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BC
THE DOCTRINE OF THE MEAN
Confucius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Nature; an accordance with
this nature is called The Path of duty; the regulation of this path is
called Instruction.
The path may not be left for an instant. If it could be left, it
would not be the path. On this account, the superior man does not wait
till he sees things, to be cautious, nor till he hears things, to be
apprehensive.
There is nothing more visible than what is secret, and nothing
more manifest than what is minute. Therefore the superior man is
watchful over himself, when he is alone.
While there are no stirr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or joy, the
mind may be said to be in the state of Equilibrium. When those
feelings have been stirred, and they act in their due degree, there
ensues what may be called the state of Harmony. This Equilibrium is
the great root from which grow all the human actings in the world, and
this Harmony is the universal path which they all should pursue.
Let the states of equilibrium and harmony exist in perfection, and a
happy order will prevail throughout heaven and earth, and all things
will be nourished and flourish.
Chung-ni said, "The superior man embodies the course of the Mean;
the mean man acts contrary to the course of the Mean.
"The superior man's embodying the course of the Mean is because he
is a superior man, and so always maintains the Mean. The mean man's
acting contrary to the course of the Mean is because he is a mean man,
and has no caution."
The Master said, "Perfect is the virtue which is according to the
Mean! Rare have they long been among the people, who could practice
it!
The Master said, "I know how it is that the path of the Mean is
not walked in:-The knowing go beyond it, and the stupid do not come up
to it. I know how it is that the path of the Mean is not
understood:-The men of talents and virtue go beyond it, and the
worthless do not come up to it.
"There is no body but eats and drinks. But they are few who can
distinguish flavors."
The Master said, "Alas! How is the path of the Mean untrodden!"
The Master said, "There was Shun:-He indeed was greatly wise! Shun
loved to question others, and to study their words, though they
might be shallow. He concealed what was bad in them and displayed what
was good. He took hold of their two extremes, determined the Mean, and
employed it in his government of the people. It was by this that he
was Shun!"
The Master said "Men all say, 'We are wise'; but being driven
forward and taken in a net, a trap, or a pitfall, they know not how to
escape. Men all say, 'We are wise'; but happening to choose the course
of the Mean, they are not able to keep it for a round month."
The Master said "This was the manner of Hui:-he made choice of the
Mean, and whenever he got hold of what was good, he clasped it firmly,
as if wearing it on his breast, and did not lose it."
The Master said, "The kingdom, its states, and its families, may
be perfectly ruled; dignities and emoluments may be declined; naked
weapons may be trampled under the feet; but the course of the Mean
cannot be attained to."
Tsze-lu asked about energy.
The Master said, "Do you mean the energy of the South, the energy of
the North, or the energy which you should cultivate yourself?
"To show forbearance and gentleness in teaching others; and not to
revenge unreasonable conduct:-this is the energy of southern
regions, and the good man makes it his study.
"To lie under arms; and meet death without regret:-this is the
energy of northern regions, and the forceful make it their study.
"Therefore, the superior man cultivates a friendly harmony,
without being weak.-How firm is he in his energy! He stands erect in
the middle, without inclining to either side.-How firm is he in his
energy! When good principles prevail in the government of his country,
he does not change from what he was in retirement. How firm is he in
his energy! When bad principles prevail in the country, he maintains
his course to death without changing.-How firm is he in his energy!"
The Master said, "To live in obscurity, and yet practice wonders, in
order to be mentioned with honor in future ages:-this is what I do not
do.
"The good man tries to proceed according to the right path, but when
he has gone halfway, he abandons it:-I am not able so to stop.
"The superior man accords with the course of the Mean. Though he may
be all unknown, unregarded by the world, he feels no regret.-It is
only the sage who is able for this."
The way which the superior man pursues, reaches wide and far, and
yet is secret.
Common men and women, however ignorant, may intermeddle with the
knowledge of it; yet in its utmost reaches, there is that which even
the sage does not know. Common men and women, however much below the
ordinary standard of character, can carry it into practice; yet in its
utmost reaches, there is that which even the sage is not able to carry
into practice. Great as heaven and earth are, men still find some
things in them with which to be dissatisfied. Thus it is that, were
the superior man to speak of his way in all its greatness, nothing
in the world would be found able to embrace it, and were he to speak
of it in its minuteness, nothing in the world would be found able to
split it.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The hawk flies up to heaven;
the fishes leap in the deep." This expresses how this way is seen
above and below.
The way of the superior man may be found, in its simple elements, in
the intercourse of common men and women; but in its utmost reaches, it
shines brightly through Heaven and earth.
The Master said "The path is not far from man. When men try to
pursue a course, which is far from the common indications of
consciousness, this course cannot be considered The Path.
"In the Book of Poetry, it is said, 'In hewing an ax handle, in
hewing an ax handle, the pattern is not far off. We grasp one ax
handle to hew the other; and yet, if we look askance from the one to
the other, we may consider them as apart. Therefore, the superior
man governs men, according to their nature, with what is proper to
them, and as soon as they change what is wrong, he stops.
"When one cultivates to the utmost the principles of his nature, and
exercises them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he is not far from the
path. What you do not like when done to yourself, do not do to others.
"In the way of the superior man there are four things, to not one of
which have I as yet attained.-To serve my father, as I would require
my son to serve me: to this I have not attained; to serve my prince as
I would require my minister to serve me: to this I have not
attained; to serve my elder brother as I would require my younger
brother to serve me: to this I have not attained; to set the example
in behaving to a friend, as I would require him to behave to me: to
this I have not attained. Earnest in practicing the ordinary
virtues, and careful in speaking about them, if, in his practice, he
has anything defective, the superior man dares not but exert
himself; and if, in his words, he has any excess, he dares not allow
himself such license. Thus his words have respect to his actions,
and his actions have respect to his words; is it not just an entire
sincerity which marks the superior man?"
The superior man does what is proper to the station in which he
is; he does not desire to go beyond this.
In a position of wealth and honor, he does what is proper to a
position of wealth and honor. In a poor and low position, he does what
is proper to a poor and low position. Situated among barbarous tribes,
he does what is proper to a situation among barbarous tribes. In a
position of sorrow and difficulty, he does what is proper to a
position of sorrow and difficulty. The superior man can find himself
in no situation in which he is not himself.
In a high situation, he does not treat with contempt his
inferiors. In a low situation, he does not court the favor of his
superiors. He rectifies himself, and seeks for nothing from others, so
that he has no dissatisfactions. He does not murmur against Heaven,
nor grumble against men.
Thus it is that the superior man is quiet and calm, waiting for
the appointments of Heaven, while the mean man walks in dangerous
paths, looking for lucky occurrences.
The Master said, "In archery we have something like the way of the
superior man. When the archer misses the center of the target, he
turns round and seeks for the cause of his failure in himself."
The way of the superior man may be compared to what takes place in
traveling, when to go to a distance we must first traverse the space
that is near, and in ascending a height, when we must begin from the
lower ground.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Happy union with wife and
children is like the music of lutes and harps. When there is concord
among brethren, the harmony is delightful and enduring. Thus may you
regulate your family, and enjoy the pleasure of your wife and
children."
The Master said, "In such a state of things, parents have entire
complacence!"
The Master said, "How abundantly do spiritual beings display the
powers that belong to them!
"We look for them, but do not see them; we listen to, but do not
hear them; yet they enter into all things, and there is nothing
without them.
"They cause all the people in the kingdom to fast and purify
themselves, and array themselves in their richest dresses, in order to
attend at their sacrifices. Then, like overflowing water, they seem to
be over the heads, and on the right and left of their worshippers.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The approaches of the spirits,
you cannot sunrise; and can you treat them with indifference?'
"Such is the manifestness of what is minute! Such is the
impossibility of repressing the outgoings of sincerity!"
The Master said, "How greatly filial was Shun! His virtue was that
of a sage; his dignity was the throne; his riches were all within
the four seas. He offered his sacrifices in his ancestral temple,
and his descendants preserved the sacrifices to himself.
"Therefore having such great virtue, it could not but be that he
should obtain the throne, that he should obtain those riches, that
he should obtain his fame, that he should attain to his long life.
"Thus it is that Heaven, in the production of things, is sure to
be bountiful to them, according to their qualities. Hence the tree
that is flourishing, it nourishes, while that which is ready to
fall, it overthrows.
"In the Book of Poetry, it is said, 'The admirable amiable prince
displayed conspicuously his excelling virtue, adjusting his people,
and adjusting his officers. Therefore, he received from Heaven his
emoluments of dignity. It protected him, assisted him, decreed him the
throne; sending from Heaven these favors, as it were repeatedly.'
"We may say therefore that he who is greatly virtuous will be sure
to receive the appointment of Heaven."
The Master said, "It is only King Wan of whom it can be said that he
had no cause for grief! His father was King Chi, and his son was
King Wu. His father laid the foundations of his dignity, and his son
transmitted it.
"King Wu continued the enterprise of King T'ai, King Chi, and King
Wan. He once buckled on his armor, and got possession of the
kingdom. He did not lose the distinguished personal reputation which
he had throughout the kingdom. His dignity was the royal throne. His
riches were the possession of all within the four seas. He offered his
sacrifices in his ancestral temple, and his descendants maintained the
sacrifices to himself.
"It was in his old age that King Wu received the appointment to
the throne, and the duke of Chau completed the virtuous course of
Wan and Wu. He carried up the title of king to T'ai and Chi, and
sacrificed to all the former dukes above them with the royal
ceremonies. And this rule he extended to the princes of the kingdom,
the great officers, the scholars, and the common people. If the father
were a great officer and the son a scholar, then the burial was that
due to a great officer, and the sacrifice that due to a scholar. If
the father were a scholar and the son a great officer, then the burial
was that due to a scholar, and the sacrifice that due to a great
officer. The one year's mourning was made to extend only to the
great officers, but the three years' mourning extended to the Son of
Heaven. In the mourning for a father or mother, he all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noble and the mean.
The Master said, "How far-extending was the filial piety of King
Wu and the duke of Chau!
"Now filial piety is seen in the skillful carrying out of the wishes
of our forefathers, and the skillful carrying forward of their
undertakings.
"In spring and autumn, they repaired and beautified the temple halls
of their fathers, set forth their ancestral vessels, displayed their
various robes, and presented the offerings of the several seasons.
"By means of the ceremonies of the ancestral temple, they
distinguished the royal kindred according to their order of descent.
By ordering the parties present according to their rank, they
distinguished the more noble and the less. By the arrangement of the
services, they made a distinction of talents and worth. In the
ceremony of general pledging, the inferiors presented the cup to their
superiors, and thus something was given the lowest to do. At the
concluding feast, places were given according to the hair, and thus
was made the distinction of years.
"They occupied the places of their forefathers, practiced their
ceremonies, and performed their music. They reverenced those whom they
honored, and loved those whom they regarded with affection. Thus
they served the dead as they would have served them alive; they served
the departed as they would have served them had they been continued
among them.
"By the ceremonies of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they served
God, and by the ceremonies of the ancestral temple they sacrificed
to their ancestors. He who understands the ceremonies of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and the meaning of the several
sacrifices to ancestors, would find the government of a kingdom as
easy as to look into his palm!"
The Duke Ai asked about government.
The Master said, "The government of Wan and Wu is displayed in the
records,-the tablets of wood and bamboo. Let there be the men and
the government will flourish; but without the men, their government
decays and ceases.
"With the right men the growth of government is rapid, just as
vegetation is rapid in the earth; and, moreover, their government
might be called an easily-growing rush.
"Therefore the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lies in getting proper
men. Such men are to be got by means of the ruler's own character.
That character is to be cultivated by his treading in the ways of
duty. And the treading those ways of duty is to be cultivated by the
cherishing of benevolence.
"Benevolence is the characteristic element of humanity, and the
great exercise of it is in loving relatives. Righteousness is the
accordance of actions with what is right, and the great exercise of it
is in honoring the worthy. The decreasing measures of the love due
to relatives, and the steps in the honor due to the worthy, are
produced by the principle of propriety.
"When those in inferior situations do not possess the confidence
of their superiors, they cannot retain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Hence the sovereign may not neglect the cultivation of his own
character. Wishing to cultivate his character, he may not neglect to
serve his parents. In order to serve his parents, he may not neglect
to acquire knowledge of men. In order to know men, he may not dispense
with a knowledge of Heaven.
"The duties of universal obligation are five and the virtues
wherewith they are practiced are three. The duties are those between
sovereign and minister, between father and son, between husband and
wife, between elder brother and younger, and those belonging to the
intercourse of friends. Those five are the duties of universal
obligation. Knowledge, magnanimity, and energy, these three, are the
virtues universally binding. And the means by which they carry the
duties into practice is singleness.
"Some are born with the knowledge of those duties; some know them by
study; and some acquire the knowledge after a painful feeling of their
ignorance. But the knowledge being possessed, it comes to the same
thing. Some practice them with a natural ease; some from a desire
for their advantages; and some by strenuous effort. But the
achievement being made, it comes to the same thing."
The Master said, "To be fond of learning is to be near to knowledge.
To practice with vigor is to be near to magnanimity. To possess the
feeling of shame is to be near to energy.
"He who knows these three things knows how to cultivate his own
character. Knowing how to cultivate his own character, he knows how to
govern other men. Knowing how to govern other men, he knows how to
govern the kingdom with all its states and families.
"All who have the government of the kingdom with its states and
families have nine standard rules to follow;-viz., the cultivation
of their own characters; the honoring of men of virtue and talents;
affection towards their relatives; respect towards the great
ministers; kind and considerate treatment of the whole body of
officers; dealing with the mass of the people as children; encouraging
the resort of all classes of artisans; indulgent treatment of men from
a distance; and the kindly cherishing of the princes of the states.
"By the ruler's cultivation of his own character, the duties of
universal obligation are set forth. By honoring men of virtue and
talents, he is preserved from errors of judgment. By showing affection
to his relatives, there is no grumbling nor resentment among his
uncles and brethren. By respecting the great ministers, he is kept
from errors in the practice of government. By kind and considerate
treatment of the whole body of officers, they are led to make the most
grateful return for his courtesies. By dealing with the mass of the
people as his children, they are led to exhort one another to what
is good. By encouraging the resort of an classes of artisans, his
resources for expenditure are rendered ample. By indulgent treatment
of men from a distance, they are brought to resort to him from all
quarters. And by kindly cherishing the princes of the states, the
whole kingdom is brought to revere him.
"Self-adjustment and purification, with careful regulation of his
dress, and the not making a movement contrary to the rules of
propriety this is the way for a ruler to cultivate his person.
Discarding slanderers, and keeping himself from the seductions of
beauty; making light of riches, and giving honor to virtue-this is the
way for him to encourage men of worth and talents. Giving them
places of honor and large emolument. and sharing with them in their
likes and dislikes-this is the way for him to encourage his
relatives to love him. Giving them numerous officers to discharge
their orders and commissions:-this is the way for him to encourage the
great ministers. According to them a generous confidence, and making
their emoluments large:-this is the way to encourage the body of
officers. Employing them only at the proper times, and making the
imposts light:-this is the way to encourage the people. By daily
examinations and monthly trials, and by making their 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labors:-this is the way to encourage the classes
of artisans. To escort them on their departure and meet them on
their coming; to commend the good among them, and show compassion to
the incompetent:-this is the way to treat indulgently men from a
distance. To restore families whose line of succession has been
broken, and to revive states that have been extinguished; to reduce to
order states that are in confusion, and support those which are in
peril; to have fixed times for their own reception at court, and the
reception of their envoys; to send them away after liberal
treatment, and welcome their coming with small contributions:-this
is the way to cherish the princes of the states.
"All who have the government of the kingdom with its states and
families have the above nine standard rules. And the means by which
they are carried into practice is singleness.
"In all things success depends on previous preparation, and
without such previous preparation there is sure to be failure. If what
is to be spoken be previously determined, there will be no
stumbling. If affairs be previously determined, there will be no
difficulty with them. If one's actions have been previously
determined, there will be no sorrow in connection with them. If
principles of conduct have been previously determined, the practice of
them will be inexhaustible.
"When those in inferior situations do not obtain the confidence of
the sovereign, they cannot succeed in governing the people. There is a
way to obtain the confidence of the sovereign;-if one is not trusted
by his friends, he will not get the confidence of his sovereign. There
is a way to being trusted by one's friends;-if one is not obedient
to his parents, he will not be true to friends. There is a way to
being obedient to one's parents;-if one, on turning his thoughts in
upon himself, finds a want of sincerity, he will not be obedient to
his parents. There is a way to the attainment of sincerity in one's
self; -if a man do not understand what is good, he will not attain
sincerity in himself.
"Sincerity is the way of Heaven. The attainment of sincerity is
the way of men. He who possesses sincerity is he who, without an
effort, hits what is right, and apprehends, without the exercise of
thought;-he is the sage who naturally and easily embodies the right
way. He who attains to sincerity is he who chooses what is good, and
firmly holds it fast.
"To this attainment there are requisite the extensive study of
what is good, accurate inquiry about it, careful reflection on it, the
clear discrimination of it, and the earnest practice of it.
"The superior man, while there is anything he has not studied, or
while in what he has studied there is anything he cannot understand,
Will not intermit his labor. While there is anything he has not
inquired about, or anything in what he has inquired about which he
does not know, he will not intermit his labor. While there is anything
which he has not reflected on, or anything in what he has reflected on
which he does not apprehend, he will not intermit his labor. While
there is anything which he has not discriminated or his discrimination
is not clear, he will not intermit his labor. If there be anything
which he has not practiced, or his practice fails in earnestness, he
will not intermit his labor. If another man succeed by one effort,
he will use a hundred efforts. If another man succeed by ten
efforts, he will use a thousand.
"Let a man proceed in this way, and, though dull, he will surely
become intelligent; though weak, he will surely become strong."
When we have intelligence resulting from sincerity, this condition
is to be ascribed to nature; when we have sincerity resulting from
intelligence, this condition is to be ascribed to instruction. But
given the sincerity, and there shall be the intelligence; given the
intelligence, and there shall be the sincerity.
It is only he who is possessed of the most complete sincerity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can give its fun development to his
nature. Able to give its full development to his own nature, he can do
the same to the nature of other men. Able to give its full development
to the nature of other men, he can give their full development to
the natures of animals and things. Able to give their full development
to the natures of creatures and things, he can assist the transforming
and nourishing powers of Heaven and Earth. Able to assist the
transforming and nourishing powers of Heaven and Earth, he may with
Heaven and Earth form a ternion.
Next to the above is he who cultivates to the utmost the shoots of
goodness in him. From those he can attain to the possession of
sincerity. This sincerity becomes apparent. From being apparent, it
becomes manifest. From being manifest, it becomes brilliant.
Brilliant, it affects others. Affecting others, they are changed by
it. Changed by it, they are transformed. It is only he who is
possessed of the most complete sincerity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can transform.
It is characteristic of the most entire sincerity to be able to
foreknow. When a nation or family is about to flourish, there are sure
to be happy omens; and when it is about to perish, there are sure to
be unlucky omens. Such events are seen in the milfoil and tortoise,
and affect the movements of the four limbs. When calamity or happiness
is about to come, the good shall certainly be foreknown by him, and
the evil also. Therefore the individual possessed of the most complete
sincerity is like a spirit.
Sincerity is that whereby self-completion is effected, and its way
is that by which man must direct himself.
Sincerity is the end and beginning of things; without sincerity
there would be nothing. On this account, the superior man regards
the attainment of sincerity as the most excellent thing.
The possessor of sincerity does not merely accomplish the
self-completion of himself. With this quality he completes other men
and things also. The completing himself shows his perfect virtue.
The completing other men and things shows his knowledge. But these are
virtues belonging to the nature, and this is the way by which a
union is effected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Therefore, whenever
he-the entirely sincere man-employs them,-that is, these virtues,
their action will be right.
