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8월 16일 월요일

프로이드의 안면홍조증 이론과 이미지한의원의 치료

프로이드의 안면홍조증 이론과 이미지한의원의 치료






억제, 증후, 그리고 불안(1926)에서 프로이드는 얼굴 붉힘이 억제된 성적 흥분, 자기 과시욕, 거세에 대한 두려움의 표정 등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반응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이 자신의 성욕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우회적 방법의 하나라는 것이다. 프로이드는 얼굴 붉힘이야말로 내적인 무의식의 힘이 이드(개인의 무의식적 본능과 충동)와 초자아(양심과 도덕에 의해 반응하는 의식)사이에서 갈등하는 것이 전형적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했다.



정신과 의사인 캐롤 리버만이란 프로이드 심리학자는 이런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성적 욕구가 충족되는 것은 매우 난처하다. 한 여인이 놀이공원에서 통 기구를 건너고 있을 때 스커트가 펄렁이며 들어 올려진다. 이 때 그녀는 얼굴을 붉힌다. 그녀가 얼굴을 붉히는 것은 그녀의 몸이 노출되어서만이 아니라 자신을 노출하고 싶다는 내적 욕망이 동시에 있기 때문이다.”



유욕의 정신과 의사 시드니 펠드먼 박사는 이것을 더 간략하게 설명한다. “남성들이 얼굴을 붉히는 것은 거세되었다는 느낌 때문이고, 여성이 얼굴을 붉히는 것은 자신들이 남자가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라고 했다.



한의학에서는 성적인 욕망을 상화라고 하여 본래의 마음인 심장에 존재하는 군화와 다르다고 말을 했다. 금오 김홍경 선생은 상화는 인신소양상화이며 권력의 의지나, 성욕, 지배욕등 우리의 욕망을 포괄한다고 말했다. 주단계와 같은 성리학을 배운 유학자(중국의 의사)들은 욕망을 경계하여 우리 몸의 화는 2개가 있어서 양(열기) 넘치고 음(체액, 진액)이이 부족하여 항상 양상유여 음상부족이라고 하는 열이 넘치고 음이 항상 부족하므로 음을 보충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요즘에는 화나게 하는 정보나, 온갖 성적인 자극, 돈을 벌게 몸을 달게 하는 투기등이 넘쳐나고 있다. 이런 것들은 거품과 같이 그림자와 같이 보고 욕망을 경계해야 한다.



또한 온갖 노력에도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이미지 한의원에서 한약과 뜸, 심리 교정요법, 특수침등을 받아서 치료하도록 하자.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