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14일 월요일

동의보감 외형편 눈 풍기와편 도첩권모

風起喎偏
풍기와편
○ 偏風牽引 雙目喎斜 淚出頻頻 却無瞖膜 不痒不痛 宜消風散 方見頭部 荊芥湯調下, 或蟬花無比散(得效).
풍기와편은 편풍이 견인하여 양쪽 눈이 와사가 되고, 눈물이 빈번히 나고 다시 예막이 없고, 소양감이 없고, 동통이 없으니 처방이 두부와 兩瞼粘睛 소풍산이 의당하니, 형개탕으로 조절하거나 혹은 선화무비산이다.(세의득효방)
○ 眼偏視者 風邪攻肝 牽引瞳人 故令偏視 宜服槐子丸(類聚).
눈이 치우쳐 보면 풍사가 간을 공격하고 눈동자를 견인하므로 편시가 되니 괴자환을 복용함이 의당하다.(의방유취)
【蟬花無比散】
治風眼 氣眼 昏淚痒瞖 或頭風牽引 眼小胞爛
蒼朮童尿浸二宿切晒乾 白芍藥各40g 白蒺藜炒32g 白茯苓16g 石決明製 當歸 防風 羌活各12g 蟬殼 甘草各8g 蛇脫 皂角水洗焙荊芥 細辛各4g, 爲末 每8g茶淸 或米泔 調下 食後(得效).
【槐子丸】
治風邪牽引瞳人 令眼偏視
槐實80g 覆盆子 酸棗仁炒 栢子仁 車前子 蔓荊子 茺蔚子 鼠粘子 白蒺藜炒40g
爲末 每8g 茶淸 或米泔調下 食後(得效).
倒睫拳毛
도첩권모
○ 淚出涓涓 瞖膜漸生 眼皮漸急 倒睫難開 瞳人如刺樣痛.
연연
涓(시내, 수량이 적은 물이 흐르는 모양, 물방울, 미소한 것의 비유 연; 水-총10획; juān)
도첩권모 눈물이 흐르고 예막이 점차 생성하고 눈꺼풀이 점차 급하여 거꾸로 간 속눈썹으로 눈 뜨기 어렵고 눈동자가 가시로 찌르는 모양으로 아프다.
此脾受風熱, 先服瀉肝散方見上 後服五退散 方見上 (得效).
이 도첩권모는 비가 풍열사를 받음이니 먼저 처방이 앞의 肝虛目暗에 나타난 사간산을 복용하고 뒤에 처방이 위의 內障에 나타난 오퇴산을 복용한다.(세의득효방)
○ 神效明目湯 明目細辛湯(東垣).
도첩권모탕은 신효명목탕과 명목세신탕이다.(이동원)
○ 倒睫拳毛 卽眼睫毛倒 入眼中央是也(綱目).
도첩권모는 곧 안첩의 눈썹이 거꾸로 눈의 중앙이 들어간 것이다.(의학강목)
○ 眼楞緊急縮少者 倒睫拳毛之漸也.
눈 모서리가 긴급하고 축소하여 적은 것은 도첩권모가 점차 생김이다.
盖陽虛 則眼楞緊急 陰虛 則瞳子散大(綱目).
대개 양하면 눈 모서리가 긴급하고 음허이면 눈동자가 산대한다.(의학강목)
○ 倒睫拳毛 由目緊急皮縮之所致也.
도첩권모는 눈이 긴급하고 눈껍질이 수축함에 유래한다.
盖內伏熱攻陰氣外行 當去其內熱 幷火邪
내부에 잠복한 열이 공격하여 음기가 외부로 행하므로 응당 그 내열과 화사를 제거해야 한다.
使眼皮緩則毛立出 瞖自退.
눈꺼풀을 느슨하게 하면 속눈썹이 곧 나오며 눈가림도 스스로 물러난다.
用手法 攀出內瞼向外 刺以三稜鍼出熱血 以左爪甲 迎住針鋒立愈(綱目).
攀(더위잡을, 매달리다, 달라붙다, 의지하다 반; 手-총19획; pān)
손을 사용한 방법은 내안검을 잡아 내서 밖을 향하게 하고 삼릉침으로써 열혈을 나오게 하고 좌측은 조갑으로 사하여 침봉을 머무르게 하면 곧 낫는다.(의학강목)
○ 治法 無名異(石藥也) 爲末 糝捲在紙中 作撚子 點火 吹殺以烟熏之 其毛自起.
치료법은 무명이(광물약)을 가루내어 말아서 스며들게 하여 종이 속에 심지를 만들어 점화하여 불어 감쇄케 하여 연기로 훈증하면 속눈썹이 스스로 일어난다.
又 摘去捲毛 用虱子血 點入眼內 數次 卽愈(綱目).
또한 따서 도첩권모를 제거함에 이 서캐 혈을 사용하여 눈 안에 점안해 넣길 수차례 하면 곧 낫는다.(의학강목)
○ 又法 木鱉子一箇去殼 擣爛綿裹 塞鼻中 左目塞右 右目塞左 一二夜 其睫自正(正傳).
도첩권모의 또한 방법은 껍질을 제거한 목별자 한개를 찧어 문드러지게 하여 솜으로 싸서 코 속을 막길, 좌측 눈은 오른쪽을 막고, 오른쪽 눈은 좌측을 막길 하루나 이틀 밤까지 하면 그 속눈썹이 스스로 바르러진다.(의학정전)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