Hence to entire sincerity there belongs ceaselessness.
Not ceasing, it continues long. Continuing long, it evidences
itself.
Evidencing itself, it reaches far. Reaching far, it becomes large
and substantial. Large and substantial, it becomes high and brilliant.
Large and substantial;-this is how it contains all things. High
and brilliant;-this is how it overspreads all things. Reaching far and
continuing long;-this is how it perfects all things.
So large and substantial, the individual possessing it is the
co-equal of Earth. So high and brilliant, it makes him the co-equal of
Heaven. So far-reaching and long-continuing, it makes him infinite.
Such being its nature, without any display, it becomes manifested;
without any movement, it produces changes; and without any effort,
it accomplishes its ends.
The way of Heaven and Earth may be completely declared in one
sentence.-They are without any doubleness, and so they produce
things in a manner that is unfathomable.
The way of Heaven and Earth is large and substantial, high and
brilliant, far-reaching and long-enduring.
The Heaven now before us is only this bright shining spot; but
when viewed in its inexhaustible extent, the sun, moon, stars, and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are suspended in it, and all things
are overspread by it. The earth before us is but a handful of soil;
but when regarded in its breadth and thickness, it sustains
mountains like the Hwa and the Yo, without feeling their weight, and
contains the rivers and seas, without their leaking away. The mountain
now before us appears only a stone; but when contemplated in all the
vastness of its size, we see how the grass and trees are produced on
it, and birds and beasts dwell on it, and precious things which men
treasure up are found on it. The water now before us appears but a
ladleful; yet extending our view to its unfathomable depths, the
largest tortoises, iguanas, iguanodons, dragons, fishes, and
turtles, are produced in it, articles of value and sources of wealth
abound in it.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The ordinances of Heaven, how
profound are they and unceasing!" The meaning is, that it is thus that
Heaven is Heaven. And again, "How illustrious was it, the singleness
of the virtue of King Wan!" indicating that it was thus that King
Wan was what he was. Singleness likewise is unceasing.
How great is the path proper to the Sage!
Like overflowing water, it sends forth and nourishes all things, and
rises up to the height of heaven.
All-complete is its greatness! It embraces the three hundred rules
of ceremony, and the three thousand rules of demeanor.
It waits for the proper man, and then it is trodden.
Hence it is said, "Only by perfect virtue can the perfect path, in
all its courses, be made a fact."
Therefore, the superior man honors his virtuous nature, and
maintains constant inquiry and study, seeking to carry it out to its
breadth and greatness, so as to omit none of the more exquisite and
minute points which it embraces, and to raise it to its greatest
height and brilliancy, so as to pursue the course of the Mean. He
cherishes his old knowledge, and is continually acquiring new. He
exerts an honest, generous earnestness, in the esteem and practice
of all propriety.
Thus, when occupying a high situation he is not proud, and in a
low situation he is not insubordinate. When the kingdom is well
governed, he is sure by his words to rise; and when it is ill
governed, he is sure by his silence to command forbearance to himself.
Is not this what we find in the Book of Poetry,-"Intelligent is he and
prudent, and so preserves his person?"
The Master said, Let a man who is ignorant be fond of using his
own judgment; let a man without rank be fond of assuming a directing
power to himself; let a man who is living in the present age go back
to the ways of antiquity;-on the persons of all who act thus
calamities will be sure to come.
To no one but the Son of Heaven does it belong to order
ceremonies, to fix the measures, and to determine the written
characters.
Now over the kingdom, carriages have all wheels, of the-same size;
all writing is with the same characters; and for conduct there are the
same rules.
One may occupy the throne, but if he have not the proper virtue,
he may not dare to make ceremonies or music. One may have the
virtue, but if he do not occupy the throne, he may not presume to make
ceremonies or music.
The Master said, "I may describe the ceremonies of the Hsia dynasty,
but Chi cannot sufficiently attest my words. I have learned the
ceremonies of the Yin dynasty, and in Sung they still continue. I have
learned the ceremonies of Chau, which are now used, and I follow
Chau."
He who attains to the sovereignty of the kingdom, having those three
important things, shall be able to effect that there shall be few
errors under his government.
However excellent may have been the regulations of those of former
times, they cannot be attested. Not being attested, they cannot
command credence, and not being credited, the people would not
follow them. However excellent might be the regulations made by one in
an inferior situation, he is not in a position to be honored.
Unhonored, he cannot command credence, and not being credited, the
people would not follow his rules.
Therefore the institutions of the Ruler are rooted in his own
character and conduct, and sufficient attestation of them is given
by the masses of the people. He examines them by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three kings, and finds them without mistake. He sets them up
before Heaven and Earth, and finds nothing in them contrary to their
mode of operation. He presents himself with them before spiritual
beings, and no doubts about them arise. He is prepared to wait for the
rise of a sage a hundred ages after, and has no misgivings.
His presenting himself with his institutions before spiritual
beings, without any doubts arising about them, shows that he knows
Heaven. His being prepared, without any misgivings, to wait for the
rise of a sage a hundred ages after, shows that he knows men.
Such being the case, the movements of such a ruler, illustrating his
institutions, constitute an example to the world for ages. His acts
are for ages a law to the kingdom. His words are for ages a lesson
to the kingdom. Those who are far from him look longingly for him; and
those who are near him are never wearied with him.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Not disliked there, not tired
of here, from day to day and night tonight, will they perpetuate their
praise." Never has there been a ruler, who did not realize this
description, that obtained an early renown throughout the kingdom.
Chung-ni handed down the doctrines of Yao and Shun, as if they had
been his ancestors, and elegantly displayed the regulations of Wan and
Wul taking them as his model. Above, he harmonized with the times of
Heaven, and below, he was conformed to the water and land.
He may be compared to Heaven and Earth in their supporting and
containing, their overshadowing and curtaining, all things. He may
be compared to the four seasons in their alternating progress, and
to the sun and moon in their successive shining.
All things are nourished together without their injuring one
another. The courses of the seasons, and of the sun and moon, are
pursued without any collision among them. The smaller energies are
like river currents; the greater energies are seen in mighty
transformations. It is this which makes heaven and earth so great.
It is only he, possessed of all sagely qualities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shows himself quick in apprehension, clear in
discernment, of far-reaching intelligence, and all-embracing
knowledge, fitted to exercise rule; magnanimous, generous, benign, and
mild, fitted to exercise forbearance; impulsive, energetic, firm,
and enduring, fitted to maintain a firm hold; self-adjusted, grave,
never swerving from the Mean, and correct, fitted to command
reverence; accomplished, distinctive, concentrative, and searching,
fitted to exercise discrimination.
All-embracing is he and vast, deep and active as a fountain, sending
forth in their due season his virtues.
All-embracing and vast, he is like Heaven. Deep and active as a
fountain, he is like the abyss. He is seen, and the people all
reverence him; he speaks, and the people all believe him; he acts, and
the people all are pleased with him.
Therefore his fame overspreads the Middle Kingdom, and extends to
all barbarous tribes. Wherever ships and carriages reach; wherever the
strength of man penetrates; wherever the heavens overshadow and the
earth sustains; wherever the sun and moon shine; wherever frosts and
dews fall:-all who have blood and breath unfeignedly honor and love
him. Hence it is said,-"He is the equal of Heaven."
It is only the individual possessed of the most entire sincerity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can adjust the great invariable
relations of mankind, establish the great fundamental virtues of
humanity, and know the transforming and nurturing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shall this individual have any being or anything beyond
himself on which he depends?
Call him man in his ideal, how earnest is he! Call him an abyss, how
deep is he! Call him Heaven, how vast is he!
Who can know him, but he who is indeed quick in apprehension,
clear in discernment, of far-reaching intelligence, and
all-embracing knowledge, possessing all Heavenly virtue?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Over her embroidered robe she
puts a plain single garment," intimating a dislike to the display of
the elegance of the former. Just so, it is the way of the superior man
to prefer the concealment of his virtue, while it daily becomes more
illustrious, and it is the way of the mean man to seek notoriety,
while he daily goes more and more to ruin. It is characteristic of the
superior man, appearing insipid, yet never to produce satiety; while
showing a simple negligence, yet to have his accomplishments
recognized; while seemingly plain, yet to be discriminating. He
knows how what is distant lies in what is near. He knows where the
wind proceeds from. He knows how what is minute becomes manifested.
Such a one, we may be sure, will enter into virtue.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Although the fish sink and lie at
the bottom, it is still quite clearly seen." Therefore the superior
man examines his heart, that there may be nothing wrong there, and
that he may have no cause for dissatisfaction with himself. That
wherein the superior man cannot be equaled is simply this,-his work
which other men cannot see.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Looked at in your apartment, be
there free from shame as being exposed to the light of Heaven."
Therefore, the superior man, even when he is not moving, has a feeling
of reverence, and while he speaks not, he has the feeling of
truthfulness.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In silence is the offering
presented, and the spirit approached to; there is not the slightest
contention." Therefore the superior man does not use rewards, and
the people are stimulated to virtue. He does not show anger, and the
people are awed more than by hatchets and battle-axes.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What needs no display is
virtue. All the princes imitate it." Therefore, the superior man being
sincere and reverential, the whole world is conducted to a state of
happy tranquility.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I regard with pleasure your
brilliant virtue, making no great display of itself in sounds and
appearances." The Master said, "Among the appliances to transform
the people, sound and appearances are but trivial influences. It is
said in another ode, 'His Virtue is light as a hair.' Still, a hair
will admit of comparison as to its size. 'The doings of the supreme
Heaven have neither sound nor smell. 'That is perfect virtue."
THE END
지하철 2, 5선 충정로역 4번출구 후산한의원 흉터튼살 www.imagediet.co.kr 서울 중구 서소문로 6길 46. 4층 한방 피부과 이비인후과 전문의 여드름흉터 튼살 화상흉터 수술후 흉터 치료 피부재생 비만 다이어트 동안침 정안침, 미소침, 살빼기 비법, 체중감량 blog.naver.com/homeosta cafe.daum.net/homeosta www.upaper.net/homeosta 전자책 트위터 @imagedietcokr @slimsuny @01086326138 https://www.facebook.com/seongminh 페이스북 www.instagram.com/3atzmus 인스타그램
2008년 6월 30일 월요일
2008년 6월 29일 일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소아복통
(1) 배가 아플 때
(가) 배가 아프다고 함부로 약을 먹이면 안돼
"배 아프다는 머리 아프다 다리 아프다와 더불어 아이들이 아프다는 3대 레파토리 가운데 하나입니다. 배가 아픈 것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증상인데, 대개의 경우는 시간이 지나면서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아도 좋아집니다. 하지만 간혹 빨리 손을 쓰지 않으면 위험한 경우도 있으므로 신경을 써야 합니다. 배가 아픈 아이를 소아과에 데려오는 엄마 중에 아이에게 아무것도 먹이지 않고 그냥 오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면 일단 집에서 무슨 약이든 먹여서 배를 안 아프게 해보려다 그래도 아파하면 그제서야 소아과에 데려오는 것입니다. 배가 아픈 아이에게 함부로 약을 먹이는 것은 도리어 손해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소아과 의사도 아이가 열이 날 때 먹이는 약은 알려줘도 배 아플 때 먹이는 약은 알려주지 않습니다. 배가 아픈 것은 병이 아니라 하나의 증상으로 배가 아플 수 있는 병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원인을 모르고 신호만 없앤다면 배가 아픈 원인을 밝히기 힘들어집니다. 물론 배가 약간 아프다고 하면서도 잘 먹고 잘 놀면 좀 기다려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배 아픈 게 좀더 심해지면 소아과에 데려가면 되는데, 이런 경우에도 소아과에 가기 전에 배 안 아프게 하는 약을 먹이면 안됩니다. 미리 약을 먹여 증상을 완화시킨 뒤 소아과를 방문하면 병을 진단하기 힘들고, 진단이 늦어져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나) 배가 아플 때 소아과에 가기 전에 주의할 점
아이가 배가 아플 때 이것 저것 함부로 먹여서는 안됩니다. 맹장염이나 장폐색이 의심될 정도로 심하게 아픈 아이가 아니라면 물은 먹여도 좋습니다. 하지만 약은 함부로 먹이지 마세요.미리 약을 먹여 증상을 완화시킨 다음 병원에 가면 정확한 진단을 붙이기가 힘듭니다. 밤에 많이 아픈데 어떡하냐고요? 좀 견뎌보다 약을 먹여야 할 정도로 아프다고 하면 당연히 응급실로 아이를 데려가야 합니다.
(다) 아이가 배가 자주 아프다고 할 때는
1) 만성복통일 때는 진찰을 받아야만 원인을 알 수 있어: 만성복통은 최근 3개월 동안 아주 심한 복통이 세 번 이상 반복된 경우를 말합니다. 만성복통은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와 원인을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소아과에서 진찰을 받아야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혹 위에 헬리코박터라는 균이 자라서 만성복통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것을 방치했다가는 큰병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발견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만성복통 증상이 나타날 때는 바로 소아과에 가야 합니다. 만성복통이 있는 아이는 대개 소아과 의사가 큰병원으로 보내서 검사를 받게 합니다.
2) 다른 이상은 없는데 평소 배가 자주 아프다고 하면: 주위에서 보면 이런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유치원 다니는 아이들은 배 아프다는 말을 잘 하고 학교 다니는 아이들은 머리 아프다는 말을 잘 합니다. 아이들이 흔히 하는 말이기는 하지만 정말 이상이 있는 경우도 간혹 있으니 꾀병 부린다고 야단만 칠 것이 아니라 아이의 상태를 잘 관찰해 보아야 합니다. 평소와 달리 좀더 아파하거나 다른 이상이 보이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찰해서 이상이 없다면 옛날 어른들처럼 엄마 손은 약손하고 배를 문질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라) 이렇게 배 아플 땐 바로 병원으로!!
1) 1세 이전의 아기가 배 아파할 때
2) 배에 힘을 주고 울거나 다리를 배에 붙이고 울 때
3) 3시간 이상 계속 복통을 호소할 때
4) 배가 아프다며 5분 정도 울다가 한 시간 정도 조용하다가를 반복하면서 토마토 케첩 같은 변을 볼 때
5)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흔히 똥물이라고 하는 초록빛을 띤 노란물을 토할 때
6) 배에 손을 못대게 할 정도로 아파할 때
7) 사고를 당한 후나 배를 맞은 후에 심한 복통을 호소할 때
8) 복통 부위가 사타구니 부근이거나 고환부근이거나 오른쪽 아랫부분일 때
9) 토하거나 설사를 한 후 3시간이 지나도 복통이 지속될 때
10) 전에 배를 수술한 적이 있는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
11) 이상한 것을 먹은 후 배 아프다고 할 때
(마) 장염이나 장중첩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
1) 장염에 걸려 설사를 할 때 임의로 지사제를 먹여서는 안돼: 아이가 갑자기 배가 아프다며 토하고 설사하면 장염이기 쉽습니다. 아이가 장염일 경우 일단 집에서 전해질 용액을 먹이고 좋아지지 않으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습니다. 만일 변에 피나 코 같은 것이 섞여 나오면 세균성 장염일 수도 있으니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여행중에 배가 아프다며 토하고 설사를 하면 식중독이나 대장균에 의한 장염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런 때 임의로 지사제를 먹이면 안됩니다. 설사는 몸 안의 나쁜 균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설사를 멈추게 하는 지사제를 먹이면 나쁜 균을 내보내지 못해 갑자기 아이의 상태가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2) 장중첩은 빨리 발견해서 병원으로 가야: 배가 5분 동안 아주 심하게 아프다가 한 시간 정도는 말짱하고 또다시 아픈 증상이 반복되면 장중첩일 가능성이 큽니다. 장중첩으로 배가 아픈 아이들은 다리를 배쪽으로 붙이고 우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지나면서 토마토 케첩 같은 변을 봅니다. 장중첩은 빨리 발견해서 치료하지 않으면 장이 터지고 썩기 때문에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주로 유아들이 걸리지만 간혹 초등학생 정도의 아이가 걸리기도 합니다.
(바) 맹장염으로 배가 아픈 경우
아이들은 맹장염 초기에 배꼽 주위가 아파: 심한 복통이 3시간 이상 지속되면서 아이가 다리를 굽히고 배를 못 만지게 하면 일단 맹장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맹장염 때문에 배가 아프면 잘 걷지 못하고, 걷는다 해도 허리를 숙인 채 엉금엉금 걷는 경우가 많습니다. 맹장염의 증상은 어른과 아이가 다릅니다. 어른들은 바로 오른쪽 아랫배가 아프지만, 아이들은 배꼽 주위가 먼저 아프다가 점점 심해지면서 오른쪽 아랫배가 아픈 경우가 많아 초기에 진단을 붙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맹장염이 의심될 땐 아무것도 먹이지 말고 바로 병원으로: 맹장염일 경우 배가 먼저 아프고 몇 시간이 지나면 토하기도 합니다. 만약 먼저 토하고 배가 아픈 경우라면 보통 열감기 종류가 심해서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들은 맹장염 초기에 모호하게 아픈 경우가 많은데, 이때 소위 장약이라 부르는 배 아플 때 먹는 상비약을 미리 먹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배가 많이 아플수록 약을 함부로 먹여서는 안됩니다. 약을 먹여 복통을 가라앉히면 맹장이 터져도 잘 모를 수 있습니다. 맹장염이 의심될 때는 물은 물론 아무 것도 먹이지 말고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사) 스트레스로 배가 아픈 경우!!
평소에는 전혀 다른 이상 없이 잘 먹고 잘 놀고 멀쩡해 보이는 아이가 가끔씩 배가 아프다고 호소하면 스트레스 때문에 배가 아픈 것이거나 꾀병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꾀병보다는 스트레스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스트레스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는 심리적인 문제가 원인이며 진짜로 아이가 아프다는 것이 꾀병과 다른 점입니다. 아이의 환경을 잘 살펴서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 요로감염, 탈장 등으로 배가 아플 때
배 아프고 소변 볼 때 아파하면 요로감염일 수 있어: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열이 펄펄 나고 소변을 볼 때 아파하는 경우, 그리고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고 갑자기 이불에 지도를 그리는 경우에는 요로감염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요로감염은 오줌이 나오는 소변길에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요로감염에 걸린 아이들 중에는 드물지만 요로에 기형이 있거나 소변이 거꾸로 흐르는 방광 요관 역류증이라는 병이 동반될 수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 신장이 망가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요로감염 치료 후에 초음파나 방사선 검사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약을 하루 이틀만 먹여도 증상이 좋아지지만 반드시 의사가 그만 먹이라고 할 때까지 약을 먹여야 합니다.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면 멀쩡해 보여도 다시 재발할 수 있고 반복되면 신장에 상처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 요로감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의 비뇨생식기 편을 참고하십시오.
배가 아프면서 사타구니나 고환 부위가 부으면: 배가 아프면서 사타구니나 고환 부위가 부으면 탈장일 수 있습니다. 만일 부은 것이 가라앉지 않고 통증이 심하면 바로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탈장 부위가 꼬이면 바로 장이 썩어서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자) 감기 치료중에 배가 아프다고 할 때
감기 걸린 아이가 배 아파하면 일단 진찰을 받아야: 감기에 걸리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아이들의 감기는 어른과 달라서 호흡기에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장에도 같이 걸리는 경우가 제법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열이 많이 날 때 배가 아프면 체했다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배가 아픈 감기(stomach flu)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아이에게 문제가 있어서 배가 아픈지 아니면 단순히 감기 때문에 배가 아픈지는 엄마가 판단하기 힘듭니다. 실제로 감기에 걸린 아이가 맹장염이나 장염이 동반되어 배가 아픈 경우도 있으니까요. 따라서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는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심하게 배를 움켜쥘 정도로 아프다고 하면 몇 시간 전에 소아과 의사가 진찰해서 괜찮다고 했어도 다시 진찰받는 편이 좋습니다.
