 생긴 부분적결손은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 및 면역 방어기능정도의 기준
흡수링의 두께는 부교감신경의 활동과 반비례
자율신경환
자율신경환은 3-5세 정도에 형성됨
모든내장계통의 활동을 나타내고 국소의 진단에 활용함
자율신경환의 높이와 폭은 교감신경계의 지배하에 있는 불수의적신경계의 기능상태를 파악함
자율신경환의 규칙적인 상태는 내장기관이 정상적으로 조화로움을 으미
자율신경환의 색은 홍채의 색과 일치해야 정상적임
자율신경환의 증후 - 국소적 외부팽대:압력의 증가
- 국소적 내부함몰:압력의 감소
- 국소적 편평상태
자율신경환은 신경계활동과 반가반응의 연구에 중요
19. 섬유질의 조밀도
强弱體質
본인의 증상부위를 최대확대하여 관찰
20. 鞏膜의 觀察
21. 영역별 진단목표
1영역: 위
흡수링의 상태
흡수링의 타입 - 동공안으로의 생성등
2영역: 대장 및 소장
조직의 형태
자율신경선의 굴곡
3영역: 부속장기 및 혈액(특히 정맥혈)의 상태
혈액중독의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4영역까지 중독될 수 있다.
혈액의 중독은 장내의 변비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바 변비의 징후로 읽음
자율신경선의 폭이 크면서 3영역이 중독이면 변비라할 수 없으며 혈이 오염됨의 징 후로서 판단해야 함
3영역이 요오드색으로 붉게 물든 경우는 면역력의 약화
특히 소아의 경우 3영역에 신경링이 흐르면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을 의심
♣ 3영역의 변화 상태
①검게 변한 경우- 피의 중독, 피가 탁해짐, 산소농도 저하 탄소농도의 증가
②돌출되는 경우- 오염되면서 돌출되는 경우는 변비의 징후
③함몰되는 경우- 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혈액내의 철분 부족, 혈소판의 감소, 헤모글로빈의 감소
④과립형의 경우- 3-4영역까지 나타나기도함 , 간의 철분처리능력의 저하, 간에서 철분의 분리
4영역: 근육
조직이 풀어지면서 꺼져있으면 근무력을 의심
5영역: 골격 골수염 골수암 외상 골절등
마름모나 사각형의 조그마한 병소 작은 기스정도로 병소가 나타남
6영역: 임파 신경링
임파선단 종양의 위험
음식의 서구화에 따른 변화(피자 유제품 기름에 튀긴음식)
7영역: 피부
흑테 그방향에서 잘 살펴야함
피부영역에 신경링이 흐르면 피부암도 의심
23. 虹彩 體質論
①强體質-실크타입의 결이 고운 虹彩
질병에 쉽게 이환되지 않으며 질병에 이환되어도 잘 회복됨
성격적 특성은 본인은 건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체력을 소모시키는 경향
병과 신체상태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다가 병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음
병소가 잘 나타남
약물도 잘 받으며 중병에 이환됐다 할지라도 회복될 율이 70%정도로 높음
②弱體質-삼배타입의 결이 거친 虹彩
평소에 體質이 약하고 병에 이환되기 쉬우므로 건강관리를 잘함
중병에 걸리면 회복율이 40%정도로 낮음.
③藥物體質-着色過多가 많이 나타나는 體質
약을 가능하면 쓰지 않고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조직의 기질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암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④酸性體質- 눈이 밝게 나타남
體質上 체액의 산도가 높고 이에따라 관절(전신의 관절염등)이 약하며 피로가 쉬옴
체내에 산이 축적되는 이유는 신장의 기능이 약하며 체내에 과도한 무기미네날이 축적되는 경우
酸性體質에 나타나는 증상은 관절염,통풍,류마티즈관절염
산을 없애는 방법을 써야함-증류수 ,무기미네날 보다는 유기미네날을
⑤癌體質-虹彩전반이 검게 나타남 마치 虹彩에 작은 검은점들이 밝혀 있는 것처럼
虹彩 전반의 선천성 흑테
암에 이완될 확율이 정상인보다 3-4배 높음
체질분류
생명의학과 Constitution
체질이란 유전적으로 한정지워지는 세포핵의 유전적 정보의 결정에 의해서 이루워진다고 볼 수 있다. 홍채에 나타나는 그림과 표식은 이러한 상황의 반영으로 손에 나타나는 지문처럼 개개인이 다 다른 특징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바 示唆함이 크다 하겠다.
