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9일 목요일

생강, 여우, 액취증(호취) 흉터와 이미지한의원의 침치료

생강, 액취증 흉터와 이미지한의원의 침치료






한의학에서는 여우가 들어간 질병이 있는데 예를 들어 베체트 병을 호혹병이라고 하여 여우란 이름이 들어간다. 여우는 의심이 많은 동물로 그 이름이 들어가면 잘 낫지 않는 질병을 의미하기도 한다.



의학적으로 액취증은 아포크린 땀샘이 잘못되는 질병이며 한의학이름은 여우 호(狐)가 나오는 호취이다. 다한증과 함께 겨드랑이를 치료하기도 한다. 필자가 최근 번역하고 있는 본초구진이란 청나라 한약이 나온 책을 보니 생강의 효과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狐臭可療(액취증도 생강이 치료할 수 있다.) 薑汁頻擦, 力能祛寒辟穢(생강즙을 자주 문지르면 힘이 한기를 제거하며 더러움을 피할 수 있다고 했다.)라고 나와 있다.



하지만 액취증은 보통 민간요법으로 치료가 쉽지 않고 생강으로 문지르면 생강냄새가 나며 매운 맛이 피부에 자극이 받기 때문에 치료가 쉽지 않다. 쉽게 액취증을 유발하는 땀샘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 요즘에는 상체를 많이 노출하여 여름에는 보통 나시티를 입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액취증 수술 때문에 흉터가 노출되면 겨드랑이털 노출보다 창피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미 액취증 수술을 받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액취증 흉터는 사실 감추어진 부위라 눈에 띠지 않지만 수술흉터를 감추어야 한다. 이미지한의원에서는 액취증 흉터도 또한 침으로 치료한다. 침으로 치료하는것에 대해서 의아해 할 수 있는데 이미지한의원의 침은 수술흉터 뿐만 아니라 화상흉터, 사고흉터등도 치료할 수 있다. 수술흉터 치료는 믿을만한 한방 피부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한의원에서 치료해야 한다. 침으로 진피의 흉터를 만드는 콜라겐을 끊으며 다시 배열하게 하므로 겨드랑이 액취증 흉터 걱정은 이제 그만 했으면 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