(차) 진찰없이 증상만 가지고 약을 쓰면 안돼: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 너무 많이 힘들어 하지 않으면 죽을 먹이고 물을 좀더 먹이세요. 하지만 많은 엄마들이 아이가 배가 많이 아프다고 하면 우선 배 안 아프게 하는 약을 먹이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하지만 의사의 진찰없이 단순히 배가 아프다는 증상만을 가지고 임의로 약을 쓰는 것은 별로 바람직한 일이 아닙니다. 감기에 걸린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면 당연히 다른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 중요합니다.
(2) 잠깐 의학 상식 !!
아기가 배가 아프면 꼭 장에 탈이 난다고 해서 선천적으로 장 기능이 좋지 않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장 기능이 정상인 아기들도 뱃속에 가스가 차 있습니다. 당연히 변도 들어 있고요. 만일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인지 아기를 진찰한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이 있다면 그 병의 치료가 중요하지 엑스레이 사진에 나오는 가스와 변은 의미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른들도 변을 잘 보지 못한 채 시간이 지나면 가스가 차고 방귀가 나옵니다. 아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변비가 생겨서 변을 잘 못 보니까 뱃속에 똥과 가스가 차게 되는 겁니다. 이런 경우 아침식사가 장 운동을 자극해 배변 기능을 갖게 하므로 끼니를 거르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먹일 때도 대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한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하세요. 우유나 치즈 같은 것을 너무 많이 먹이지 마시고요.
(3) 변비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
변을 자주 못 보는데 배가 아프고 딱딱하면 변비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들은 변비가 복통의 원인인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만일 변비가 복통의 원인이면 변을 쉽게 보도록 도와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이유식을 하는 아이들은 물을 많이 먹이고 채소와 과일을 좀더 먹이는데, 바나나 같은 과일은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니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돌이 지난 아이가 우유를 주식으로 하고 있다면 변비가 심해서 배가 더 아플 수도 있습니다. 돌이 지난 아이는 밥을 주식으로 하고, 우유는 하루에 두 컵 정도만 먹이는 것이 좋으며 많아도 세 컵을 넘지 않게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의 변비와 관장 편을 참고하십시오.
(4) 영아 산통의 원인
(가) 배고플 때, 너무 많이 먹었을 때
(나) 피곤할 때
(다) 부적당한 수유법
(라) 들이마신 공기가 많을 때
(마) 체질적으로 긴장성인 아이
(바) 가족이 긴장했거나 불화가 있을 때
(사) 소란한 주위 환경
(5) 영아 산통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
(가) 어린 아기의 영아산통은 시간이 약: 흔히 배앓이라고도 하는 영아산통은 특히 어린 아기들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숨이 넘어갈 듯 심하게 우는 것이 특징입니다. 얼굴은 새까맣게 되고 숨은 넘어갈 듯하고 식은땀도 나며 배에 힘을 주고 울어댑니다. 아기가 밤에 울 때는 소아과에도 못 가고 곤란하지요. 특히 1~2개월 된 어린 아기들이 울 때는 별 다른 대책이 없습니다. 대개 생후 4개월이 지나면 영아산통이 사라지니 그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나) 아기에게 영아산통이 있을 때 집에서 할 일: 일단 영아산통이라는 진단이 붙으면 아기를 편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안아주고 약간씩 흔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뱃속에 공기가 들어가면 더 힘들어 하므로 분유를 타느라 흔들었던 우유병을 잠시 세워 놓아 공기 방울이 위로 떠오르게 해주고, 수유할 때도 공기를 적게 들이마시도록 우유병을 약간 세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젖이나 우유를 먹은 후에는 반드시 트림을 시키고,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주며, 가정 불화가 없도록 합니다. 아기와 엄마 모두 알레르기 있는 음식을 피하고 아기에게 우유를 너무 많이 먹이거나 너무 적게 먹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조금 도움이 되니 참고하십시오. 그리고 엄마가 마음이 편해야 아기를 편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 영아산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책 아기가 밤에 울 때 편의 영아산통 부분을 참조하십시오.
(다) 아이가 체했다구요?
1) 현대 의학에 체했다는 병은 없습니다: 열이 나면 손발이 차게 되는 경우는 흔합니다. 아이가 배가 아프면서 열이 심하고 토하고 안 먹고 손발이 차고 하품을 실실 하면 사람들은 흔히 체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현대 의학에 체했다는 병은 없습니다. 체했다는 아이들을 진찰해보면 인두염, 성홍열, 중이염, 뇌막염, 장염 등 여러 가지 다른 병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은 급성 인두염에 걸리면 소화기 증상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배가 많이 아프기도 합니다.
2) 손발이 차면 함부로 따지 말고 소아과를 방문하세요: 체했다는 병명은 이런 여러 가지 병을 구분하지 못했던 과거에 사용하던 병명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설명해도 돌아서면 의사가 체한 것도 모른다고 말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의사들 중에도 설명은 체했다고 하고 진찰 소견대로 치료하는 분도 있습니다. 체했다고 손발 따면 검은 피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지금 당장 엄마 손을 따도 정맥피니까 검붉은 피가 나옵니다. 저는 지금까지 체한 아이를 본 적이 없습니다. 손발이 차다고 함부로 따지 마시고 해열제를 먹인 뒤 소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막염이나 장티푸스, 식중독 등 전혀 다른 병들도 이런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6) 이유없는 '영아 산통' / 시간 지나면 저절로 나아
문)한달밖에 안된 아기가 밤마다 울어댑니다. 소아과에서는 영아산통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아기들은 원래 잘 웁니다. 배가 고파도 울고 쉬를 해도 우는데 울음에도 색깔이 있어 아기가 왜 우는가를 엄마는 금방 알게 됩니다. 하지만 숨이 넘어갈 듯이 우는데 원인은 알 수 없어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영아 산통이라고 합니다. 배가 아파서 우는 것으로 추측은 하지만 영아 산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아주 심하게 우는 것이 영아 산통의 특징입니다. 얼굴이 발갛게 되도록 온몸에 힘을 주고 다리를 굽혔다 폈다 하고 주먹을 쥐고 배에 힘을 주다가 방귀를 붕붕 뀌기도 합니다. 이렇게 무섭게 울다가는 제풀에 지쳐서 곯아 떨어집니다. 생후 2주부터 시작되어 3개월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집니다.
하지만 아기가 운다고 해서 그냥 영아 산통이라고 간주해 버리지는 마십시오. 심각한 병도 꼭 영아산통 같아 보이는 수도 있습니다. 영아 산통에는 세월이 약이라지만 몇가지 해줄 수 있는 게 있습니다. 안아주면 낫고 업고 밖으로 나가도 좋습니다. 차를 타고 돌아다니면 좋아지는 경우도 많아 응급실에 도착할 때쯤에는 울음을 그치고 자는 아기를 흔히 봅니다. 무릎에 엎어놓고 등을 문질러 주거나 배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공갈젖꼭지를 물리거나 포대기로 잘 싸주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간혹 옆방의 진공 청소기나 세탁기가 내는 규칙적인 소음이 아기를 달래는 데 자장가 이상의 효과를 내는 수도 있습니다. 과식을 피하고 젖줄 때 공기를 적게 마시도록 주의하세요. 엄마가 먹는 음식을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시고 분유를 먹일 때는 특수 분유를 일시적으로 먹이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우는 아기 때문에 엄마가 너무 지칠 때는 다른 사람에게 아기를 맡겨두고 영화라도 한편 보며 쉬는 것이 엄마와 아기에게 도움이 됩니다. 운다고 함부로 약을 먹여서는 안됩니다. 끝이 없을 것 같은 울음에 고생하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편해지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기운 내십시오.
(7) 고환 안만져지는 신생아
(가) 미숙아는 음낭에 고환이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남자아이들의 고환은 음낭에 들어 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고환은 태아일 때는 아기의 뱃속에 있다가 태어날 때쯤 해서 음낭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그런데 간혹 태어날 때까지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뱃속에 남아 있거나 사타구니 근처까지 내려와서 오르락내리락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환은 태어날 때쯤 해서 음낭으로 내려오므로 달을 못 채우고 태어나는 미숙아는 당연히 음낭에 고환이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정상적으로 달을 채우고 태어난 만삭아는 약 3% 정도가 고환이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태어납니다. 고환이 내려오지 않은 3%의 신생아 중에서 80%는 일 년 안에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나) 1년이 지나도 고환이 내려오지 않을 경우 그냥 두면 큰일납니다: 생후 1년이 지나도 고환이 내려오지 않을 때는 저절로 내려오기를 기대하기 힘들므로 반드시 의사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이때는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구체적인 것에 대해서는 외과 의사나 비뇨기과 의사가 판단할 것입니다. 생후 1년이 지났는데도 음낭으로 내려오지 않은 고환을 그냥 두면 30대나 40대가 되었을 때 뱃속에 들어 있는 고환에 암이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고환을 그냥 뱃속에 둔 채로 1년이 지나면 고환이 제 기능을 못하는 수도 있습니다. 고환이 한 개는 내려오고 한 개는 안 내려온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생후 1년이 지났는데도 뱃속에 있는 고환 한 개가 내려오지 않는다면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8) 태어날 땐 만져지던 고환이 안 만져질 때!!
아기가 태어날 때는 고환이 만져졌는데 나중에 만져보니까 고환이 안 만져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기를 따뜻한 방에 눕혀 놓고 만져보면 고환이 만져질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고환이 완전히 안 내려온 경우와 달리 별다른 문제는 없지만 일단 의사의 정확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이런 고환은 사춘기를 지나면서 정상적인 위치인 음낭으로 들어갑니다. 하지만 진단을 잘못 내렸다가는 아기에게 문제가 될 수도 있으니 집에서 엄마가 임의로 진단을 내릴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 실수라도 하는 날이면 두고두고 후회할 수도 있으니까요. 의사의 정확한 진단이 필수입니다.
(9) 아기 머리에서 말랑말랑한 것이 만져져요
신생아의 머리에서 말랑말랑한 것이 만져질 때는 대개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의학 용어로는 산류와 두혈종이라고 합니다.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나올 때는 머리부터 나오는데, 이때 머리 부위에 부종이 생기는 것을 산류라고 합니다. 이것은 보통 2~3일이 지나면 사라집니다. 두혈종은 태어날 때 두개골의 골막에 금이 가 피가 나서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몇 개월 동안 남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류나 두혈종은 대개 별다른 치료가 필요없습니다. 세월이 약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금 아기 머리에 난 것이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중의 하나인지 아닌지를 엄마가 확인하기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한번은 아기 머리에 종기가 나서 고름 주머니가 생길 정도로 그 상태가 심각했는데도 두혈종인 줄만 알고 있던 엄마도 있었습니다. 아기의 머리에 뭔가 만져지는 것이 있으면 엄마가 임의로 판단하지 말고 소아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0) 모로반사
모로반사는 자극에 대해 자기를 보호하려는 동작으로 팔과 다리를 벌렸다가 두 팔은 무언가를 껴안 듯이 가슴 위로 가져오고 무릎은 가슴까지 오므리는 것을 말합니다.
모로반사는 건강한 모든 신생아들에게서 생기는 정상적인 신경반사로 보통 3-4개월까지 나타납니다. 간혹 이후에도 이런 반응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11) 다리가 아프다는 아이
다리가 아프다는 5세와 성장통
성장기의 아이들 중에는 다리가 아프다고 호소를 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다리가 아프다는 것은 머리 아프고 배아픈 것과 더불어 아이들의 3대 레퍼토리라고 부를 정도로 흔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가장 흔하게 보는 경우는 흔히 성장통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언제부터인지도 잘 모르게 아이가 툭하면 다리 아프다는 말을 하고 주물러 주면 좋아합니다. 팔도 같이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밤이 되면 아프다던 아이가 낮에 놀 때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신나게 놉니다. 그리고 또 밤이 되면 아프답니다. 한동안 뜸하다가는 잊을 만하면 다시 아프다고 합니다. 걱정이 되어서 소아과에 데려가 보면 고민스러운 엄마의 맘과는 달리 특별히 해주는 것도 없이 괜찮다고 하고 주물러 주라고만 합니다.
성장통은 이름과는 달리 성장 그 자체가 원인은 아닙니다. 잘은 몰라도 큰 문제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좋아지는 다리 아픈 것을 통칭해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다른 문제가 없이 성장통 일 때는 다리를 잘 주물러 주고 따뜻한 물찜질을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심하게 아플 때는 따뜻한 물에 목욕을 시키고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를 먹이는 것도 좋습니다. 성장통은 아이가 크면서 없어집니다.
그럼 다리가 아프면 다 성장통 이고 문제가 없는 것인가 하면 그런 것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다리가 아픈 경우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당장에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큰일 나는 것부터 신경 안쓰고 그냥 두면 좋은 것까지 다양합니다.
아이가 다리가 아프다면 어떻게 하란 말인가? 여태 멀쩡하던 아이가 갑자기 다리가 아프다면 다른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일단 아이의 옷을 다 벗기고 다리에 다친 곳이나 멍이 든 곳이나 다리에 부은 곳이나 발갛게 변한 곳이나 임파선이 부은 곳이 있는지 일단 확인하여야 합니다. 일전에 어떤 아이가 발바닥에 염증이 생겨서 아팠는데 발이 곪도록 엄마가 몰랐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눈으로 보기에 다른 이상이 있다면 치료를 해야 합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멀쩡해도 다리가 아프다는 아이는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리가 아프다면서 열이 나거나 주물러 주면 더 아파하는 경우는 성장통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밤에 아프다고 하던 아이가 낮에도 아프다면 다른 병이 있는가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정한 부위가 많이 아프다거나 아프다는 부위를 눌러서 더 아프다면 확인을 해야 합니다. 다리가 아프다는 아이가 다리를 절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다리를 저는 아이들 중에는 노는데 정신이 팔려서 아픈 것도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렇다고 다리가 아프다고 하면 만사를 제쳐 두고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다리가 아프다고 해도 잘 걷고 잘 놀고 외관상 아무런 이상이 없고 만져 주면 좋아하고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좀 기다려 보실 수가 있습니다.
다리가 아픈 경우에 정확한 이유를 모를 때는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라도 함부로 먹여서는 곤란합니다. 아프다는 것은 병의 한 증상일 수가 있습니다. 안 아프게 진통제를 자꾸 먹이면 골수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진단이 늦어질 수도 잇습니다. 소아마비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은데 최근에 소아마비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지 않고 있으니 그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아이가 다리가 아프다고 할 때 제일 좋은 방법은 역시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의사도 정확한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도 있고 다른 병이 있는 것을 시간이 지나서야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장통이라고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진단을 받았더라도 계속 아프다면 다시 가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에 성장통 진단을 받았던 아이라고 다리가 아픈 다른 병에 안걸리란 법은 없습니다.
(12) 대천문은 언제 닫히나요?
대천문이 닫히는 것은 보통 만 1세부터 1년 6개월까지 인데, 보통 정상인 아가들 중에서도 24개월이 지나서 닫혀지는 수가 있고, 9개월 정도에 빨리 닫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머님들은 대천문이 닫히는 시기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데 그보다는 오히려 머리 둘레쪽이 문제가 됩니다. 월령에 비해 머리 둘레가 너무 작든가 너무 큰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일찍 닫히는 것도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머리의 크기는 뇌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뇌가 정상적으로 자라지 않으면 머리도 작은대로 머물러 있게 되기 때문이지요.
대천문이 빨리 닫히면 소두증이, 대천문이 늦게 까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의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가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이상이 없다면 다음에 소아과 갈 때 문의해 보시면 될 겁니다.
(가) 배가 아프다고 함부로 약을 먹이면 안돼
"배 아프다는 머리 아프다 다리 아프다와 더불어 아이들이 아프다는 3대 레파토리 가운데 하나입니다. 배가 아픈 것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증상인데, 대개의 경우는 시간이 지나면서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아도 좋아집니다. 하지만 간혹 빨리 손을 쓰지 않으면 위험한 경우도 있으므로 신경을 써야 합니다. 배가 아픈 아이를 소아과에 데려오는 엄마 중에 아이에게 아무것도 먹이지 않고 그냥 오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면 일단 집에서 무슨 약이든 먹여서 배를 안 아프게 해보려다 그래도 아파하면 그제서야 소아과에 데려오는 것입니다. 배가 아픈 아이에게 함부로 약을 먹이는 것은 도리어 손해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소아과 의사도 아이가 열이 날 때 먹이는 약은 알려줘도 배 아플 때 먹이는 약은 알려주지 않습니다. 배가 아픈 것은 병이 아니라 하나의 증상으로 배가 아플 수 있는 병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원인을 모르고 신호만 없앤다면 배가 아픈 원인을 밝히기 힘들어집니다. 물론 배가 약간 아프다고 하면서도 잘 먹고 잘 놀면 좀 기다려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배 아픈 게 좀더 심해지면 소아과에 데려가면 되는데, 이런 경우에도 소아과에 가기 전에 배 안 아프게 하는 약을 먹이면 안됩니다. 미리 약을 먹여 증상을 완화시킨 뒤 소아과를 방문하면 병을 진단하기 힘들고, 진단이 늦어져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나) 배가 아플 때 소아과에 가기 전에 주의할 점
아이가 배가 아플 때 이것 저것 함부로 먹여서는 안됩니다. 맹장염이나 장폐색이 의심될 정도로 심하게 아픈 아이가 아니라면 물은 먹여도 좋습니다. 하지만 약은 함부로 먹이지 마세요.미리 약을 먹여 증상을 완화시킨 다음 병원에 가면 정확한 진단을 붙이기가 힘듭니다. 밤에 많이 아픈데 어떡하냐고요? 좀 견뎌보다 약을 먹여야 할 정도로 아프다고 하면 당연히 응급실로 아이를 데려가야 합니다.
(다) 아이가 배가 자주 아프다고 할 때는
1) 만성복통일 때는 진찰을 받아야만 원인을 알 수 있어: 만성복통은 최근 3개월 동안 아주 심한 복통이 세 번 이상 반복된 경우를 말합니다. 만성복통은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와 원인을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소아과에서 진찰을 받아야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혹 위에 헬리코박터라는 균이 자라서 만성복통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것을 방치했다가는 큰병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발견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만성복통 증상이 나타날 때는 바로 소아과에 가야 합니다. 만성복통이 있는 아이는 대개 소아과 의사가 큰병원으로 보내서 검사를 받게 합니다.
2) 다른 이상은 없는데 평소 배가 자주 아프다고 하면: 주위에서 보면 이런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유치원 다니는 아이들은 배 아프다는 말을 잘 하고 학교 다니는 아이들은 머리 아프다는 말을 잘 합니다. 아이들이 흔히 하는 말이기는 하지만 정말 이상이 있는 경우도 간혹 있으니 꾀병 부린다고 야단만 칠 것이 아니라 아이의 상태를 잘 관찰해 보아야 합니다. 평소와 달리 좀더 아파하거나 다른 이상이 보이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찰해서 이상이 없다면 옛날 어른들처럼 엄마 손은 약손하고 배를 문질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라) 이렇게 배 아플 땐 바로 병원으로!!