의사는 정원사와도 같다. 정원사는 정원에 있는 각각의 식물들이 참으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안다. 정원사는 각 식물들이 각자의 생명법칙에 따라 습기가 더 필요한지 강한 빛보다는 약한 빛이 필요한지 안다.
그러므로 의사는 인간이라는 유기체의 유전적 반영을 관찰할 수 있는 홍채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의 개인적 생명법칙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생리적 요구와 병리적 경향을 바로 인식하여 인체가 참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무억을 요구하는지를 알아야하는 것이다.
의학의 목적이 인간으로 하여금 건강한 육체와 그 속에 깃든 건강한 정신을 갖게 해줄 자연법칙을 발견하고 가르치는 일이라면 의자의 주된 역할은 질병을 다스리고 사고로 야기된 불완전한 신체적 요소를 교정하고 생명전체의 조화와 균형을 회복케하여 건강을 지켜주는 것으로 단순한 치료가 아닌 전인적인 치유라 할 것이다.
홍채의 그림과 표식을 통하여 인체가 표현하는 필요와 요구를 해석하고 질병과정에서 나타나는 전경인 병변을 판단할 뿐 아니라 기본 바탕이 되는 배경인 체질응 고찰하여 국소의 병변을 치료함과 동시에 인체의 자기치료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체질치료의학의 목표이다.
홍채를 통하여 질병과 인체를 동시에 보고 인간전체를 총체적으로 조절하며 개체의 특성에 따라 생존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홍채학의 기본정신이고 동양의학의 이론체계이며 생명의학의 최종적 목표인 것이다.
A 림프질의 특수체질-선병질로 피부가 창백함
홍채의 색갈은 갈색에서 탁한 갈색정도로 나타남
자신환의 근처에서는 더 밝게 나타나고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더어둡게 나타남
⇒임파선 조직(흉선,림프절,편도선,비장)의 반응성이 증가 ->면역체계에 질병이 생길 확율이 증가함->알러지성 질환,교원증,감염에 대한 저항력의 저하화학적 영향과 약물영향에 대한 체내효소체계의 민감도상승
☆아동기;비인두부분(아데노이드성 소인)에서 임파관의 비후 현상,임프절의 비대,상기도관과 방광에서의 염증성질환의 가능성을 시사.
☆중년기;소화관점막과 성기에 질환이 발생
B 혈액원성 특수체질
◎홍채의 색은 진한 갈색,벨벳처럼 촉감이 부드러워 보임
◎면역성질환,먕원소의 부족,임파선염,선종,결석 등의 소인,전염되었을 경우 혈액안의 백혈구의 함량ㅇ이 저하,미량원소의 균형이 깨지기 쉬움
◎아동기질환;감염성질환,빈혈,위가약함,소장결장염
◎노년기질환;대사장애(골연골증,관절증)
*혈액원성-강직경련성특수체질
◎홍채의 색은 진한 갈색,모양체대냉에는 3-10개의 적응환
◎정신신체의 자극,신경계의 반응성이 증가-불안,피로감,공포,감정적스트레스
갑상선중독증,침체,욕구불만,편두통,위분문통,담마진(두두러기)퀸케부종,복부 기관의 수축과 장산통,발기부전
◎아동기질환-신경근의 흥분증가,갑상선기능부전,잦은빈혈,신경증,신경쇠약,히 스테리성반응,복부기관의 경축,현기증,지각이상,피부의 신경성소양증,빈맥,심 장의 통증등
◎중년기질환-신경증,현기증,우울증,갑상선질환,기관지천식,신경선피부진,신경 성궤양,담석증
