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9일 목요일

이미지한의원에서는 침치료로 간이식 흉터가 없게 해드립니다

이미지한의원에서는 침치료로 간이식 흉터가 없게 해드립니다.






간 이식 수술에서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였던 `큰 흉터부위'의 문제를 국내 의료진이 처음으로 해결해냈다. 복강경 수술법으로 간 제공자의 절개부위를 기존 50㎝에서 12㎝로 줄인 것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한호성 교수팀(윤유석ㆍ조재영)은 지난달 16일 간경화와 간암으로 투병 중인 아버지 박모(53)씨에게 간을 기증키로 한 아들(22)의 우측 간(간 우엽)을 복강경으로 절제해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수술이 주목받는 것은 지금까지 간이식 공여자의 간을 절개하는 과정에서 수술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복강경 등으로 수술하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는 그만큼 복강경을 이용해 간을 온전히 잘라내는 게 어렵다는 반증인 셈이다. 한 교수팀은 공여자에게서 떼어내야 할 우측 간 주변 5곳에 만든 작은 구멍을 만들고, 이들 구멍을 통해 복강경을 넣어 간을 절제한 후 복부의 가장 아래쪽으로 마치 제왕절개 수술을 하듯이 12㎝ 정도의 절개부위를 통해 간을 복부 밖으로 빼냈다. 때문에 간을 빼내려고 잘라 낸 상처는 속옷에 완전히 가리게 돼 외관상 수술의 상처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현재 공여자인 아들은 수술 후 합병증 없이 건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수혜자인 아버지도 순조롭게 회복해 지난 1일 퇴원했다.



의료진은 국내에서 이뤄지는 생체 간이식이 연간 1천건에 달하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수술 성공으로 생체 간이식 수술이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호성 교수는 "건강한 성인의 간을 떼어내는 수술은 혈관과 담도 등의 손상 없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간암 환자에게 시행하는 복강경 수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고난도에 해당한다"면서 "수술 후 통증이 거의 없어 빠른 시일 내에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점도 이 수술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서양의학은 침을 모르기 때문에 흉터를 재생시킬 수 없고 최소침습이라고 하는 복강경등으로 치료하는 것이 현재까지 최선의 흉터 예방법이다. 하지만 복강경등도 흉터를 남기게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완벽한 흉터 예방 및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미지한의원에서는 갑상선암, 교통사고흉터, 화상흉터 등 모든 흉터를 침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의학은 날로 최첨단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것같지만 5천년 역사를 가진 고대인의 지혜를 빌려 치료하는 침 치료가 어쩌면 최선의 흉터 치료일 수 있느 것이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