1) 1세 이전의 아기가 배 아파할 때
2) 배에 힘을 주고 울거나 다리를 배에 붙이고 울 때
3) 3시간 이상 계속 복통을 호소할 때
4) 배가 아프다며 5분 정도 울다가 한 시간 정도 조용하다가를 반복하면서 토마토 케첩 같은 변을 볼 때
5)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흔히 똥물이라고 하는 초록빛을 띤 노란물을 토할 때
6) 배에 손을 못대게 할 정도로 아파할 때
7) 사고를 당한 후나 배를 맞은 후에 심한 복통을 호소할 때
8) 복통 부위가 사타구니 부근이거나 고환부근이거나 오른쪽 아랫부분일 때
9) 토하거나 설사를 한 후 3시간이 지나도 복통이 지속될 때
10) 전에 배를 수술한 적이 있는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
11) 이상한 것을 먹은 후 배 아프다고 할 때
(마) 장염이나 장중첩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
1) 장염에 걸려 설사를 할 때 임의로 지사제를 먹여서는 안돼: 아이가 갑자기 배가 아프다며 토하고 설사하면 장염이기 쉽습니다. 아이가 장염일 경우 일단 집에서 전해질 용액을 먹이고 좋아지지 않으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습니다. 만일 변에 피나 코 같은 것이 섞여 나오면 세균성 장염일 수도 있으니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여행중에 배가 아프다며 토하고 설사를 하면 식중독이나 대장균에 의한 장염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런 때 임의로 지사제를 먹이면 안됩니다. 설사는 몸 안의 나쁜 균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설사를 멈추게 하는 지사제를 먹이면 나쁜 균을 내보내지 못해 갑자기 아이의 상태가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2) 장중첩은 빨리 발견해서 병원으로 가야: 배가 5분 동안 아주 심하게 아프다가 한 시간 정도는 말짱하고 또다시 아픈 증상이 반복되면 장중첩일 가능성이 큽니다. 장중첩으로 배가 아픈 아이들은 다리를 배쪽으로 붙이고 우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지나면서 토마토 케첩 같은 변을 봅니다. 장중첩은 빨리 발견해서 치료하지 않으면 장이 터지고 썩기 때문에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주로 유아들이 걸리지만 간혹 초등학생 정도의 아이가 걸리기도 합니다.
(바) 맹장염으로 배가 아픈 경우
아이들은 맹장염 초기에 배꼽 주위가 아파: 심한 복통이 3시간 이상 지속되면서 아이가 다리를 굽히고 배를 못 만지게 하면 일단 맹장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맹장염 때문에 배가 아프면 잘 걷지 못하고, 걷는다 해도 허리를 숙인 채 엉금엉금 걷는 경우가 많습니다. 맹장염의 증상은 어른과 아이가 다릅니다. 어른들은 바로 오른쪽 아랫배가 아프지만, 아이들은 배꼽 주위가 먼저 아프다가 점점 심해지면서 오른쪽 아랫배가 아픈 경우가 많아 초기에 진단을 붙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맹장염이 의심될 땐 아무것도 먹이지 말고 바로 병원으로: 맹장염일 경우 배가 먼저 아프고 몇 시간이 지나면 토하기도 합니다. 만약 먼저 토하고 배가 아픈 경우라면 보통 열감기 종류가 심해서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들은 맹장염 초기에 모호하게 아픈 경우가 많은데, 이때 소위 장약이라 부르는 배 아플 때 먹는 상비약을 미리 먹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배가 많이 아플수록 약을 함부로 먹여서는 안됩니다. 약을 먹여 복통을 가라앉히면 맹장이 터져도 잘 모를 수 있습니다. 맹장염이 의심될 때는 물은 물론 아무 것도 먹이지 말고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사) 스트레스로 배가 아픈 경우!!
평소에는 전혀 다른 이상 없이 잘 먹고 잘 놀고 멀쩡해 보이는 아이가 가끔씩 배가 아프다고 호소하면 스트레스 때문에 배가 아픈 것이거나 꾀병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꾀병보다는 스트레스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스트레스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는 심리적인 문제가 원인이며 진짜로 아이가 아프다는 것이 꾀병과 다른 점입니다. 아이의 환경을 잘 살펴서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 요로감염, 탈장 등으로 배가 아플 때
배 아프고 소변 볼 때 아파하면 요로감염일 수 있어: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면서 열이 펄펄 나고 소변을 볼 때 아파하는 경우, 그리고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고 갑자기 이불에 지도를 그리는 경우에는 요로감염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요로감염은 오줌이 나오는 소변길에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요로감염에 걸린 아이들 중에는 드물지만 요로에 기형이 있거나 소변이 거꾸로 흐르는 방광 요관 역류증이라는 병이 동반될 수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 신장이 망가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요로감염 치료 후에 초음파나 방사선 검사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약을 하루 이틀만 먹여도 증상이 좋아지지만 반드시 의사가 그만 먹이라고 할 때까지 약을 먹여야 합니다.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면 멀쩡해 보여도 다시 재발할 수 있고 반복되면 신장에 상처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 요로감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의 비뇨생식기 편을 참고하십시오.
배가 아프면서 사타구니나 고환 부위가 부으면: 배가 아프면서 사타구니나 고환 부위가 부으면 탈장일 수 있습니다. 만일 부은 것이 가라앉지 않고 통증이 심하면 바로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탈장 부위가 꼬이면 바로 장이 썩어서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자) 감기 치료중에 배가 아프다고 할 때
감기 걸린 아이가 배 아파하면 일단 진찰을 받아야: 감기에 걸리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아이들의 감기는 어른과 달라서 호흡기에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장에도 같이 걸리는 경우가 제법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열이 많이 날 때 배가 아프면 체했다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배가 아픈 감기(stomach flu)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아이에게 문제가 있어서 배가 아픈지 아니면 단순히 감기 때문에 배가 아픈지는 엄마가 판단하기 힘듭니다. 실제로 감기에 걸린 아이가 맹장염이나 장염이 동반되어 배가 아픈 경우도 있으니까요. 따라서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는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심하게 배를 움켜쥘 정도로 아프다고 하면 몇 시간 전에 소아과 의사가 진찰해서 괜찮다고 했어도 다시 진찰받는 편이 좋습니다.
(차) 진찰없이 증상만 가지고 약을 쓰면 안돼: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할 때 너무 많이 힘들어 하지 않으면 죽을 먹이고 물을 좀더 먹이세요. 하지만 많은 엄마들이 아이가 배가 많이 아프다고 하면 우선 배 안 아프게 하는 약을 먹이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하지만 의사의 진찰없이 단순히 배가 아프다는 증상만을 가지고 임의로 약을 쓰는 것은 별로 바람직한 일이 아닙니다. 감기에 걸린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면 당연히 다른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 중요합니다.
(2) 잠깐 의학 상식 !!
아기가 배가 아프면 꼭 장에 탈이 난다고 해서 선천적으로 장 기능이 좋지 않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장 기능이 정상인 아기들도 뱃속에 가스가 차 있습니다. 당연히 변도 들어 있고요. 만일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인지 아기를 진찰한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이 있다면 그 병의 치료가 중요하지 엑스레이 사진에 나오는 가스와 변은 의미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른들도 변을 잘 보지 못한 채 시간이 지나면 가스가 차고 방귀가 나옵니다. 아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변비가 생겨서 변을 잘 못 보니까 뱃속에 똥과 가스가 차게 되는 겁니다. 이런 경우 아침식사가 장 운동을 자극해 배변 기능을 갖게 하므로 끼니를 거르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먹일 때도 대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한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하세요. 우유나 치즈 같은 것을 너무 많이 먹이지 마시고요.
(3) 변비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
변을 자주 못 보는데 배가 아프고 딱딱하면 변비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들은 변비가 복통의 원인인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만일 변비가 복통의 원인이면 변을 쉽게 보도록 도와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이유식을 하는 아이들은 물을 많이 먹이고 채소와 과일을 좀더 먹이는데, 바나나 같은 과일은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니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돌이 지난 아이가 우유를 주식으로 하고 있다면 변비가 심해서 배가 더 아플 수도 있습니다. 돌이 지난 아이는 밥을 주식으로 하고, 우유는 하루에 두 컵 정도만 먹이는 것이 좋으며 많아도 세 컵을 넘지 않게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의 변비와 관장 편을 참고하십시오.
(4) 영아 산통의 원인
(가) 배고플 때, 너무 많이 먹었을 때
(나) 피곤할 때
(다) 부적당한 수유법
(라) 들이마신 공기가 많을 때
(마) 체질적으로 긴장성인 아이
(바) 가족이 긴장했거나 불화가 있을 때
(사) 소란한 주위 환경
(5) 영아 산통 때문에 배가 아픈 경우
(가) 어린 아기의 영아산통은 시간이 약: 흔히 배앓이라고도 하는 영아산통은 특히 어린 아기들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숨이 넘어갈 듯 심하게 우는 것이 특징입니다. 얼굴은 새까맣게 되고 숨은 넘어갈 듯하고 식은땀도 나며 배에 힘을 주고 울어댑니다. 아기가 밤에 울 때는 소아과에도 못 가고 곤란하지요. 특히 1~2개월 된 어린 아기들이 울 때는 별 다른 대책이 없습니다. 대개 생후 4개월이 지나면 영아산통이 사라지니 그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나) 아기에게 영아산통이 있을 때 집에서 할 일: 일단 영아산통이라는 진단이 붙으면 아기를 편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안아주고 약간씩 흔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뱃속에 공기가 들어가면 더 힘들어 하므로 분유를 타느라 흔들었던 우유병을 잠시 세워 놓아 공기 방울이 위로 떠오르게 해주고, 수유할 때도 공기를 적게 들이마시도록 우유병을 약간 세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젖이나 우유를 먹은 후에는 반드시 트림을 시키고,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주며, 가정 불화가 없도록 합니다. 아기와 엄마 모두 알레르기 있는 음식을 피하고 아기에게 우유를 너무 많이 먹이거나 너무 적게 먹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조금 도움이 되니 참고하십시오. 그리고 엄마가 마음이 편해야 아기를 편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 영아산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책 아기가 밤에 울 때 편의 영아산통 부분을 참조하십시오.
(다) 아이가 체했다구요?
1) 현대 의학에 체했다는 병은 없습니다: 열이 나면 손발이 차게 되는 경우는 흔합니다. 아이가 배가 아프면서 열이 심하고 토하고 안 먹고 손발이 차고 하품을 실실 하면 사람들은 흔히 체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현대 의학에 체했다는 병은 없습니다. 체했다는 아이들을 진찰해보면 인두염, 성홍열, 중이염, 뇌막염, 장염 등 여러 가지 다른 병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은 급성 인두염에 걸리면 소화기 증상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배가 많이 아프기도 합니다.
2) 손발이 차면 함부로 따지 말고 소아과를 방문하세요: 체했다는 병명은 이런 여러 가지 병을 구분하지 못했던 과거에 사용하던 병명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설명해도 돌아서면 의사가 체한 것도 모른다고 말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의사들 중에도 설명은 체했다고 하고 진찰 소견대로 치료하는 분도 있습니다. 체했다고 손발 따면 검은 피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지금 당장 엄마 손을 따도 정맥피니까 검붉은 피가 나옵니다. 저는 지금까지 체한 아이를 본 적이 없습니다. 손발이 차다고 함부로 따지 마시고 해열제를 먹인 뒤 소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막염이나 장티푸스, 식중독 등 전혀 다른 병들도 이런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6) 이유없는 '영아 산통' / 시간 지나면 저절로 나아
문)한달밖에 안된 아기가 밤마다 울어댑니다. 소아과에서는 영아산통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아기들은 원래 잘 웁니다. 배가 고파도 울고 쉬를 해도 우는데 울음에도 색깔이 있어 아기가 왜 우는가를 엄마는 금방 알게 됩니다. 하지만 숨이 넘어갈 듯이 우는데 원인은 알 수 없어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영아 산통이라고 합니다. 배가 아파서 우는 것으로 추측은 하지만 영아 산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아주 심하게 우는 것이 영아 산통의 특징입니다. 얼굴이 발갛게 되도록 온몸에 힘을 주고 다리를 굽혔다 폈다 하고 주먹을 쥐고 배에 힘을 주다가 방귀를 붕붕 뀌기도 합니다. 이렇게 무섭게 울다가는 제풀에 지쳐서 곯아 떨어집니다. 생후 2주부터 시작되어 3개월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집니다.
하지만 아기가 운다고 해서 그냥 영아 산통이라고 간주해 버리지는 마십시오. 심각한 병도 꼭 영아산통 같아 보이는 수도 있습니다. 영아 산통에는 세월이 약이라지만 몇가지 해줄 수 있는 게 있습니다. 안아주면 낫고 업고 밖으로 나가도 좋습니다. 차를 타고 돌아다니면 좋아지는 경우도 많아 응급실에 도착할 때쯤에는 울음을 그치고 자는 아기를 흔히 봅니다. 무릎에 엎어놓고 등을 문질러 주거나 배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공갈젖꼭지를 물리거나 포대기로 잘 싸주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간혹 옆방의 진공 청소기나 세탁기가 내는 규칙적인 소음이 아기를 달래는 데 자장가 이상의 효과를 내는 수도 있습니다. 과식을 피하고 젖줄 때 공기를 적게 마시도록 주의하세요. 엄마가 먹는 음식을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시고 분유를 먹일 때는 특수 분유를 일시적으로 먹이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우는 아기 때문에 엄마가 너무 지칠 때는 다른 사람에게 아기를 맡겨두고 영화라도 한편 보며 쉬는 것이 엄마와 아기에게 도움이 됩니다. 운다고 함부로 약을 먹여서는 안됩니다. 끝이 없을 것 같은 울음에 고생하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편해지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기운 내십시오.
(7) 고환 안만져지는 신생아
(가) 미숙아는 음낭에 고환이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남자아이들의 고환은 음낭에 들어 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고환은 태아일 때는 아기의 뱃속에 있다가 태어날 때쯤 해서 음낭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그런데 간혹 태어날 때까지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뱃속에 남아 있거나 사타구니 근처까지 내려와서 오르락내리락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환은 태어날 때쯤 해서 음낭으로 내려오므로 달을 못 채우고 태어나는 미숙아는 당연히 음낭에 고환이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정상적으로 달을 채우고 태어난 만삭아는 약 3% 정도가 고환이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태어납니다. 고환이 내려오지 않은 3%의 신생아 중에서 80%는 일 년 안에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나) 1년이 지나도 고환이 내려오지 않을 경우 그냥 두면 큰일납니다: 생후 1년이 지나도 고환이 내려오지 않을 때는 저절로 내려오기를 기대하기 힘들므로 반드시 의사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이때는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구체적인 것에 대해서는 외과 의사나 비뇨기과 의사가 판단할 것입니다. 생후 1년이 지났는데도 음낭으로 내려오지 않은 고환을 그냥 두면 30대나 40대가 되었을 때 뱃속에 들어 있는 고환에 암이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고환을 그냥 뱃속에 둔 채로 1년이 지나면 고환이 제 기능을 못하는 수도 있습니다. 고환이 한 개는 내려오고 한 개는 안 내려온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생후 1년이 지났는데도 뱃속에 있는 고환 한 개가 내려오지 않는다면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8) 태어날 땐 만져지던 고환이 안 만져질 때!!
아기가 태어날 때는 고환이 만져졌는데 나중에 만져보니까 고환이 안 만져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기를 따뜻한 방에 눕혀 놓고 만져보면 고환이 만져질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고환이 완전히 안 내려온 경우와 달리 별다른 문제는 없지만 일단 의사의 정확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이런 고환은 사춘기를 지나면서 정상적인 위치인 음낭으로 들어갑니다. 하지만 진단을 잘못 내렸다가는 아기에게 문제가 될 수도 있으니 집에서 엄마가 임의로 진단을 내릴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 실수라도 하는 날이면 두고두고 후회할 수도 있으니까요. 의사의 정확한 진단이 필수입니다.
(9) 아기 머리에서 말랑말랑한 것이 만져져요
신생아의 머리에서 말랑말랑한 것이 만져질 때는 대개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의학 용어로는 산류와 두혈종이라고 합니다.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나올 때는 머리부터 나오는데, 이때 머리 부위에 부종이 생기는 것을 산류라고 합니다. 이것은 보통 2~3일이 지나면 사라집니다. 두혈종은 태어날 때 두개골의 골막에 금이 가 피가 나서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몇 개월 동안 남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류나 두혈종은 대개 별다른 치료가 필요없습니다. 세월이 약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금 아기 머리에 난 것이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중의 하나인지 아닌지를 엄마가 확인하기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한번은 아기 머리에 종기가 나서 고름 주머니가 생길 정도로 그 상태가 심각했는데도 두혈종인 줄만 알고 있던 엄마도 있었습니다. 아기의 머리에 뭔가 만져지는 것이 있으면 엄마가 임의로 판단하지 말고 소아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0) 모로반사
모로반사는 자극에 대해 자기를 보호하려는 동작으로 팔과 다리를 벌렸다가 두 팔은 무언가를 껴안 듯이 가슴 위로 가져오고 무릎은 가슴까지 오므리는 것을 말합니다.
모로반사는 건강한 모든 신생아들에게서 생기는 정상적인 신경반사로 보통 3-4개월까지 나타납니다. 간혹 이후에도 이런 반응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11) 다리가 아프다는 아이
다리가 아프다는 5세와 성장통
성장기의 아이들 중에는 다리가 아프다고 호소를 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다리가 아프다는 것은 머리 아프고 배아픈 것과 더불어 아이들의 3대 레퍼토리라고 부를 정도로 흔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가장 흔하게 보는 경우는 흔히 성장통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언제부터인지도 잘 모르게 아이가 툭하면 다리 아프다는 말을 하고 주물러 주면 좋아합니다. 팔도 같이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밤이 되면 아프다던 아이가 낮에 놀 때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신나게 놉니다. 그리고 또 밤이 되면 아프답니다. 한동안 뜸하다가는 잊을 만하면 다시 아프다고 합니다. 걱정이 되어서 소아과에 데려가 보면 고민스러운 엄마의 맘과는 달리 특별히 해주는 것도 없이 괜찮다고 하고 주물러 주라고만 합니다.
성장통은 이름과는 달리 성장 그 자체가 원인은 아닙니다. 잘은 몰라도 큰 문제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좋아지는 다리 아픈 것을 통칭해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다른 문제가 없이 성장통 일 때는 다리를 잘 주물러 주고 따뜻한 물찜질을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심하게 아플 때는 따뜻한 물에 목욕을 시키고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를 먹이는 것도 좋습니다. 성장통은 아이가 크면서 없어집니다.
그럼 다리가 아프면 다 성장통 이고 문제가 없는 것인가 하면 그런 것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다리가 아픈 경우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당장에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큰일 나는 것부터 신경 안쓰고 그냥 두면 좋은 것까지 다양합니다.
아이가 다리가 아프다면 어떻게 하란 말인가? 여태 멀쩡하던 아이가 갑자기 다리가 아프다면 다른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일단 아이의 옷을 다 벗기고 다리에 다친 곳이나 멍이 든 곳이나 다리에 부은 곳이나 발갛게 변한 곳이나 임파선이 부은 곳이 있는지 일단 확인하여야 합니다. 일전에 어떤 아이가 발바닥에 염증이 생겨서 아팠는데 발이 곪도록 엄마가 몰랐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눈으로 보기에 다른 이상이 있다면 치료를 해야 합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멀쩡해도 다리가 아프다는 아이는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리가 아프다면서 열이 나거나 주물러 주면 더 아파하는 경우는 성장통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밤에 아프다고 하던 아이가 낮에도 아프다면 다른 병이 있는가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정한 부위가 많이 아프다거나 아프다는 부위를 눌러서 더 아프다면 확인을 해야 합니다. 다리가 아프다는 아이가 다리를 절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다리를 저는 아이들 중에는 노는데 정신이 팔려서 아픈 것도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렇다고 다리가 아프다고 하면 만사를 제쳐 두고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다리가 아프다고 해도 잘 걷고 잘 놀고 외관상 아무런 이상이 없고 만져 주면 좋아하고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좀 기다려 보실 수가 있습니다.