◎노년기질환-심혈관질병
C. 복합성특수체질
◎홍채의 색은 진한 갈색에서 중간톤의 갈색까지
◎소주의 구별이 가능
◎림프조직의 반응은 보통이고 대사장애(특히 간)가 나타나기 쉬움
◎아동기질환-유해인자에 대한 간실질의 저항도가 낮음->간염의 위험,담관운동의 장애
◎중년기질환-선천적인 간효소의 이상,간의 병리학적인 질환이 진행된후에 간의 효소기능과 해독작용의 저하->,중추신경계의 대사장애(우울증,침울증),피부병,장기기능장애,담석증
◎노년기질환-대사장애(골연골증,관절증.결석형성)
D.색소포화성 특수체질
a.수소성체질
◎홍채의색-탁한갈색
◎밝기-자신환색이 밝고 홍채의 가장자리가 흐릿함
◎병원흔적기전-유기체의 림프배액계의 손상 및 유독인자 배출장애
◎아동기-비인두부의 림프조직증가,기관지 점막약화,피하지방에 유독물축적등
◎중년기-면역병리학적 질환,피부알러지질환,
◎노년기-대사장애(요로결석,골다공증,결석)
임파배액계통에 생긴 손상과 유독인자 배출에 생긴 장애-유기체내에 수분이 정체, 정상적인 체내단백질이 항원으로 작용
유독물질의 배출장애,기관지점막의 약화,임파조직의 비대.부알러지,류마티스관절염,신장증
◎치료법
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체내장기조직들의 온도저하를 피할 것
석유,왁스,.염색,세제 등의 사용을 피할 것
우유,쵸콜릿,짜고맵게 먹지말 것
밤에 잠들기전 음료를 마시지 않는다.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는다.
옥수수수염,수박,차전자,우슬,지실,황기,방기
①복부결합조직이 약한체질
◉ 홍채의색-탁한 갈색
◉ 홍채의 밝기-자율신경환과 망상성동공대 근처의 색이 밝음
◉ 병원흔적기전-소화관계의 결합조직이 약화
◉ 아동기-위장염,식도장계실,근기,척추질환
◉ 중년기-교원증,정맥순환장애
◉ 노년기-소화관잘환,척추골연골증,관절증,정맥순환장애
♧ 위장과 관련된 소화기계의 약화
♧ 소화흡수가 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영양소의 흡수가 안됨
만성피로, 빈혈, 수족냉, 눈이 침침, 이며, 척추골연골증, 관절증, 탈장,
혈액순환장애, 골다공증, 척추디스크(칼슘,비타민B,Mg) 비염, 천식, 피부알레 르기등(장중독이 있을 때 특히 소아들에 잘 발생), 갱년기가 40대초반에 발 생, 라쿤나가 양쪽에 존재시 반드시 허약체질
비계가 약화하여 신계까지 약화됨으로 독소의 배출능력이 약화되어 제3영역에 색소변화초래-부종-홍채의 산성화 (노랑색)
♧치료법
스트레스해소
복부근육강화운동
힢에 높은배게를 밭치고 하부에서 상부로 마사지한다.
천천히 꼭꼭씹어서 식사하는 습관을 가진다.
장세척
항생제와 우유는 신중히 복용
향사육군자탕,삼출건비탕,향사양위탕+ 강활 독활 목과
②신장-심장조직이 약한체질(심신부료)
◉ 홍채의 색-갈색
◉ 홍채의 밝기-자신환근처의 색이 밝고 심장과 신장의 투사영역에 열공
◉ 병원흔적기전-결합조직의 약화,심장 및 신장질환이 걸리기 쉬움
◉ 아동기-비염,부비강염,판막성심장질환,근시,혈관장애,관절의 쇠약,신장의 염증증세
◉ 중년기-교원증,근시,정맥류,치질,척추신경근염
◉ 노년기-ㅗ혈압,만성허혈성심장질환,폐경화증,죽상경화증성뇌질환
◉ 심장과 신장이 선천적으로 약하여 혈압이 올라가는 체질(40대 이후에 나타남)
대사이상으로 골연골증,관절증,고혈압,만성허혈성심장질환의 가능성
남자; 요통,하지무력,정력약화,전립선비대
여자;자궁부속기질환
◉ 치료법; 몸을 따뜻이한다.
