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26일 일요일

토끼와 언청이 구순구개열 흉터 치료

토끼와 언청이 구순구개열 흉터 치료






○兎爲食品之上味兎竅有六七穴子從口出故姙娠忌食者非爲缺脣亦緣口出(本草)



토끼는 식품으로 최상인 맛인데, 토끼는 구멍이 6 - 7개가 있어 입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임신부는 먹지 먹지 말아야 하는 데, 이는 결순(缺脣 입술이 정교하지 않음: 언청이)가 되지 않으면 입으로 나오기 때문이다라고 한의학 서적에 씌여 있다. 하지만 토끼고기를 먹으면 언청이가 된다는 말은 속설이며 토끼고기가 임신시에 난산(難産) 및 포의(胞衣 태반)이 나오지 않고, 산후(産後)의 나쁜 피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음을 치료하기 때문에 유산의 염려가 있어서 먹지 않게 한 것 같다. 하지만 그냥 유산하기 어렵다고 하면 주의하지 않기 때문에 토끼를 언청이(rabbit-mouth)로 겁을 주어서 먹지 못하게 한 것이다.



언청이는 의학용어로 구순구개열 (cleft lip and cleft palate)이라고 하며 다른이름으로는 입술갈림증, 입천장갈림증, 입술입천장갈림증, harelip이라고도 한다.



구순구개열은 원인이 불명이며 입술, 잇몸, 입천장이 좌, 우 또는 양쪽으로 갈라져 있으며, 그 정도는 완전히 갈라져 있는 완전형과 부분적으로 갈라서 있는 부분형이 있다. 구순구개열은 초음파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며 생후 3개월부터 수술치료가 가능한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다. 구순구개열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된 이후로 개발도상국 아이들을 데려와서 수술을 하는 등 쉽게 치료가 가능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의학이 발전하고 수술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수술을 여러번 해야 할 수 있고, 수술뒤에 흉터가 남아 있을 수 있는 염려가 있다.



구순구개열은 미관상으로도 문제가 되지만 관상학적으로는 인중이나 입술은 자식이나 말년운과 상관이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한의학적으로는 구순구개열 수술 이후에 흉터 치료를 권유한다. 물론 입천장까지 갈라진 구순구개열은 성형외과 치료가 적당하지만 그 이후 흉터는 진피에 생기는 질환이며 의학적으로 반흔이라고 하며 침 치료 이후에 콜라겐이 증식하여 흉터가 많이 개선된다. 하지만 부위에 따라 침 종류가 다르므로 꼭 한방 피부과 전문의에게 시술받도록 한다.



예전에는 구순구개열이 외모의 문제 때문에 불편함이 많았지만 현재는 많이 수술후에 정상 생활이 가능한 것처럼 그 흉터도 침으로 시술이 가능하며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많이 개선되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