다리가 아픈 경우에 정확한 이유를 모를 때는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라도 함부로 먹여서는 곤란합니다. 아프다는 것은 병의 한 증상일 수가 있습니다. 안 아프게 진통제를 자꾸 먹이면 골수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진단이 늦어질 수도 잇습니다. 소아마비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은데 최근에 소아마비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지 않고 있으니 그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아이가 다리가 아프다고 할 때 제일 좋은 방법은 역시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의사도 정확한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도 있고 다른 병이 있는 것을 시간이 지나서야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장통이라고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진단을 받았더라도 계속 아프다면 다시 가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에 성장통 진단을 받았던 아이라고 다리가 아픈 다른 병에 안걸리란 법은 없습니다.
(12) 대천문은 언제 닫히나요?
대천문이 닫히는 것은 보통 만 1세부터 1년 6개월까지 인데, 보통 정상인 아가들 중에서도 24개월이 지나서 닫혀지는 수가 있고, 9개월 정도에 빨리 닫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머님들은 대천문이 닫히는 시기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데 그보다는 오히려 머리 둘레쪽이 문제가 됩니다. 월령에 비해 머리 둘레가 너무 작든가 너무 큰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일찍 닫히는 것도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머리의 크기는 뇌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뇌가 정상적으로 자라지 않으면 머리도 작은대로 머물러 있게 되기 때문이지요.
대천문이 빨리 닫히면 소두증이, 대천문이 늦게 까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의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가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이상이 없다면 다음에 소아과 갈 때 문의해 보시면 될 겁니다.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아토피의 섭생법
1, 아토피는 이 시대의 질환이며 환경병입니다.
따라서 치료 보다는 악화방지 또는 예방이 중요합니다.
(사실은 백신이 주원인이지만 백신 이야기는 불편하실 분들이 많으신 듯 해서 일단 뺍니다. 백신 안맞히면 예방도 가능한데 말입니다.^^)
2, 아토피 악화방지를 위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가려움을 가라앉히는 것이며 더 이상 긁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가려울 때 긁지말라는 것은 고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가렵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밤에 많이 긁는 아이들은 목욕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땀 난 후에 많이 긁는 아이들은 찬 물수건으로 땀을 잘 닦아주면 됩니다. 건조할 때 많이 긁는 아이들은 야채마사지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목욕법
대중탕의 온탕처럼 제법 많이 뜨끈뜨근한 온도의 물을 욕조에 가득 받아서(욕조가 없으면 샤워기로 한참 물을 내려도 됩니다.) 온 몸이 분홍색으로 변해서 덥다고 느낄 때 까지 몸을 충분히 데웁니다. 그런 다음에 욕조에서 나와서 천천히 미지근한 물부터 시작해서 샤워기로 온도를 점차 낮추며 몸을 충분히 식힙니다. 나중에는 감기들겠다 싶을 정도로 좀 차갑게 느낄 때 까지 합니다. 그 때 까지 차게 해도 아주 찬 물은 아닙니다. 이렇게 한 후 물기를 완전히 닦으면 잘 때 긁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민간에서 냉온욕이다 풍욕이다 해서 많이 시키는데요 그런 것은 아주 강한 자극법으로 건강한 피부를 더욱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은 될 수 있지만 아토피가 이미 걸린 아이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자극이 됩니다. 그러니 그런 목욕법은 나중에 아토피가 다 좋아진 다음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그러면 도리어 외형상 악화가 반복되고 더 심하게 긁게 됩니다.
물이 너무 차갑거나 찬 물로 마무리해서 감기 걸리겠다 싶은 경우에는 물기를 닦은 후 더운 물을 한 잔 마시게 하면 됩니다. 속이 따뜻하면 감기는 걸리지 않습니다. 콧물 한 번 나오고 끝날 수 있습니다.
2) 찬 물수건으로 닦기기
땀을 흘리고 나면 많이 긁는 아이들은 피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땀을 흘리고 나면 반드시 찬 물수건으로 잘 닦고 드라이어로 찬 바람을 나오게 해서 완전히 말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햇빛이 좋은 날은 햇빛의 광선치료효과를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자면 땀은 나면 안되고 햇빛은 받아야하니까 바깥에ㅔ서 뛰어놀기 보다는 베란다나 햇살 좋은 옥상 같은 곳에서 놀게 하면서 찬 물수건으로 몸을 계속 닦아서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해주시면 됩니다.
2) 야채마사지하기
건조하면 긁는 아이들은 오이, 알로에, 양배추 같은 종류의 야채를 이용해서 충분한 보습을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제품화 되어 화장품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것들은 100% 전부 화공약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건조하면 긁는다고 로션을 많이 자주 바르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로션은 그 성분상 5번 이상 바르면 비누를 한 번 바르고 물로 씻지 않은 것과 동일한 상황이 됩니다. 로션 안에는 계면활성제가 들어있어서 그 량이 적다 뿐이지 비누와 다름 없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피부는 그 자극을 견뎌내지만 아토피 피부는 그 자극으로 도리어 악화됩니다.
따라서 일반 로션을 사용하시면 안되고 식물성 로션도 안되고 야채 그 자체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이마사지 양배추 마사지 알로에 마사지를 추천합니다. 단 알로에는 사용하실 때 껍질을 완전히 벗기고 속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야채마사지는 야채만으로 하기 보다는 야채를 갈거나 얇게 저며서 피부에 붙이고 그 위에 비닐이라 랩으로 싼 다음 찬 물수건을 계속 올려서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야채성분이 피부에 더 잘 흡수되게 하는 방법입니다. 대략 20분 정도 유지한 다음에 닦아내시면 됩니다.
3, 악화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
1) 먹는 음식물을 철저히 가려야 합니다.
음식물을 가리라고 하면 대부분 유제품이나 닭고기 계란 같은 것을 떠올리시는데요 그런 종류의 구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것 보다는 방부제 인공감미료 착색료 향신료등이 많이 든 과자류, 음료수류, 패스트푸드, 인스턴트음식 등등을 가리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매일 아이스크림 먹고 과자 먹으면서 가려움을 가라앉힐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치료는 더더욱 불가능합니다. 한참 자라는 아이들이라 다양한 영양의 흡수가 무엇보다 절실합니다. 그런데 잘 모르시는 분들은 과자나 아이스크림은 맘대로 먹이면서 계란이다 돼지고기다 그런 것만 가리시는데 그건 잘못 아시는 것입니다. 아토피가 환경병인 이유는 여러 혼합조미료들과 환경호르몬의 축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해독을 해야할 때에 독소를 누적시키면 당연히 악화됩니다.
2, 세탁을 잘 하셔야 합니다.
옷은 우리 피부에 늘 접해져있는, 피부입장에서 보자면 가장 큰 환경입니다. 특히 지금부터는 가을 겨울이라 옷을 두텁게 입게 되는데 이럴 때 합성세제로 빨고 섬유린스를 사용하게 되면 피부는 약하고 건조해지게 됩니다.
빨래비누를 작게 잘라서 스타킹이나 망사에 넣고 물이 담긴 세탁조 안에 담궈두면 물세제 처럼 풀리게 됩니다. 물세제도 있는데 왜 하필이면 이런 불편하고 구식인 방법을 추천하느냐? 그건 물세제 역시 제조 과정에서 나쁜 합성세제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빨래비누를 사용하세요. 이렇게 한 다음에 빨래를 돌리면 되고 헹굼의 마지막 단계에 넣는 섬유린스는 절대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섬유린스는 말 그대로 린스입니다. 린스를 사용하고 헹구지 말라니 말이나 될 버한 소립니까? 린스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혹 사용한다면 반드시 많이 헹궈야 합니다. 옷 냄새 조금 좋자고 피부를 망가뜨릴 수는 없죠.
4, 아토피에 관한 잘못된 관리 교정하기
1) 병원에서 알러지 반응 검사를 받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집먼지진드기다, 계란이다 등등 자신에게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서는 그것을 철저히 피하면 가렵지 않은 것으로 이해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착각입니다. 아토피는 면역계의 혼란이 오는 병이므로 검사를 한 번 하고 말면 모르지만 두 번 세 번 하게 되면 매 번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러지 반응 검사의 결과를 맹신하지 마시고 반드시 위에 알려드린 음식물 기준을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2) 가려움을 가라앉힌다는 목초액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그것은 무좀 같은 병에 항진균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아토피이면서 피부에 잡균이 많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목초액 사용으로 일시적인 호전을 느낄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에 지나친 자극이 되어 도리어 악화를 유발합니다.
감사합니다. ^^ 목욕법에 대해 질문이 있는데요... 먼저.. 이게 원리가 어떤 것일까요? 말씀하신 내용으로 본다면 그날 저녁때쯤한다면 그날 저녁에는 긁지 않는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단순히 피부에 적절한 자극으로 앞으로 건강해지게 만들어준다라는 의미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원리가 궁금하네요. 그리구.. 그렇다면 목욕법의 경우는 어느정도 자주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희 아이가 요즘은 긁지 않아서 당장 해보지 못해서 좀 아쉽네요(?).. ㅎㅎ 항상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토피는 피부생기가 극도로 저하된 것을 핵심으로 봅니다. 따라서 급작스러운 피부변화는 오히려 자극이 될 뿐입니다. 우선 더운 물 목욕은 피부에 충분한 피돌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피하에서부터 유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게 됩니다. 그러나 각질의 경화로 인해서 그 충분한 유수분이 도리어 가려움을 유발합니다. 피부가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유수분만 공급되면서 가려움을 찬 온도로 진정시켜주게 됩니다. 따라서 피부 안에서 보습제를 바른 것 같은 효과가 나게 됩니다.
다시 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목욕법의 원리가 유수분의 내부적 공급이라면..원장님도 말씀하셨듯이 지나친 수분 공급이 오히려 가려움을 유발하기도 하는데..아토피가 항상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는 아토피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각질화된 피부 밑에 수독이 쌓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요. 그런 경우라면 오히려 더 가려움을 유발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유수분 공급이 주 목적이라면.. 여러 다른 성분 때문에 기성의 로션 등이 안좋긴 하지만 로션을 바르면 당장 가려움이 줄어드나요..? 저의 경우는 안그렇던데요.. 천연화장품도 만들어 사용해봤습니다만 결과는 같았습니다.
따라서 치료 보다는 악화방지 또는 예방이 중요합니다.
(사실은 백신이 주원인이지만 백신 이야기는 불편하실 분들이 많으신 듯 해서 일단 뺍니다. 백신 안맞히면 예방도 가능한데 말입니다.^^)
2, 아토피 악화방지를 위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가려움을 가라앉히는 것이며 더 이상 긁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가려울 때 긁지말라는 것은 고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가렵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밤에 많이 긁는 아이들은 목욕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땀 난 후에 많이 긁는 아이들은 찬 물수건으로 땀을 잘 닦아주면 됩니다. 건조할 때 많이 긁는 아이들은 야채마사지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목욕법
대중탕의 온탕처럼 제법 많이 뜨끈뜨근한 온도의 물을 욕조에 가득 받아서(욕조가 없으면 샤워기로 한참 물을 내려도 됩니다.) 온 몸이 분홍색으로 변해서 덥다고 느낄 때 까지 몸을 충분히 데웁니다. 그런 다음에 욕조에서 나와서 천천히 미지근한 물부터 시작해서 샤워기로 온도를 점차 낮추며 몸을 충분히 식힙니다. 나중에는 감기들겠다 싶을 정도로 좀 차갑게 느낄 때 까지 합니다. 그 때 까지 차게 해도 아주 찬 물은 아닙니다. 이렇게 한 후 물기를 완전히 닦으면 잘 때 긁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민간에서 냉온욕이다 풍욕이다 해서 많이 시키는데요 그런 것은 아주 강한 자극법으로 건강한 피부를 더욱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은 될 수 있지만 아토피가 이미 걸린 아이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자극이 됩니다. 그러니 그런 목욕법은 나중에 아토피가 다 좋아진 다음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그러면 도리어 외형상 악화가 반복되고 더 심하게 긁게 됩니다.
물이 너무 차갑거나 찬 물로 마무리해서 감기 걸리겠다 싶은 경우에는 물기를 닦은 후 더운 물을 한 잔 마시게 하면 됩니다. 속이 따뜻하면 감기는 걸리지 않습니다. 콧물 한 번 나오고 끝날 수 있습니다.
2) 찬 물수건으로 닦기기
땀을 흘리고 나면 많이 긁는 아이들은 피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땀을 흘리고 나면 반드시 찬 물수건으로 잘 닦고 드라이어로 찬 바람을 나오게 해서 완전히 말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햇빛이 좋은 날은 햇빛의 광선치료효과를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자면 땀은 나면 안되고 햇빛은 받아야하니까 바깥에ㅔ서 뛰어놀기 보다는 베란다나 햇살 좋은 옥상 같은 곳에서 놀게 하면서 찬 물수건으로 몸을 계속 닦아서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해주시면 됩니다.
2) 야채마사지하기
건조하면 긁는 아이들은 오이, 알로에, 양배추 같은 종류의 야채를 이용해서 충분한 보습을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제품화 되어 화장품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것들은 100% 전부 화공약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건조하면 긁는다고 로션을 많이 자주 바르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로션은 그 성분상 5번 이상 바르면 비누를 한 번 바르고 물로 씻지 않은 것과 동일한 상황이 됩니다. 로션 안에는 계면활성제가 들어있어서 그 량이 적다 뿐이지 비누와 다름 없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피부는 그 자극을 견뎌내지만 아토피 피부는 그 자극으로 도리어 악화됩니다.
따라서 일반 로션을 사용하시면 안되고 식물성 로션도 안되고 야채 그 자체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이마사지 양배추 마사지 알로에 마사지를 추천합니다. 단 알로에는 사용하실 때 껍질을 완전히 벗기고 속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야채마사지는 야채만으로 하기 보다는 야채를 갈거나 얇게 저며서 피부에 붙이고 그 위에 비닐이라 랩으로 싼 다음 찬 물수건을 계속 올려서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야채성분이 피부에 더 잘 흡수되게 하는 방법입니다. 대략 20분 정도 유지한 다음에 닦아내시면 됩니다.
3, 악화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
1) 먹는 음식물을 철저히 가려야 합니다.
음식물을 가리라고 하면 대부분 유제품이나 닭고기 계란 같은 것을 떠올리시는데요 그런 종류의 구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것 보다는 방부제 인공감미료 착색료 향신료등이 많이 든 과자류, 음료수류, 패스트푸드, 인스턴트음식 등등을 가리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매일 아이스크림 먹고 과자 먹으면서 가려움을 가라앉힐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치료는 더더욱 불가능합니다. 한참 자라는 아이들이라 다양한 영양의 흡수가 무엇보다 절실합니다. 그런데 잘 모르시는 분들은 과자나 아이스크림은 맘대로 먹이면서 계란이다 돼지고기다 그런 것만 가리시는데 그건 잘못 아시는 것입니다. 아토피가 환경병인 이유는 여러 혼합조미료들과 환경호르몬의 축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해독을 해야할 때에 독소를 누적시키면 당연히 악화됩니다.
2, 세탁을 잘 하셔야 합니다.
옷은 우리 피부에 늘 접해져있는, 피부입장에서 보자면 가장 큰 환경입니다. 특히 지금부터는 가을 겨울이라 옷을 두텁게 입게 되는데 이럴 때 합성세제로 빨고 섬유린스를 사용하게 되면 피부는 약하고 건조해지게 됩니다.
빨래비누를 작게 잘라서 스타킹이나 망사에 넣고 물이 담긴 세탁조 안에 담궈두면 물세제 처럼 풀리게 됩니다. 물세제도 있는데 왜 하필이면 이런 불편하고 구식인 방법을 추천하느냐? 그건 물세제 역시 제조 과정에서 나쁜 합성세제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빨래비누를 사용하세요. 이렇게 한 다음에 빨래를 돌리면 되고 헹굼의 마지막 단계에 넣는 섬유린스는 절대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섬유린스는 말 그대로 린스입니다. 린스를 사용하고 헹구지 말라니 말이나 될 버한 소립니까? 린스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혹 사용한다면 반드시 많이 헹궈야 합니다. 옷 냄새 조금 좋자고 피부를 망가뜨릴 수는 없죠.
4, 아토피에 관한 잘못된 관리 교정하기
1) 병원에서 알러지 반응 검사를 받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집먼지진드기다, 계란이다 등등 자신에게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서는 그것을 철저히 피하면 가렵지 않은 것으로 이해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착각입니다. 아토피는 면역계의 혼란이 오는 병이므로 검사를 한 번 하고 말면 모르지만 두 번 세 번 하게 되면 매 번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러지 반응 검사의 결과를 맹신하지 마시고 반드시 위에 알려드린 음식물 기준을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2) 가려움을 가라앉힌다는 목초액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그것은 무좀 같은 병에 항진균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아토피이면서 피부에 잡균이 많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목초액 사용으로 일시적인 호전을 느낄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에 지나친 자극이 되어 도리어 악화를 유발합니다.
감사합니다. ^^ 목욕법에 대해 질문이 있는데요... 먼저.. 이게 원리가 어떤 것일까요? 말씀하신 내용으로 본다면 그날 저녁때쯤한다면 그날 저녁에는 긁지 않는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단순히 피부에 적절한 자극으로 앞으로 건강해지게 만들어준다라는 의미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원리가 궁금하네요. 그리구.. 그렇다면 목욕법의 경우는 어느정도 자주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희 아이가 요즘은 긁지 않아서 당장 해보지 못해서 좀 아쉽네요(?).. ㅎㅎ 항상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토피는 피부생기가 극도로 저하된 것을 핵심으로 봅니다. 따라서 급작스러운 피부변화는 오히려 자극이 될 뿐입니다. 우선 더운 물 목욕은 피부에 충분한 피돌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피하에서부터 유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게 됩니다. 그러나 각질의 경화로 인해서 그 충분한 유수분이 도리어 가려움을 유발합니다. 피부가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유수분만 공급되면서 가려움을 찬 온도로 진정시켜주게 됩니다. 따라서 피부 안에서 보습제를 바른 것 같은 효과가 나게 됩니다.