달걀,쵸콜렛,지방질음식,소금은 피해야함
심장,신장,자궁부속기질환의 정기적검사 요망
요부근육강화운동
죽순,결명자,둥글레,오미자,맥문동,복분자,차전자
③콜레스테롤침착체질
◉ 홍채색-진한갈색
◉ 홍채의 밝기-돌출근처에 콜레스테롤링
◉ 병원흔적기전-림프조직의 반응성감소,대사장애(콜레스테롤기능부전)
◉ 아동기-림프절 비대,알러지반응,고지혈증
◉ 중년기-요산성소질,유뇨증,대사장애등
◉ 노년기-죽상경화증,관절증,대사장애
◉ 홍채주위에 지질소디움고리가 나타남-고지혈증의 증세와 관련된 대사의 장애
◉ 아동기질환;임파조직의 비대,알러지반응,비만이되기쉬운 고지혈증
◉ 노년기질환;고혈압, 동맥경화,중풍,손발저림,두통,관절증,척추골연골증형태의 대사장애
◉ 치료법; 복근운동
콜레스테롤음식의 제한-채식위주
식이요법-미역,현미,식초,양파,마늘,버섯,솔잎
저녁과식 절대금물
과음,지방식,단음식을 피한다.
④췌장결합조직이 약한체질
◉ 홍채색-갈색
◉ 홍체밝기-자신환근처의 색이 밝고 췌장투사영역에 열공
◉ 병원흔적기전-결합조직의 약호로 인한 췌장 및 기관지질환이 걸리기 쉬움
◉ 아동기-편도비대,비염,비만,초기근시,관절증
◉ 중년기-근시,치질,기관지질환,췌장질환
◉ 노년기-교원증, 정맥류,치질,척수신경근염,폐동맥부전
선천적인 췌장기능의 약화로 육고기를 삼가야함
췌장질환,초기근시,혈관계장애,척추인대와 관절의 약화,기관지염,기관지확장증,폐동맥부전 등의 질환이 위험
◉ 치료법
노동과 휴식의 계확을 철저히 세운다.
시력을 저하시키는 일을 삼가할 것
단음식(설탕,쌀밥등),음주,육고기의 섭취를 줄인다.
운동철저-약간숨찬운동으로
독성이 심한곳에서의 작업(직업)불가-오염된곳,화공약품다루는곳
양파,냉이,콩,보리
⑤폐-기관지결합조직이 약한체질
◎홍채색-밝은갈새에서 탁한 갈색
◎홍채밝기-자신환근처의 색이 밝고 기관지와 폐의 투사영역에 열공
◎병원흔적기전-림프조직의 반응성증가,결합조직의 약화
◎아동기-부비강염,비염,천식성기관지염,폐렴등
◎중년기-기관지천식,정맥류증,치질,척수신경근염
◎노년기-기관지,폐질환,폐경화증,폐포기종
임파조직의 반응이 커지면서 기관지폐질환의 위험
만성기관자염,기곤지천식,비염과 부비강염,알러지성폐질환등
노년기질환-폐경화증,폐부전,폐포기종등
이차적으로 심장기능의 장애유발
◎치료법
척추자세의 조절-가슴을 펴고 바른자세로
활동적인 운동-수영,조깅
금연,공기가 희박한 곳에서의 작업금지
몸을 따뜻하게 유지함
도라지,머위,행인,은행,당근,무,양배추,
⑥요산성체질
◎홍채색-탁한갈색
◎밝기-모양체내의 회색빛이 도는 갈색덩어리
◎병원흔적기전-모양체대의 말초부위에 신경성링이 존재
◎아동기-대사장애,유뇨증,만성심장염증질환,하지부종등
◎중년기-면역병리학적질환(신장증,교원증),대사장애(요산성질환,담석질환)
◎노년기-골연골증,결석,관절증
임파조직의 반응이 커지면서 유뇨증 및 류마티즘질환
대사장애로 인한 요로결석,담석증,피부질환등이 나타남
◎치료법
소변량을 조절할 것
염,칼슘을 포함한 음식물을 제한할 것
수영,점프등 과같은 과격한 운동을 삼갈 것
수박,옥수수수염,미나리,차전자,복분자
⑧신경유래성체질
◎홍채색-밝은갈색,붉은빛이 도는 갈색
◎밝기-자신환과 얇은 경변성Trabecular근처는 더 밝게 착색되며 헝채질질은 탄력 긴장이 있음
◎병원흔적기전-신경계와 림프조직의 반응성증가
◎아동기-비염,부비강염,예측불응의 행동,비자발적인 반응,신경증
◎중년기-부지런함,높은 수행능력,과다긴장,피로,신경장애,편두통, 천식발작
◎노년기-고혈압,만성허혈성질환,파킨슨병,노인성신경쇠약증
부지런하고,목적의식이 뚜렷하고 높으며,작어븡력이 뛰어남,성격이 깔끔하고 일처리를 잘함
그로인한 과다긴장,신경계피로,신경장애등증상을 초래
두통,편두통,초조,과로,천싞성발작,위궤양,십이자장궤양,갑상선질환,심장신경증이 발생
노년기의 장애-고혈압,만성허혈성심장질환,신경쇠약증
◎치료법
일과휴식의 계획을 잘세운다.
향기요법, 알파파치료
복벽의 긴장도를 증가시키는 훈련
식이요법-비타민B,칼슘이 풍부한식품(미역,해조류,현미,식초등)
스트레스를 밭고나면 사우나나 맛사지,스트레칭을 할 것
산성체질
체중의 약 60~70%를 점하고 있는 체액은 정상적인 경우 PH 7.44정도의 약알칼리성을 유지 하도록 이중삼중으로 조절되고 있다. 인체를 구성하는 미네랄중에서 전체량의 2%를 칼슘이온이 차지 하는데 이 칼슘의 양에 의하여 산성체질이 되기도 하고 약알칼리성체질이 되기도 한다. 즉, 칼슘이온이 혈액의 4%에 이를때 혈액의 액성은 PH 7.44가되는 것이고 이 상태가 약알칼리성체질로서 무병상태인 가장 건강한 이상체질이다.
약알칼이성 체질은 혈액순환이 좋고 호르몬이나 효소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나 회복력이 뛰어나며 두뇌는 명석해지고 직감력이나 통찰력이 뛰어나 사리판단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혈액의 칼슘이온이 감소하게 되면 혈액의 액성이 PH 7.36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많은량의 산소공급을 요구하게 되므로 혈액이 산독화되어 피로를 쉽게 느끼며 감기등에 잘 걸리는 산성체질로 줄달음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산성체질을 예방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식생활을 균형있게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산성체질을 약알칼리성 체질로 개선하여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각종 성인병과 여러 잡다한 만성질환들이 산성체질의 사람들에게서 많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산성체질시 나타나는 증상들
1. 남성의 경우
⑴ 살이 찌지 않고 속이 메싯거리며 신경을 조금쓰거나 술을 조금만 마셔도 설사를 한다.
⑵ 잠이 잘 오지 않으며 잠 잘때 꿈이 많거나 잘 놀래고 혀에 백태가 자주 깬다.
⑶ 주금만 활동을 해도 쉬 피로를 느끼며 추위를 많이 느낀다.
⑷ 눈이 충혈되고 피로 하며 눈에 티가 들어간것 처럼 눈 뜨기가 어렵다.
⑸ 배가 나오고 화를 잘 내거나 특히 기억력이 급히 감퇴 한다.
⑹ 신경을 조금 써도 두통이 오며 머리가 무겁고 빈혈이나 현기증 같은 증세가 있으며 가끔 귀가 멍 할 때가 있다.
⑺ 자주 온몸이 아프다. 특히 두통 신경통 요통 관절통 류마티즘 어깨결림증상을 호소하거나 여러 부정수소등을 잘 호소한다.
⑻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간장병 비만증 같은 소위 성인병이 다른 중년기 이후의 사람들 보다 훨씬 이른나이에 갖게된다.
⑼ 폐결핵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거나 앓은 병력이 있으며 끈기가 부족하고 쉽게 권태와 피로감을 느끼며 매사에 의욕이 없다.
⑽ 사타구니가 축축하고 조루증이 있거나 새벽에 생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서 부부생활에 지장을 느낀다.