다시 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목욕법의 원리가 유수분의 내부적 공급이라면..원장님도 말씀하셨듯이 지나친 수분 공급이 오히려 가려움을 유발하기도 하는데..아토피가 항상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는 아토피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각질화된 피부 밑에 수독이 쌓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요. 그런 경우라면 오히려 더 가려움을 유발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유수분 공급이 주 목적이라면.. 여러 다른 성분 때문에 기성의 로션 등이 안좋긴 하지만 로션을 바르면 당장 가려움이 줄어드나요..? 저의 경우는 안그렇던데요.. 천연화장품도 만들어 사용해봤습니다만 결과는 같았습니다.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불부항요법
부항요법이 생체 반응에 미치는 효과
저압충격은 인체가 일상적으로 흔히 경험할 수 없는 자극으로서 생체반응에 여러 가지 새로운 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데 이 방법을 경락 원리에 입각해서 실시할 때 침, 뜸, 지압, 안마 등과 같은 양압물리요법과 또 다른 효과와 작용이 있는 것이다. 부항을 종래에는 침술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경락요법에서 사혈하는 수단으로만 이용되어 왔었는데 이는 외과적 방법으로서의 의미는 있지만 부항요법이 본래적으로 지닌 네거티브 충격효과에서 오는 정혈요법으로서의 근본적인 목적에서는 벗어난다고 보며 여기서는 부항을 침이나 뜸과는 전혀 별개의 독립한 치료 방법으로서 인체의 중추부에 위치하는 경락, 주로 임맥, 독맥, 신경, 간경, 방광경과 연관된 주행상의 부위에 8∼10개의 부항으로서 연속적인 저압 충격을 줌으로 생체활동에 대한 새로운 작용을 일으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부항요법은 변조한 생체에 일정한 물리적 충격을 주어 생리 기능을 재생시켜 인체에 본래 있는 자연 치유력을 소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외부적인 힘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의 저항력으로써 질병을 치유케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이 부항요법을 실시하는 동안은 안정된 정신 상태에서 시술을 받되 처음에는 약자극의 보법으로 시작하여 체내의 저항력이 증대됨에 따라 점차 강자극 요법으로 이행(최강의 사법일 때도 각 부항의 흡착시간은 5분 이내)하여 1일 1회씩 1개월 동안 시술을 계속하면 대부분의 만성질환도 쾌유 또는 현저한 차도를 가져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 피부에 미치는 영향
이 방법은 피부면을 통한 직접적인 저압 충격을 주기 때문에 피부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의 순환량을 증대시키고 피부 온도를 상승시켜 피부조직의 대사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한선과 피지선의 기능을 높이고 피부 호흡이 잘 되어 영양이 말단에 까지 고루 운반하게 된다. 또 이 방법은 체내의 어혈을 혈구로 해서 피하에 집중시켰다가 단백체와 혈청으로 분해시켜 일시에 확산 순환시킴으로써 고르지 못한 생리기능 자체를 재생, 복귀시키는 작용이 크지만 한편으로는 체내의 유독물을 피부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도 있다. 털구멍과 땀샘 피지 배설관으로부터 체액과 땀과 여드름 등이 배출되기 때문에 시술자의 손이 장시간 시술한 후에는 흔히 황색으로 착색이 되고 퀴퀴한 악취가 묻어나올 때가 있는데 환자 체내의 독소가 그만큼 피부면을 통해서 체외로 배출된 까닭이며 또 시술을 받은 2∼3일간은 체대 독소의 많은 부분은 소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오줌빛이 짙고 악취가 날 때가 있는데 그 후부터는 맑은 소변을 보게 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표피의 재생력과 저항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도의 건포마찰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더욱 신기한 것은 무좀, 습진, 두드러기 등 고질적인 피부 질환도 저압 하에는 한두 번의 시술만으로도 치유, 소멸되는 일이 많았다.
2. 근육에 미치는 영향
이 방법은 마찰하는 이상으로 피하 모세 혈관을 자극하여 근육내의 혈관운동이 흥분 확장하기 때문에 근육내의 혈류 속도가 급증하여 국소에 정체 침착한 울혈이나 충혈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시켜준다. 림프액의 순환과 내분비가 촉진되어 이 요법을 계속 실시한 여성은 피부면이 고와지고 얼굴의 기미가 걷혔으며 견비통과 근육통에 즉효가 있었다. 추울 때 이 부항요법을 시술한 후에는 체온이 상승하여 온 몸이 훈훈해지는데 이는 피부 온도와 근육 온도가 상승 근육내의 혈류 속도가 증대한 까닭이며 근력을 반사적으로 증강시키기 때문에 운동 부족에서 오는 장애에는 가장 효과적이라 하겠다.
3. 관절에 미치는 영향
만성 관절염 환자의 경우 침범된 주위와 그 중심부에 대해서 시술한 결과 가벼운 증세인 경우에는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관절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하고 대사 기능을 높여 관절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활액의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며 관절 주위의 근육의 유착이나 경직된 것을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4. 소화기 계통에 미치는 영향
복부의 네거티브 충격을 만성 위장질환에 매우 효과가 있었는데 시술 받는 사람의 공통적인 반응은 이 부항요법을 실시한 다음에 식욕이 급진적으로 호전되고 잠이 잘 오며 고질적인 변비도 불과 2∼3번의 시술로써 변통이 원활해진 경우가 많았다. 이는 물리적인 네거티브 충격을 직접적으로 위장 벽에 주기 때문에 위 또는 창자의 연동운동과 소화액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소화, 흡수, 배출능력을 강화시켜 만성 질환의 위장병이나 상습 변비에 특효가 있다. 임상례에서 보면 앉아서 하는 일을 하는 38세의 부인 환자는 처음엔 위암으로 오인할 만큼 유문 근방이 딱딱하고 식욕이 없으며 심한 변비화 잠을 못자서 고생하고 있었는데 이 요법을 20일간 매일 실시한 후에는 위문이 부드럽게 해소되고 변통이 잘 되었으며 불면증도 해소되고 식욕도 왕성해진 사례가 있다. 배부의 척추 신경과 자율신경에 대한 네거티브 충격은 체벽반사기전에 대한 작용 효과를 주어 소화기 계통을 비롯한 내장의 각 기관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 밖에도 호흡근의 강화, 비뇨생식기에 있어서의 이뇨작용과 배설 기능이 높아질 수 있다.
5.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부하요법은 피부의 감각 신경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지만 붙이지 않는 부위까지도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전반에 걸쳐 지나치게 아픔을 느끼지 않게 하는 억제 효과가 있다. 동쪽의 독맥과 방광경에 대한 충격으로써 자율신경계통 자체의 조정은 물론이지만 그 지배하에 있는 여러 내장 기관의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은 앞에 보인 내장체표 반사의 학설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요법은 내장 계통에 병의 근원이 없는 단순한 신경통은 즉각적인 효과가 있고 디스크로 인한 좌골 신경통에도 매우 좋다. 원인불명의 각종 부정수소(머리가 아프고 어깨가 뻐근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식욕이 없는 것들이 여러 가지로 겹쳐 나타나는 증세) 증후군과 고혈압, 신경통, 류머티즘들과 같은 내인성 만성병에 매우 효력이 있고 특히 등과 허리 시술시에 시술 받는 사람이 흔히 코를 골고 기분 좋게 잠들어 버리는 사례가 있는데 이점으로 미루어 보아도 신경계에 미치는 작용의 일단이라 할 수 있다.
6. 혈액에 미치는 영향
부항요법은 무엇보다도 혈액에 미치는 작용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신체내의 어혈을 표층에 유도해서 혈관의 배설작용에 의하여 혈중 독소를 뇨중에 배출하여 혈액을 정화하기 때문에 정혈 요법으로서 가장 큰 특색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인 혈액순환의 촉진으로 고혈압, 동맥경화증은 즉석에서 효과를 볼 수 있고 일체의 혈액 장애를 제거시키고 염증성의 삼출액이나 울혈을 순식간에 제거할 수 있다. 일본에서 혈액 애시도시스(산독증)학설로 유명한 고가따세 박사와 민간요법의 대가인 쓰끼다씨는 이 방법이 혈액상에도 영향을 주어 적, 백혈구를 증가시키고 산성 혈액을 약 알칼리성으로 증화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한다고 지적한 바 있으며 특히 복부에 대한 네거티브 충격은 장의 조혈 물질의 생산을 도와 전신의 혈액 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이 요법은 어혈성 질환인 졸중의 반신불수, 동맥경화증, 부인병, 만성위장병, 신경통, 폐결핵, 늑막염, 치질, 각기 냉증, 피부질환 등에 경이적인 효과가 있고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때문에 혈액 질환인 암환자에게도 가장 효과적인 정혈요법으로 자연 치유된 사례가 많이 있다.
저압충격은 인체가 일상적으로 흔히 경험할 수 없는 자극으로서 생체반응에 여러 가지 새로운 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데 이 방법을 경락 원리에 입각해서 실시할 때 침, 뜸, 지압, 안마 등과 같은 양압물리요법과 또 다른 효과와 작용이 있는 것이다. 부항을 종래에는 침술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경락요법에서 사혈하는 수단으로만 이용되어 왔었는데 이는 외과적 방법으로서의 의미는 있지만 부항요법이 본래적으로 지닌 네거티브 충격효과에서 오는 정혈요법으로서의 근본적인 목적에서는 벗어난다고 보며 여기서는 부항을 침이나 뜸과는 전혀 별개의 독립한 치료 방법으로서 인체의 중추부에 위치하는 경락, 주로 임맥, 독맥, 신경, 간경, 방광경과 연관된 주행상의 부위에 8∼10개의 부항으로서 연속적인 저압 충격을 줌으로 생체활동에 대한 새로운 작용을 일으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부항요법은 변조한 생체에 일정한 물리적 충격을 주어 생리 기능을 재생시켜 인체에 본래 있는 자연 치유력을 소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외부적인 힘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의 저항력으로써 질병을 치유케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이 부항요법을 실시하는 동안은 안정된 정신 상태에서 시술을 받되 처음에는 약자극의 보법으로 시작하여 체내의 저항력이 증대됨에 따라 점차 강자극 요법으로 이행(최강의 사법일 때도 각 부항의 흡착시간은 5분 이내)하여 1일 1회씩 1개월 동안 시술을 계속하면 대부분의 만성질환도 쾌유 또는 현저한 차도를 가져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 피부에 미치는 영향
이 방법은 피부면을 통한 직접적인 저압 충격을 주기 때문에 피부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의 순환량을 증대시키고 피부 온도를 상승시켜 피부조직의 대사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한선과 피지선의 기능을 높이고 피부 호흡이 잘 되어 영양이 말단에 까지 고루 운반하게 된다. 또 이 방법은 체내의 어혈을 혈구로 해서 피하에 집중시켰다가 단백체와 혈청으로 분해시켜 일시에 확산 순환시킴으로써 고르지 못한 생리기능 자체를 재생, 복귀시키는 작용이 크지만 한편으로는 체내의 유독물을 피부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도 있다. 털구멍과 땀샘 피지 배설관으로부터 체액과 땀과 여드름 등이 배출되기 때문에 시술자의 손이 장시간 시술한 후에는 흔히 황색으로 착색이 되고 퀴퀴한 악취가 묻어나올 때가 있는데 환자 체내의 독소가 그만큼 피부면을 통해서 체외로 배출된 까닭이며 또 시술을 받은 2∼3일간은 체대 독소의 많은 부분은 소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오줌빛이 짙고 악취가 날 때가 있는데 그 후부터는 맑은 소변을 보게 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표피의 재생력과 저항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도의 건포마찰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더욱 신기한 것은 무좀, 습진, 두드러기 등 고질적인 피부 질환도 저압 하에는 한두 번의 시술만으로도 치유, 소멸되는 일이 많았다.
2. 근육에 미치는 영향
이 방법은 마찰하는 이상으로 피하 모세 혈관을 자극하여 근육내의 혈관운동이 흥분 확장하기 때문에 근육내의 혈류 속도가 급증하여 국소에 정체 침착한 울혈이나 충혈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시켜준다. 림프액의 순환과 내분비가 촉진되어 이 요법을 계속 실시한 여성은 피부면이 고와지고 얼굴의 기미가 걷혔으며 견비통과 근육통에 즉효가 있었다. 추울 때 이 부항요법을 시술한 후에는 체온이 상승하여 온 몸이 훈훈해지는데 이는 피부 온도와 근육 온도가 상승 근육내의 혈류 속도가 증대한 까닭이며 근력을 반사적으로 증강시키기 때문에 운동 부족에서 오는 장애에는 가장 효과적이라 하겠다.
3. 관절에 미치는 영향
만성 관절염 환자의 경우 침범된 주위와 그 중심부에 대해서 시술한 결과 가벼운 증세인 경우에는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관절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하고 대사 기능을 높여 관절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활액의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며 관절 주위의 근육의 유착이나 경직된 것을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4. 소화기 계통에 미치는 영향
복부의 네거티브 충격을 만성 위장질환에 매우 효과가 있었는데 시술 받는 사람의 공통적인 반응은 이 부항요법을 실시한 다음에 식욕이 급진적으로 호전되고 잠이 잘 오며 고질적인 변비도 불과 2∼3번의 시술로써 변통이 원활해진 경우가 많았다. 이는 물리적인 네거티브 충격을 직접적으로 위장 벽에 주기 때문에 위 또는 창자의 연동운동과 소화액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소화, 흡수, 배출능력을 강화시켜 만성 질환의 위장병이나 상습 변비에 특효가 있다. 임상례에서 보면 앉아서 하는 일을 하는 38세의 부인 환자는 처음엔 위암으로 오인할 만큼 유문 근방이 딱딱하고 식욕이 없으며 심한 변비화 잠을 못자서 고생하고 있었는데 이 요법을 20일간 매일 실시한 후에는 위문이 부드럽게 해소되고 변통이 잘 되었으며 불면증도 해소되고 식욕도 왕성해진 사례가 있다. 배부의 척추 신경과 자율신경에 대한 네거티브 충격은 체벽반사기전에 대한 작용 효과를 주어 소화기 계통을 비롯한 내장의 각 기관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 밖에도 호흡근의 강화, 비뇨생식기에 있어서의 이뇨작용과 배설 기능이 높아질 수 있다.
5.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부하요법은 피부의 감각 신경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지만 붙이지 않는 부위까지도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전반에 걸쳐 지나치게 아픔을 느끼지 않게 하는 억제 효과가 있다. 동쪽의 독맥과 방광경에 대한 충격으로써 자율신경계통 자체의 조정은 물론이지만 그 지배하에 있는 여러 내장 기관의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은 앞에 보인 내장체표 반사의 학설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요법은 내장 계통에 병의 근원이 없는 단순한 신경통은 즉각적인 효과가 있고 디스크로 인한 좌골 신경통에도 매우 좋다. 원인불명의 각종 부정수소(머리가 아프고 어깨가 뻐근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식욕이 없는 것들이 여러 가지로 겹쳐 나타나는 증세) 증후군과 고혈압, 신경통, 류머티즘들과 같은 내인성 만성병에 매우 효력이 있고 특히 등과 허리 시술시에 시술 받는 사람이 흔히 코를 골고 기분 좋게 잠들어 버리는 사례가 있는데 이점으로 미루어 보아도 신경계에 미치는 작용의 일단이라 할 수 있다.
6. 혈액에 미치는 영향
부항요법은 무엇보다도 혈액에 미치는 작용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신체내의 어혈을 표층에 유도해서 혈관의 배설작용에 의하여 혈중 독소를 뇨중에 배출하여 혈액을 정화하기 때문에 정혈 요법으로서 가장 큰 특색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인 혈액순환의 촉진으로 고혈압, 동맥경화증은 즉석에서 효과를 볼 수 있고 일체의 혈액 장애를 제거시키고 염증성의 삼출액이나 울혈을 순식간에 제거할 수 있다. 일본에서 혈액 애시도시스(산독증)학설로 유명한 고가따세 박사와 민간요법의 대가인 쓰끼다씨는 이 방법이 혈액상에도 영향을 주어 적, 백혈구를 증가시키고 산성 혈액을 약 알칼리성으로 증화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한다고 지적한 바 있으며 특히 복부에 대한 네거티브 충격은 장의 조혈 물질의 생산을 도와 전신의 혈액 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이 요법은 어혈성 질환인 졸중의 반신불수, 동맥경화증, 부인병, 만성위장병, 신경통, 폐결핵, 늑막염, 치질, 각기 냉증, 피부질환 등에 경이적인 효과가 있고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때문에 혈액 질환인 암환자에게도 가장 효과적인 정혈요법으로 자연 치유된 사례가 많이 있다.
2008년 6월 27일 금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동의보감 번역 22 등
$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등뒤에 3관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머리뒷꼭지를 옥침관(玉枕關)이라고 하고 등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 關)이라고 하며 수(水)와 화(火)가 사귀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이 바로 정
雪精氣)가 오르내리는 길이다[정리].
○ 사람의 척골(脊骨)은 24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뼈마디의 끝을 미려혈(尾閭穴)이라고 한다. 또는 용호혈(龍虎穴), 조계로(曹溪路), 삼분로(三 路), 하거로(河車路), 조천령(朝天嶺), 상천제(上天梯)라고도 한
다.
○ 미려혈(尾閭穴)이 있는 곳의 등뼈의 꼭대기는 동금(潼金)과 같이 동그란데 그 위에는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안팎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여기를 바로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 척추골의 양쪽에 3줄기의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위로 올라가서 곧바로 정수리에 있는 이환궁(泥丸宮)에까지 갔다가 위로 돌아내려와서 단전(丹田)에까지 갔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미려혈에 연락된다.
○ 미려혈이 바로 하관(下關)이다. 아래로부터 18번째 뼈마디가 있는 곳이 중관(中關)이며 이환궁은 상관(上關)이다. 이것이 3관(三關)이다[정리].
$
맥 보는 법[脈法]/등
『영추』에는 신맥(腎脈)이 몹시 완(緩)한 것은 척추가 부러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는 촌구맥(寸口脈)이 위쪽으로 몹시 뛰는 것은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맥이 대(大)한 것은 명치 밑에 유음(留飮)이 있는 것이므로 그런 사람은 등이 차다[중경].
○ 대체로 등이 몹시 오싹오싹할 때에는 맥이 부대(浮大)하고 힘이 없는데 이것은 양기가 허한 것이다[단심].
$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背爲胸府]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 그러므로 등이 구부러지고 어깨가 굽어들면 장차 가슴이 상한다[내경].
○ 『내경』 원문에 가슴이 표현되는 곳이다고 씌어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
등이 시린 것[背寒]
속에 한담(寒痰)이 잠복되어 있으면 등에 손바닥만큼 찬 데가 있다[직지].
○ 등이 오싹오싹한 것은 담음증(痰飮證)이다. 중경은 명치 밑에 유음이 있으면 등이 오싹오싹하면서 얼음같이 차다고 하였다. 이런 데는 복령환(茯 丸,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강목].
○ 등복판에 늘 한 조각의 얼음이 있는 것같이 찬 곳이 있는 것은 담음(痰飮)이 있는 것이다. 이런 데는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과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함께 쓴다[입문].
○ 대체로 매일 등에서 찬 기운이 줄기로 뻗치는 것은 담이 있기 때문이므로 토하게 하던가 설사시켜야 한다[단심].
○ 등이 찬 증상에는 음증도 있고 양증도 있다. 상한소음증(傷寒少陰證)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은 아무렇지도 않으나 양명증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이 마른다. 이것은 한열(寒熱)의 다른 표현이다[
입문].
○ 등이 찬 데는 어한고를 붙이는 것이 좋다[의감].
어한고(禦寒膏)
몸이 허약한 사람이 등이 오싹오싹하거나 여름에 옷벗기를 싫어하는 것과 부인이 몸푼 뒤에 풍랭(風冷)을 받아서 손발이 차고 아프며 뼈까지 쏘는[痛] 것과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320g(즙을 낸다), 좋은 ☞3170;아교 120g, ☞4073;유향, ☞4106;몰약 각각 6g.
위의 약들을 동으로 만든 자루가 달린 냄비에 넣고 달여 녹인 다음 그 냄비를 끓인 물 속에 옮겨 놓고 빨리 버드나무가지로 저어서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조피열매가루를 조금 넣고 다시 고루 저어서 피지(皮紙)㈜에
발라 시린 곳에 붙인다. 그다음 신바닥을 불에 뜨겁게 달구워 약 붙인 곳에 문지르고 5-6일이 지나서 약을 떼버린다. 혹 작은 헌데가 생길 수도 있는데 아무일 없다[의감].
[註] 피지(皮紙) : 닥나무껍질로 만든 품질이 낮은 종이.
$
등이 다는 것[背熱]
등이 다는 것과 폐(肺)와 연관된다. 폐는 상초(上焦)에 있기 때문에 열은 등에 나타난다[입문].
$
등이 아픈 것[背痛]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은 폐(肺)와 연관된다. 『내경』에 서풍은 가을에 부는데 이 바람에 의해서는 폐에 병이 생긴다. 그 유혈(兪穴)은 어깨와 등에 있으므로 가을 기운으로 생기는 병은 어깨와 등에 생긴다. 가을에
맥이 너무 지나치면 기가 치밀어 올라 등이 아프고 말째다[ 然]고 씌어 있다[강목].
○ 폐에 병이 생기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기(氣)가 치밀어 오르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땀이 난다. 또 사기가 신(腎)에 있으면 어깨와 등과 목이 아프다[영추].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통기방풍탕을 쓰고 등뼈가 아프고 목이 뼛뼛하며 허리가 끊어지는 것 같고 목이 빠지는 것 같은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을 쓴다.
○ 잔등 복판의 한 곳이 아픈 데는 삼합탕을 쓴다[의감].
○ 등뼈와 어깨박죽[胛]의 한가운데가 아픈 데는 창출복전탕을 쓴다[단심].
○ 엉덩이 끝이 아픈 것은 음(陰)이 허(虛)하고 방광에 화(火)가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3848;지모
와 황백, ☞4009;계지를 조금 넣어 쓰고 담이 있으면 사물탕과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택사, ☞3861;전호, ☞3763;목향을 인경약으로 넣어 쓰며 몹시 아플 때에는 ☞4073;유향, ☞4106;몰약을 넣어 쓴다[입문].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손으로 일하는 기술자들과 선비나 부인들 가운데서 고생을 이겨내면서 무척 애를 쓰는 사람들에게 많다. 또한 지나치게 성생활하는 사람에게도 생긴다. 이런 때에
는 고황혈(膏 穴)에 뜸을 뜨면 잘 낫는다[자생].
○ 어떤 남자가 한줄기의 통증이 등과 어깨박죽[胛]이 붙은 곳에서부터 어깨로 올라갔다가 앞가슴으로 넘어와 양 옆구리에까지 뻗는데 그 통증이 밤낮으로 멎지 않았다. 그리하여 맥을 짚어 보니 현삭(弦數)한데 꾹
㈇8芮더 크게 뛰고 좌측맥이 우측맥보다 더 컸다. 그리하여 나는 등과 어깻죽지(脾)는 소장경(小腸經)에 속하고 가슴과 옆구리는 담경(膽經)에 속하니 이것은 지나치게 사색하여 심을 상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이것은 아직 심에는 병이 생기지 않고 소장에 먼저 병이 생긴 것인다. 그러므로 병이 등과 어깻죽지에서부터 생긴 것이다. 여러 가지로 사고하면서 결단하지 못하는 것은 담(膽)과 연관된 것이다. 때문에 통증이
가슴과 옆구리에까지 미치게 된다. 이것은 소장(小腸)의 화가 담목(膽木)을 타 누르는 것([乘]아들이 어머니를 누르는 격)인데 실사(實邪)라고 한다. 환자에게 사연을 물어보니 과연 무슨 일을 하려다가 성공하지 못
漫 병이 생겼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3743;인삼 1.6g과 으름덩굴(목통) 0.8g을 달인 물로 용회환(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몇 번 먹였는데 나았다[단계].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태양경(太陽經)에 한습(寒濕)이 침범하여 어깨와 등이 아파서 목을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열(風熱)이 폐를 침범해서 폐기(肺氣)가 몹시 몰려 어깨와 등이 아픈 것도 낫게 한다.
, ☞3760;승마, ☞3756;시호 각각 4g, ☞3792;방풍, 강호리(☞3759;강활), 귤껍질(陳皮), ☞3743;인삼, ☞3745;감초 각각 2g, 선귤껍질(청피) 1.2g, ☞3919;백두구, 황백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삼합탕(三合湯)
잔등 가운데의 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향소산(香蘇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섞은 데 강호리(
☞3759;강활), 삽주(☞3751;창출)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창출복전탕(蒼朮復煎湯)
한습이 함께 침범하여 속골과 등뼈, 어깨박죽[胛] 가운데와 무릎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3751;창출) 160g.
위의 약들을 물 2사발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강호리(☞3759;강활), ☞3760;승마, 택사, ☞3756;시호, ☞3865;고본, 흰삽주(☞3750;백출) 각각 2g과 황백 1.2g, 잇꽃(홍화) 적은 양을 썰어서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단심].
$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독맥의 별락[別名]을 장강(長强)이라고 하는데 그 경맥이 병들어 실해지면 등뼈가 뻣뼛해진다[영추].
○ 족태양경맥이 병들면 허리와 등이 뻣뻣하고 아프다[영추].
○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냉기(冷氣)가 침범하여 치밀면 등심(背 )과 허리, 등뼈가 뻣뻣해서 잘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한다. 이런 데는 오침탕(烏沈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등이 아파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족태양경과 수태양경에 습(濕)이 침범하여 기가 몰려서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
밗쓴다.
$
곱사등[背 ]
습사가 침범하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어 병신이 된다. 이런 데는 ☞3934;감수 4g을 가루를 내어 돼지콩팥 속에 넣어서 잿불에 묻어 구워 먹으면 토하고 설사하면서 낫는다[입문].
○ 어떤 사람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었는데 맥(脈)은 침현(沈弦)하면서 세(細)하였다. 그리하여 외신산( 腎散, 처방은 3법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토하면서 설사하였다. 이것을 세번 먹고 나았다[단심].
○ 허리등뼈[腰脊] 사이의 뼈마디가 도드라져 나오는 것도 습사의 침습을 받은 것이다. 『내경』에는 습열(濕熱)이 없어지지 않으면 큰 힘줄은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은 늘어져서 길어진다. 오그라져서 짧
팁嗤芮당기고 늘어져서 길어지면 힘이 없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큰 힘줄이 열을 받으면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이 습을 받으면 늘어나서 길어진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되면 곱사등이 되면서 뼈마디
도드라져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방법대로 치료해야 한다[강목].
○ 늙은이가 곱사등이 되는 것은 바로 정수가 부족하고 독맥이 허하기 때문이므로 신을 보하고 정수(精髓)를 돕는 약을 써야 한다[유취].
$
귀배(龜背)
(소아문(小兒門)에 자세하게 있다)
$
단방(單方)/등
모두 4가지이다.
(羌活, 강호리)
풍습으로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여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獨活, 땃두릅)
습(濕)에 상하여 목을 들기 힘들어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술과 물을 섞은 데 달여 먹는다[본초].
(烏藥)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있던 냉기가 등심[背 ]으로 치미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탕액].
( 臍, 해구신)
주로 등뼈와 어깨뼈가 뻐근하거나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담갔다가 구워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침뜸치료[鍼灸法]/등
등뼈가 뻣뻣하고 아픈 데는 인중혈(人中穴)에 놓는다[강목].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수삼리혈(手三里穴)에 놓는다[강목].
○ 등에서부터 어깻죽지(脾)까지 아픈 데는 오추(五樞), 곤륜(崑崙), 현종(懸鍾), 견정(肩井) 혈과 갑봉(胛縫, 이 혈은 견갑골쪽으로 견봉 끝에서 곧추 팔로 2치 5푼 내려가서 잡는데 여섯번 숨쉴 동안 사한다)혈을
눼晩강목].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이런 데는 고황혈(膏 穴)이 중요하게 쓰인다. 혹은 등에서 먼저 아프기 시작하여 어깨 위로 당기면서 아픈 것은 고황에 병이 든 것이므로 고황유혈(膏 兪穴)과
견정혈(肩井穴)에 뜸을 뜨면 나을 수 있다[자생].
$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등뒤에 3관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머리뒷꼭지를 옥침관(玉枕關)이라고 하고 등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 關)이라고 하며 수(水)와 화(火)가 사귀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이 바로 정
雪精氣)가 오르내리는 길이다[정리].
○ 사람의 척골(脊骨)은 24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뼈마디의 끝을 미려혈(尾閭穴)이라고 한다. 또는 용호혈(龍虎穴), 조계로(曹溪路), 삼분로(三 路), 하거로(河車路), 조천령(朝天嶺), 상천제(上天梯)라고도 한
다.
○ 미려혈(尾閭穴)이 있는 곳의 등뼈의 꼭대기는 동금(潼金)과 같이 동그란데 그 위에는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안팎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여기를 바로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 척추골의 양쪽에 3줄기의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위로 올라가서 곧바로 정수리에 있는 이환궁(泥丸宮)에까지 갔다가 위로 돌아내려와서 단전(丹田)에까지 갔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미려혈에 연락된다.
○ 미려혈이 바로 하관(下關)이다. 아래로부터 18번째 뼈마디가 있는 곳이 중관(中關)이며 이환궁은 상관(上關)이다. 이것이 3관(三關)이다[정리].
$
맥 보는 법[脈法]/등
『영추』에는 신맥(腎脈)이 몹시 완(緩)한 것은 척추가 부러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는 촌구맥(寸口脈)이 위쪽으로 몹시 뛰는 것은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맥이 대(大)한 것은 명치 밑에 유음(留飮)이 있는 것이므로 그런 사람은 등이 차다[중경].
○ 대체로 등이 몹시 오싹오싹할 때에는 맥이 부대(浮大)하고 힘이 없는데 이것은 양기가 허한 것이다[단심].
$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背爲胸府]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 그러므로 등이 구부러지고 어깨가 굽어들면 장차 가슴이 상한다[내경].
○ 『내경』 원문에 가슴이 표현되는 곳이다고 씌어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
등이 시린 것[背寒]
속에 한담(寒痰)이 잠복되어 있으면 등에 손바닥만큼 찬 데가 있다[직지].
○ 등이 오싹오싹한 것은 담음증(痰飮證)이다. 중경은 명치 밑에 유음이 있으면 등이 오싹오싹하면서 얼음같이 차다고 하였다. 이런 데는 복령환(茯 丸,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강목].
○ 등복판에 늘 한 조각의 얼음이 있는 것같이 찬 곳이 있는 것은 담음(痰飮)이 있는 것이다. 이런 데는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과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함께 쓴다[입문].
○ 대체로 매일 등에서 찬 기운이 줄기로 뻗치는 것은 담이 있기 때문이므로 토하게 하던가 설사시켜야 한다[단심].
○ 등이 찬 증상에는 음증도 있고 양증도 있다. 상한소음증(傷寒少陰證)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은 아무렇지도 않으나 양명증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이 마른다. 이것은 한열(寒熱)의 다른 표현이다[
입문].
○ 등이 찬 데는 어한고를 붙이는 것이 좋다[의감].
어한고(禦寒膏)
몸이 허약한 사람이 등이 오싹오싹하거나 여름에 옷벗기를 싫어하는 것과 부인이 몸푼 뒤에 풍랭(風冷)을 받아서 손발이 차고 아프며 뼈까지 쏘는[痛] 것과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320g(즙을 낸다), 좋은 ☞3170;아교 120g, ☞4073;유향, ☞4106;몰약 각각 6g.
위의 약들을 동으로 만든 자루가 달린 냄비에 넣고 달여 녹인 다음 그 냄비를 끓인 물 속에 옮겨 놓고 빨리 버드나무가지로 저어서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조피열매가루를 조금 넣고 다시 고루 저어서 피지(皮紙)㈜에
발라 시린 곳에 붙인다. 그다음 신바닥을 불에 뜨겁게 달구워 약 붙인 곳에 문지르고 5-6일이 지나서 약을 떼버린다. 혹 작은 헌데가 생길 수도 있는데 아무일 없다[의감].
[註] 피지(皮紙) : 닥나무껍질로 만든 품질이 낮은 종이.
$
등이 다는 것[背熱]
등이 다는 것과 폐(肺)와 연관된다. 폐는 상초(上焦)에 있기 때문에 열은 등에 나타난다[입문].
$
등이 아픈 것[背痛]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은 폐(肺)와 연관된다. 『내경』에 서풍은 가을에 부는데 이 바람에 의해서는 폐에 병이 생긴다. 그 유혈(兪穴)은 어깨와 등에 있으므로 가을 기운으로 생기는 병은 어깨와 등에 생긴다. 가을에
맥이 너무 지나치면 기가 치밀어 올라 등이 아프고 말째다[ 然]고 씌어 있다[강목].
○ 폐에 병이 생기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기(氣)가 치밀어 오르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땀이 난다. 또 사기가 신(腎)에 있으면 어깨와 등과 목이 아프다[영추].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통기방풍탕을 쓰고 등뼈가 아프고 목이 뼛뼛하며 허리가 끊어지는 것 같고 목이 빠지는 것 같은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을 쓴다.
○ 잔등 복판의 한 곳이 아픈 데는 삼합탕을 쓴다[의감].
○ 등뼈와 어깨박죽[胛]의 한가운데가 아픈 데는 창출복전탕을 쓴다[단심].
○ 엉덩이 끝이 아픈 것은 음(陰)이 허(虛)하고 방광에 화(火)가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3848;지모
와 황백, ☞4009;계지를 조금 넣어 쓰고 담이 있으면 사물탕과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택사, ☞3861;전호, ☞3763;목향을 인경약으로 넣어 쓰며 몹시 아플 때에는 ☞4073;유향, ☞4106;몰약을 넣어 쓴다[입문].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손으로 일하는 기술자들과 선비나 부인들 가운데서 고생을 이겨내면서 무척 애를 쓰는 사람들에게 많다. 또한 지나치게 성생활하는 사람에게도 생긴다. 이런 때에
는 고황혈(膏 穴)에 뜸을 뜨면 잘 낫는다[자생].
○ 어떤 남자가 한줄기의 통증이 등과 어깨박죽[胛]이 붙은 곳에서부터 어깨로 올라갔다가 앞가슴으로 넘어와 양 옆구리에까지 뻗는데 그 통증이 밤낮으로 멎지 않았다. 그리하여 맥을 짚어 보니 현삭(弦數)한데 꾹
㈇8芮더 크게 뛰고 좌측맥이 우측맥보다 더 컸다. 그리하여 나는 등과 어깻죽지(脾)는 소장경(小腸經)에 속하고 가슴과 옆구리는 담경(膽經)에 속하니 이것은 지나치게 사색하여 심을 상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이것은 아직 심에는 병이 생기지 않고 소장에 먼저 병이 생긴 것인다. 그러므로 병이 등과 어깻죽지에서부터 생긴 것이다. 여러 가지로 사고하면서 결단하지 못하는 것은 담(膽)과 연관된 것이다. 때문에 통증이
가슴과 옆구리에까지 미치게 된다. 이것은 소장(小腸)의 화가 담목(膽木)을 타 누르는 것([乘]아들이 어머니를 누르는 격)인데 실사(實邪)라고 한다. 환자에게 사연을 물어보니 과연 무슨 일을 하려다가 성공하지 못
漫 병이 생겼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3743;인삼 1.6g과 으름덩굴(목통) 0.8g을 달인 물로 용회환(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몇 번 먹였는데 나았다[단계].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태양경(太陽經)에 한습(寒濕)이 침범하여 어깨와 등이 아파서 목을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열(風熱)이 폐를 침범해서 폐기(肺氣)가 몹시 몰려 어깨와 등이 아픈 것도 낫게 한다.
, ☞3760;승마, ☞3756;시호 각각 4g, ☞3792;방풍, 강호리(☞3759;강활), 귤껍질(陳皮), ☞3743;인삼, ☞3745;감초 각각 2g, 선귤껍질(청피) 1.2g, ☞3919;백두구, 황백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삼합탕(三合湯)
잔등 가운데의 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향소산(香蘇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섞은 데 강호리(
☞3759;강활), 삽주(☞3751;창출)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창출복전탕(蒼朮復煎湯)
한습이 함께 침범하여 속골과 등뼈, 어깨박죽[胛] 가운데와 무릎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3751;창출) 160g.
위의 약들을 물 2사발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강호리(☞3759;강활), ☞3760;승마, 택사, ☞3756;시호, ☞3865;고본, 흰삽주(☞3750;백출) 각각 2g과 황백 1.2g, 잇꽃(홍화) 적은 양을 썰어서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단심].
$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독맥의 별락[別名]을 장강(長强)이라고 하는데 그 경맥이 병들어 실해지면 등뼈가 뻣뼛해진다[영추].
○ 족태양경맥이 병들면 허리와 등이 뻣뻣하고 아프다[영추].
○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냉기(冷氣)가 침범하여 치밀면 등심(背 )과 허리, 등뼈가 뻣뻣해서 잘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한다. 이런 데는 오침탕(烏沈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등이 아파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족태양경과 수태양경에 습(濕)이 침범하여 기가 몰려서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
밗쓴다.
$
곱사등[背 ]
습사가 침범하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어 병신이 된다. 이런 데는 ☞3934;감수 4g을 가루를 내어 돼지콩팥 속에 넣어서 잿불에 묻어 구워 먹으면 토하고 설사하면서 낫는다[입문].
○ 어떤 사람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었는데 맥(脈)은 침현(沈弦)하면서 세(細)하였다. 그리하여 외신산( 腎散, 처방은 3법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토하면서 설사하였다. 이것을 세번 먹고 나았다[단심].
○ 허리등뼈[腰脊] 사이의 뼈마디가 도드라져 나오는 것도 습사의 침습을 받은 것이다. 『내경』에는 습열(濕熱)이 없어지지 않으면 큰 힘줄은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은 늘어져서 길어진다. 오그라져서 짧
팁嗤芮당기고 늘어져서 길어지면 힘이 없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큰 힘줄이 열을 받으면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이 습을 받으면 늘어나서 길어진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되면 곱사등이 되면서 뼈마디
도드라져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방법대로 치료해야 한다[강목].
○ 늙은이가 곱사등이 되는 것은 바로 정수가 부족하고 독맥이 허하기 때문이므로 신을 보하고 정수(精髓)를 돕는 약을 써야 한다[유취].
$
귀배(龜背)
(소아문(小兒門)에 자세하게 있다)
$
단방(單方)/등
모두 4가지이다.
(羌活, 강호리)
풍습으로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여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獨活, 땃두릅)
습(濕)에 상하여 목을 들기 힘들어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술과 물을 섞은 데 달여 먹는다[본초].
(烏藥)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있던 냉기가 등심[背 ]으로 치미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탕액].
( 臍, 해구신)
주로 등뼈와 어깨뼈가 뻐근하거나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담갔다가 구워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침뜸치료[鍼灸法]/등
등뼈가 뻣뻣하고 아픈 데는 인중혈(人中穴)에 놓는다[강목].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수삼리혈(手三里穴)에 놓는다[강목].
○ 등에서부터 어깻죽지(脾)까지 아픈 데는 오추(五樞), 곤륜(崑崙), 현종(懸鍾), 견정(肩井) 혈과 갑봉(胛縫, 이 혈은 견갑골쪽으로 견봉 끝에서 곧추 팔로 2치 5푼 내려가서 잡는데 여섯번 숨쉴 동안 사한다)혈을
눼晩강목].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이런 데는 고황혈(膏 穴)이 중요하게 쓰인다. 혹은 등에서 먼저 아프기 시작하여 어깨 위로 당기면서 아픈 것은 고황에 병이 든 것이므로 고황유혈(膏 兪穴)과
견정혈(肩井穴)에 뜸을 뜨면 나을 수 있다[자생].
$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동의보감 번역 22 등
$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등뒤에 3관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머리뒷꼭지를 옥침관(玉枕關)이라고 하고 등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 關)이라고 하며 수(水)와 화(火)가 사귀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이 바로 정
雪精氣)가 오르내리는 길이다[정리].
○ 사람의 척골(脊骨)은 24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뼈마디의 끝을 미려혈(尾閭穴)이라고 한다. 또는 용호혈(龍虎穴), 조계로(曹溪路), 삼분로(三 路), 하거로(河車路), 조천령(朝天嶺), 상천제(上天梯)라고도 한
다.
○ 미려혈(尾閭穴)이 있는 곳의 등뼈의 꼭대기는 동금(潼金)과 같이 동그란데 그 위에는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안팎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여기를 바로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 척추골의 양쪽에 3줄기의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위로 올라가서 곧바로 정수리에 있는 이환궁(泥丸宮)에까지 갔다가 위로 돌아내려와서 단전(丹田)에까지 갔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미려혈에 연락된다.