2. 여성의 경우
⑴ 신경을 조금 써도 얼굴이 화끈거리고 눈이 침침하며 눈물이 잘 나오는 사람
⑵ 기미가 생기고 살결이 거칠거칠하고 탄력성이 적고 화장도 잘 받지 않는 사람
⑶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잘 차며 차멀미를 하고 구토가 종종있는 사람
⑷ 눈 얼굴 손 발이 잘 부으며 기동을 하면 부종이 빠지는 사람
⑸ 생리통이 심하며 빛깔이 검고 탁하며 엉키거나 생리의 양이 고르지 못한 사람
⑹ 월경주기가 자주 변하고 때때로 아랫배가 차갑고 아프며 생리때가 아닐때도 생리가 비치는 사람
⑺ 남성의 경우에서 언급한 여러증세를 느끼는 사람
⑻ 임신중 피부가 거칠며 기미가 매우 많이 생기고 입덧이 유달리 심한 사람
⑼ 출산후 손발과 몸이 많이 부으며 잇몸이 들뜨는 사람
⑽ 배란이 잘 안되거나 임신이 불가능하고 유산이 잘 되는 사람.
산성식품과 알칼리성 식품
1.알칼리성 식품
강;매실, 해조류(톳, 미역, 다시마), 멸치
중;마늘, 표고버섯, 밤, 감자, 토마토, 오이, 사과, 귤, 버섯류, 대두, 시금치, 팥, 당근, 딸기, 송이버섯
약;야채, 과실류, 고구마, 토란, 양파, 파, 연근, 호마, 두부, 현미, 포도주등
2.산성식품
강;오징어, 백사당, 계란, 햄, 소세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등 모든육류, 모든 과자류
중;백미, 흰빵, 청주, 양주, 버터, 마요네즈
약;흑두, 조개류, 해태, 새우, 땅꽁, 게, 치즈, 맥주, 미꾸라지, 뱀장어등
眼科的 診察
타각적 검사
1) 안검 : 안검의 모양, 국소적 종창 및 안검의 운동이 자유로운지 관찰
2) 속눈썹 및 안검연 : 불을 비치고 옆으로 속눈썹의 방향을 관찰하여 첩모난생, 부안검, 안검내반, 안검외반 등을 확인해야.
3) 안구의 위치 : 안구의 돌출여부, 양안의 방향이 똑바른지의 여부
4) 안구의 운동 :
5) 누기 : 누액분비량검사, 배출기능검사
6) 구결막
결막의 충혈결막충혈 : 결막 자체의 염증 󰠏󰋼 결막의 주변부에서 심함. 점상출혈
모양충혈 : 각막 혹은 눈속 염증 󰠏󰋼 각막윤부 " 심층의 혈관이 더 충혈.
관찰법 : 하안검을 손가락 아래로 잡아당기면서 환자의 눈을 위로 향하게 하여 하안검결막을 관찰한다.
상안검결막은 환자의 시선을 아래로 향하게 한 후 첫째·둘째 손가락으로 상안검의 검관 상단부의 피부를 잡아 둘째손가락은 안구 쪽을 누르면서 첫째 손가락으로 안검연을 위로 비틀어 올려 상안검을 뒤집은 후 관찰한다.
7) 각막 : 작은 손전등으로 불빛을 비스듬히 비추어 작은 홈이나 궤양을 발견할 수 있고, 투명함을 잃은 경우 각막부종을 생각할 수 있다.
1. 동공반응검사
방의 조명을 어둡게 한 뒤 환자는 먼 곳을 주시하게 하고 광선을 동공에 비추면 동공은 즉시 축소된다. 반대편 눈에 광선을 비추면 동공이 줄어든다.
2. 세극등검사 ; 특수한 조명장치와 현미경
4. 안저검사
1) 직상검안법
2) 도상검안법
3) 세극등검안법
기능검사
1. 시력
시표에는 직경이 7.5mm 폭이1.5mm인 Landolt 고리를 그려 고리에 1.5mm의 간격을 둔 것을 표준시표로 5m 거리에서 그 간격의 방향을 알아맞추는 눈의 시력을 1.0으로 한 것.
영문 알파벳 글씨의 폭이 1분이 되는 거리를 시표번호로 하며 20feet에서 1분의 시각을 가지면 20/20(6/6)으로 기록하는 Snellen 시표
◆ 측정방법
① 실내는 200룩스
② 일정거리 (5-6m)
③ 좌안을 적당한 차안기로 가리고 우안의 시력을 측정한 다음 좌안을 측정한다.
④ 큰 시표 󰠏󰋼 작은 시표로 읽고, 읽을 수 있는 최소시표의 옆의 숫자를 본다.
⑤ 소수식 시시력표이면 그 숫자가 바로 시력이 되며 Snellen식 시시력표이면 그 숫자를 분모로 하고 20(휘트식) 또는 6(미너식)을 분자로 하는 분수가 시력이 된다.
⑥ 시력이 불량하여 가장 큰 시표(0.1)도 보지 못하면 그 시표를 볼 수 있을 때까지 거리를 단축시켜 그 거리에 0.02를 곱한다.
⑦ 1m 이하의 측정거리에서는 손가락 수를 알아맞추는 거리를 측정하여 만약 50cm에서 식별하였다면 이를 안전수지 50cm(F.C/cm)라 표시한다.
⑧ 눈앞에서의 움직임만을 알 수 있다면 안전수동이라 기록한다.
⑨ 수동도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눈에 광선을 점멸하게 하여 광선 유무를 판단시킨다. 이를 광각이라 한다.
⑩ 광각도 없으면 시력은 0. 즉 좁은 의미의 맹이 된다.
2. 시야
눈으로 한 점을 주시하고 있을 때에 그 눈이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시야라 한다.
■ 측정방법
(1) 대면법
(2) 주변시야계법
(3) 평면시야계법 : 주시점에서 약 30‘ 정도의 중심부 시야를 측정한다.
3. 색각 - 가시 광선 중 파장의 차이에 따르는 물체의 색채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능력을 말함.
외안부疾患의 관찰
1. 안와疾患
2. 안검疾患
1) 맥립종 : 포도구균이 원인 : 발적, 소양감, 종창
2) 산립종 : 검판선의 만성 육아성 염증 : 단단한 결절
3) 첩모난생 : 첩모가 안구쪽으로 향함
4) 안검내반
5) 안검외반
6) 안검하수 :
선천성 : 양쪽 눈 혹은 한쪽 눈의 상안검이 아래로 쳐져 있으며 치켜 뜨지 못하고 이마에 주름이 많으며 머리를 뒤로 젖히고 다니는 경우.
후천성:신경障碍로 동안신경이나 Horner 증후군, 근육이상으로 중증근무력증에 의함
전안부疾患의 진찰
1. 결막염
1) 충혈 : 선홍색으로 결막원개부에서 가장 명확하고 각막윤부로 갈수록 약해진다.
세균성 결막염일 경우 : 선홍색,
알레르기성 결막염 : 유백색
2) 결막하 출혈 : 유행성 각결막염이나 심한 세균성 결막염 일때 나타남
3) 유두상 비대 : 춘계카타르시 대단히 크고 평편한 다각형 모양으로 마치 자갈을 깔아 놓은 것 같은 유두상 비대를 보인다.
2. 각막염 : ① 불빛 주위의 무지개현상 ② 시력감퇴 ③ 통증
1) 세균성 각막염
원인 : 폐렴구균, 녹농균, 쌍간균
증상 : 각막 중심부 궤양이 생긴다.
2) 진균성 각막염
주로 각막 중앙부에 회황색의 원형침윤이 나타나며 통증은 없다.
흔히 전박축농을 동반함, 표면 궤양은 궤양에서 좀 떨어진 곳에 침윤 병변이 나타나는 위성병변을 갖는다.
3) 바이러스성 각막염
원인 : 단순 포진성 바이러스
각막 궤양은 나뭇가지 모양의 궤양을 보인다.
3. 백내장 : 수정체가 하얗게 보인다.
증상 : 시력감퇴, 단안복시, 수정체성 근시
진단 : 동공을 산대한후 수정체의 혼탁 정도를 확인한다.
4. 녹내장 : 동통이 심하다
정상 안압은 10-21mmHg이며, 이보다 안압이 높아서 시기능障碍를 초래하는 것을 말함.
후안부疾患
1. 망막중심동맥폐쇠
증상: 급격한 시력障碍. 망막 동맥은 매우 가늘어지며 망막은 창백하고 혼탁해 보이고 중심와는 적갈색의 점으로 보인다. 󰠏󰠏󰋼 응급조치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