○ 미려혈이 바로 하관(下關)이다. 아래로부터 18번째 뼈마디가 있는 곳이 중관(中關)이며 이환궁은 상관(上關)이다. 이것이 3관(三關)이다[정리].
$
맥 보는 법[脈法]/등
『영추』에는 신맥(腎脈)이 몹시 완(緩)한 것은 척추가 부러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는 촌구맥(寸口脈)이 위쪽으로 몹시 뛰는 것은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맥이 대(大)한 것은 명치 밑에 유음(留飮)이 있는 것이므로 그런 사람은 등이 차다[중경].
○ 대체로 등이 몹시 오싹오싹할 때에는 맥이 부대(浮大)하고 힘이 없는데 이것은 양기가 허한 것이다[단심].
$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背爲胸府]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 그러므로 등이 구부러지고 어깨가 굽어들면 장차 가슴이 상한다[내경].
○ 『내경』 원문에 가슴이 표현되는 곳이다고 씌어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
등이 시린 것[背寒]
속에 한담(寒痰)이 잠복되어 있으면 등에 손바닥만큼 찬 데가 있다[직지].
○ 등이 오싹오싹한 것은 담음증(痰飮證)이다. 중경은 명치 밑에 유음이 있으면 등이 오싹오싹하면서 얼음같이 차다고 하였다. 이런 데는 복령환(茯 丸,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강목].
○ 등복판에 늘 한 조각의 얼음이 있는 것같이 찬 곳이 있는 것은 담음(痰飮)이 있는 것이다. 이런 데는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과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함께 쓴다[입문].
○ 대체로 매일 등에서 찬 기운이 줄기로 뻗치는 것은 담이 있기 때문이므로 토하게 하던가 설사시켜야 한다[단심].
○ 등이 찬 증상에는 음증도 있고 양증도 있다. 상한소음증(傷寒少陰證)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은 아무렇지도 않으나 양명증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이 마른다. 이것은 한열(寒熱)의 다른 표현이다[
입문].
○ 등이 찬 데는 어한고를 붙이는 것이 좋다[의감].
어한고(禦寒膏)
몸이 허약한 사람이 등이 오싹오싹하거나 여름에 옷벗기를 싫어하는 것과 부인이 몸푼 뒤에 풍랭(風冷)을 받아서 손발이 차고 아프며 뼈까지 쏘는[痛] 것과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320g(즙을 낸다), 좋은 ☞3170;아교 120g, ☞4073;유향, ☞4106;몰약 각각 6g.
위의 약들을 동으로 만든 자루가 달린 냄비에 넣고 달여 녹인 다음 그 냄비를 끓인 물 속에 옮겨 놓고 빨리 버드나무가지로 저어서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조피열매가루를 조금 넣고 다시 고루 저어서 피지(皮紙)㈜에
발라 시린 곳에 붙인다. 그다음 신바닥을 불에 뜨겁게 달구워 약 붙인 곳에 문지르고 5-6일이 지나서 약을 떼버린다. 혹 작은 헌데가 생길 수도 있는데 아무일 없다[의감].
[註] 피지(皮紙) : 닥나무껍질로 만든 품질이 낮은 종이.
$
등이 다는 것[背熱]
등이 다는 것과 폐(肺)와 연관된다. 폐는 상초(上焦)에 있기 때문에 열은 등에 나타난다[입문].
$
등이 아픈 것[背痛]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은 폐(肺)와 연관된다. 『내경』에 서풍은 가을에 부는데 이 바람에 의해서는 폐에 병이 생긴다. 그 유혈(兪穴)은 어깨와 등에 있으므로 가을 기운으로 생기는 병은 어깨와 등에 생긴다. 가을에
맥이 너무 지나치면 기가 치밀어 올라 등이 아프고 말째다[ 然]고 씌어 있다[강목].
○ 폐에 병이 생기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기(氣)가 치밀어 오르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땀이 난다. 또 사기가 신(腎)에 있으면 어깨와 등과 목이 아프다[영추].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통기방풍탕을 쓰고 등뼈가 아프고 목이 뼛뼛하며 허리가 끊어지는 것 같고 목이 빠지는 것 같은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을 쓴다.
○ 잔등 복판의 한 곳이 아픈 데는 삼합탕을 쓴다[의감].
○ 등뼈와 어깨박죽[胛]의 한가운데가 아픈 데는 창출복전탕을 쓴다[단심].
○ 엉덩이 끝이 아픈 것은 음(陰)이 허(虛)하고 방광에 화(火)가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3848;지모
와 황백, ☞4009;계지를 조금 넣어 쓰고 담이 있으면 사물탕과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택사, ☞3861;전호, ☞3763;목향을 인경약으로 넣어 쓰며 몹시 아플 때에는 ☞4073;유향, ☞4106;몰약을 넣어 쓴다[입문].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손으로 일하는 기술자들과 선비나 부인들 가운데서 고생을 이겨내면서 무척 애를 쓰는 사람들에게 많다. 또한 지나치게 성생활하는 사람에게도 생긴다. 이런 때에
는 고황혈(膏 穴)에 뜸을 뜨면 잘 낫는다[자생].
○ 어떤 남자가 한줄기의 통증이 등과 어깨박죽[胛]이 붙은 곳에서부터 어깨로 올라갔다가 앞가슴으로 넘어와 양 옆구리에까지 뻗는데 그 통증이 밤낮으로 멎지 않았다. 그리하여 맥을 짚어 보니 현삭(弦數)한데 꾹
㈇8芮더 크게 뛰고 좌측맥이 우측맥보다 더 컸다. 그리하여 나는 등과 어깻죽지(脾)는 소장경(小腸經)에 속하고 가슴과 옆구리는 담경(膽經)에 속하니 이것은 지나치게 사색하여 심을 상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이것은 아직 심에는 병이 생기지 않고 소장에 먼저 병이 생긴 것인다. 그러므로 병이 등과 어깻죽지에서부터 생긴 것이다. 여러 가지로 사고하면서 결단하지 못하는 것은 담(膽)과 연관된 것이다. 때문에 통증이
가슴과 옆구리에까지 미치게 된다. 이것은 소장(小腸)의 화가 담목(膽木)을 타 누르는 것([乘]아들이 어머니를 누르는 격)인데 실사(實邪)라고 한다. 환자에게 사연을 물어보니 과연 무슨 일을 하려다가 성공하지 못
漫 병이 생겼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3743;인삼 1.6g과 으름덩굴(목통) 0.8g을 달인 물로 용회환(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몇 번 먹였는데 나았다[단계].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태양경(太陽經)에 한습(寒濕)이 침범하여 어깨와 등이 아파서 목을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열(風熱)이 폐를 침범해서 폐기(肺氣)가 몹시 몰려 어깨와 등이 아픈 것도 낫게 한다.
, ☞3760;승마, ☞3756;시호 각각 4g, ☞3792;방풍, 강호리(☞3759;강활), 귤껍질(陳皮), ☞3743;인삼, ☞3745;감초 각각 2g, 선귤껍질(청피) 1.2g, ☞3919;백두구, 황백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삼합탕(三合湯)
잔등 가운데의 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향소산(香蘇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섞은 데 강호리(
☞3759;강활), 삽주(☞3751;창출)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창출복전탕(蒼朮復煎湯)
한습이 함께 침범하여 속골과 등뼈, 어깨박죽[胛] 가운데와 무릎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3751;창출) 160g.
위의 약들을 물 2사발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강호리(☞3759;강활), ☞3760;승마, 택사, ☞3756;시호, ☞3865;고본, 흰삽주(☞3750;백출) 각각 2g과 황백 1.2g, 잇꽃(홍화) 적은 양을 썰어서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단심].
$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독맥의 별락[別名]을 장강(長强)이라고 하는데 그 경맥이 병들어 실해지면 등뼈가 뻣뼛해진다[영추].
○ 족태양경맥이 병들면 허리와 등이 뻣뻣하고 아프다[영추].
○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냉기(冷氣)가 침범하여 치밀면 등심(背 )과 허리, 등뼈가 뻣뻣해서 잘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한다. 이런 데는 오침탕(烏沈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등이 아파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족태양경과 수태양경에 습(濕)이 침범하여 기가 몰려서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
밗쓴다.
$
곱사등[背 ]
습사가 침범하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어 병신이 된다. 이런 데는 ☞3934;감수 4g을 가루를 내어 돼지콩팥 속에 넣어서 잿불에 묻어 구워 먹으면 토하고 설사하면서 낫는다[입문].
○ 어떤 사람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었는데 맥(脈)은 침현(沈弦)하면서 세(細)하였다. 그리하여 외신산( 腎散, 처방은 3법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토하면서 설사하였다. 이것을 세번 먹고 나았다[단심].
○ 허리등뼈[腰脊] 사이의 뼈마디가 도드라져 나오는 것도 습사의 침습을 받은 것이다. 『내경』에는 습열(濕熱)이 없어지지 않으면 큰 힘줄은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은 늘어져서 길어진다. 오그라져서 짧
팁嗤芮당기고 늘어져서 길어지면 힘이 없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큰 힘줄이 열을 받으면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이 습을 받으면 늘어나서 길어진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되면 곱사등이 되면서 뼈마디
도드라져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방법대로 치료해야 한다[강목].
○ 늙은이가 곱사등이 되는 것은 바로 정수가 부족하고 독맥이 허하기 때문이므로 신을 보하고 정수(精髓)를 돕는 약을 써야 한다[유취].
$
귀배(龜背)
(소아문(小兒門)에 자세하게 있다)
$
단방(單方)/등
모두 4가지이다.
(羌活, 강호리)
풍습으로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여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獨活, 땃두릅)
습(濕)에 상하여 목을 들기 힘들어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술과 물을 섞은 데 달여 먹는다[본초].
(烏藥)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있던 냉기가 등심[背 ]으로 치미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탕액].
( 臍, 해구신)
주로 등뼈와 어깨뼈가 뻐근하거나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담갔다가 구워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침뜸치료[鍼灸法]/등
등뼈가 뻣뻣하고 아픈 데는 인중혈(人中穴)에 놓는다[강목].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수삼리혈(手三里穴)에 놓는다[강목].
○ 등에서부터 어깻죽지(脾)까지 아픈 데는 오추(五樞), 곤륜(崑崙), 현종(懸鍾), 견정(肩井) 혈과 갑봉(胛縫, 이 혈은 견갑골쪽으로 견봉 끝에서 곧추 팔로 2치 5푼 내려가서 잡는데 여섯번 숨쉴 동안 사한다)혈을
눼晩강목].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이런 데는 고황혈(膏 穴)이 중요하게 쓰인다. 혹은 등에서 먼저 아프기 시작하여 어깨 위로 당기면서 아픈 것은 고황에 병이 든 것이므로 고황유혈(膏 兪穴)과
견정혈(肩井穴)에 뜸을 뜨면 나을 수 있다[자생].
$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등뒤에 3관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머리뒷꼭지를 옥침관(玉枕關)이라고 하고 등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 關)이라고 하며 수(水)와 화(火)가 사귀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이 바로 정
雪精氣)가 오르내리는 길이다[정리].
○ 사람의 척골(脊骨)은 24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뼈마디의 끝을 미려혈(尾閭穴)이라고 한다. 또는 용호혈(龍虎穴), 조계로(曹溪路), 삼분로(三 路), 하거로(河車路), 조천령(朝天嶺), 상천제(上天梯)라고도 한
다.
○ 미려혈(尾閭穴)이 있는 곳의 등뼈의 꼭대기는 동금(潼金)과 같이 동그란데 그 위에는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안팎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여기를 바로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 척추골의 양쪽에 3줄기의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위로 올라가서 곧바로 정수리에 있는 이환궁(泥丸宮)에까지 갔다가 위로 돌아내려와서 단전(丹田)에까지 갔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미려혈에 연락된다.
○ 미려혈이 바로 하관(下關)이다. 아래로부터 18번째 뼈마디가 있는 곳이 중관(中關)이며 이환궁은 상관(上關)이다. 이것이 3관(三關)이다[정리].
$
맥 보는 법[脈法]/등
『영추』에는 신맥(腎脈)이 몹시 완(緩)한 것은 척추가 부러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는 촌구맥(寸口脈)이 위쪽으로 몹시 뛰는 것은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맥이 대(大)한 것은 명치 밑에 유음(留飮)이 있는 것이므로 그런 사람은 등이 차다[중경].
○ 대체로 등이 몹시 오싹오싹할 때에는 맥이 부대(浮大)하고 힘이 없는데 이것은 양기가 허한 것이다[단심].
$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背爲胸府]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 그러므로 등이 구부러지고 어깨가 굽어들면 장차 가슴이 상한다[내경].
○ 『내경』 원문에 가슴이 표현되는 곳이다고 씌어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
등이 시린 것[背寒]
속에 한담(寒痰)이 잠복되어 있으면 등에 손바닥만큼 찬 데가 있다[직지].
○ 등이 오싹오싹한 것은 담음증(痰飮證)이다. 중경은 명치 밑에 유음이 있으면 등이 오싹오싹하면서 얼음같이 차다고 하였다. 이런 데는 복령환(茯 丸,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강목].
○ 등복판에 늘 한 조각의 얼음이 있는 것같이 찬 곳이 있는 것은 담음(痰飮)이 있는 것이다. 이런 데는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과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함께 쓴다[입문].
○ 대체로 매일 등에서 찬 기운이 줄기로 뻗치는 것은 담이 있기 때문이므로 토하게 하던가 설사시켜야 한다[단심].
○ 등이 찬 증상에는 음증도 있고 양증도 있다. 상한소음증(傷寒少陰證)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은 아무렇지도 않으나 양명증으로 등이 오싹오싹할 때는 입 안이 마른다. 이것은 한열(寒熱)의 다른 표현이다[
입문].
○ 등이 찬 데는 어한고를 붙이는 것이 좋다[의감].
어한고(禦寒膏)
몸이 허약한 사람이 등이 오싹오싹하거나 여름에 옷벗기를 싫어하는 것과 부인이 몸푼 뒤에 풍랭(風冷)을 받아서 손발이 차고 아프며 뼈까지 쏘는[痛] 것과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320g(즙을 낸다), 좋은 ☞3170;아교 120g, ☞4073;유향, ☞4106;몰약 각각 6g.
위의 약들을 동으로 만든 자루가 달린 냄비에 넣고 달여 녹인 다음 그 냄비를 끓인 물 속에 옮겨 놓고 빨리 버드나무가지로 저어서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조피열매가루를 조금 넣고 다시 고루 저어서 피지(皮紙)㈜에
발라 시린 곳에 붙인다. 그다음 신바닥을 불에 뜨겁게 달구워 약 붙인 곳에 문지르고 5-6일이 지나서 약을 떼버린다. 혹 작은 헌데가 생길 수도 있는데 아무일 없다[의감].
[註] 피지(皮紙) : 닥나무껍질로 만든 품질이 낮은 종이.
$
등이 다는 것[背熱]
등이 다는 것과 폐(肺)와 연관된다. 폐는 상초(上焦)에 있기 때문에 열은 등에 나타난다[입문].
$
등이 아픈 것[背痛]
어깨와 등이 아픈 것은 폐(肺)와 연관된다. 『내경』에 서풍은 가을에 부는데 이 바람에 의해서는 폐에 병이 생긴다. 그 유혈(兪穴)은 어깨와 등에 있으므로 가을 기운으로 생기는 병은 어깨와 등에 생긴다. 가을에
맥이 너무 지나치면 기가 치밀어 올라 등이 아프고 말째다[ 然]고 씌어 있다[강목].
○ 폐에 병이 생기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기(氣)가 치밀어 오르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땀이 난다. 또 사기가 신(腎)에 있으면 어깨와 등과 목이 아프다[영추].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통기방풍탕을 쓰고 등뼈가 아프고 목이 뼛뼛하며 허리가 끊어지는 것 같고 목이 빠지는 것 같은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을 쓴다.
○ 잔등 복판의 한 곳이 아픈 데는 삼합탕을 쓴다[의감].
○ 등뼈와 어깨박죽[胛]의 한가운데가 아픈 데는 창출복전탕을 쓴다[단심].
○ 엉덩이 끝이 아픈 것은 음(陰)이 허(虛)하고 방광에 화(火)가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3848;지모
와 황백, ☞4009;계지를 조금 넣어 쓰고 담이 있으면 사물탕과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택사, ☞3861;전호, ☞3763;목향을 인경약으로 넣어 쓰며 몹시 아플 때에는 ☞4073;유향, ☞4106;몰약을 넣어 쓴다[입문].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손으로 일하는 기술자들과 선비나 부인들 가운데서 고생을 이겨내면서 무척 애를 쓰는 사람들에게 많다. 또한 지나치게 성생활하는 사람에게도 생긴다. 이런 때에
는 고황혈(膏 穴)에 뜸을 뜨면 잘 낫는다[자생].
○ 어떤 남자가 한줄기의 통증이 등과 어깨박죽[胛]이 붙은 곳에서부터 어깨로 올라갔다가 앞가슴으로 넘어와 양 옆구리에까지 뻗는데 그 통증이 밤낮으로 멎지 않았다. 그리하여 맥을 짚어 보니 현삭(弦數)한데 꾹
㈇8芮더 크게 뛰고 좌측맥이 우측맥보다 더 컸다. 그리하여 나는 등과 어깻죽지(脾)는 소장경(小腸經)에 속하고 가슴과 옆구리는 담경(膽經)에 속하니 이것은 지나치게 사색하여 심을 상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이것은 아직 심에는 병이 생기지 않고 소장에 먼저 병이 생긴 것인다. 그러므로 병이 등과 어깻죽지에서부터 생긴 것이다. 여러 가지로 사고하면서 결단하지 못하는 것은 담(膽)과 연관된 것이다. 때문에 통증이
가슴과 옆구리에까지 미치게 된다. 이것은 소장(小腸)의 화가 담목(膽木)을 타 누르는 것([乘]아들이 어머니를 누르는 격)인데 실사(實邪)라고 한다. 환자에게 사연을 물어보니 과연 무슨 일을 하려다가 성공하지 못
漫 병이 생겼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3743;인삼 1.6g과 으름덩굴(목통) 0.8g을 달인 물로 용회환(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몇 번 먹였는데 나았다[단계].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태양경(太陽經)에 한습(寒濕)이 침범하여 어깨와 등이 아파서 목을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열(風熱)이 폐를 침범해서 폐기(肺氣)가 몹시 몰려 어깨와 등이 아픈 것도 낫게 한다.
, ☞3760;승마, ☞3756;시호 각각 4g, ☞3792;방풍, 강호리(☞3759;강활), 귤껍질(陳皮), ☞3743;인삼, ☞3745;감초 각각 2g, 선귤껍질(청피) 1.2g, ☞3919;백두구, 황백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삼합탕(三合湯)
잔등 가운데의 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향소산(香蘇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섞은 데 강호리(
☞3759;강활), 삽주(☞3751;창출)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창출복전탕(蒼朮復煎湯)
한습이 함께 침범하여 속골과 등뼈, 어깨박죽[胛] 가운데와 무릎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3751;창출) 160g.
위의 약들을 물 2사발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강호리(☞3759;강활), ☞3760;승마, 택사, ☞3756;시호, ☞3865;고본, 흰삽주(☞3750;백출) 각각 2g과 황백 1.2g, 잇꽃(홍화) 적은 양을 썰어서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단심].
$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독맥의 별락[別名]을 장강(長强)이라고 하는데 그 경맥이 병들어 실해지면 등뼈가 뻣뼛해진다[영추].
○ 족태양경맥이 병들면 허리와 등이 뻣뻣하고 아프다[영추].
○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냉기(冷氣)가 침범하여 치밀면 등심(背 )과 허리, 등뼈가 뻣뻣해서 잘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한다. 이런 데는 오침탕(烏沈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등이 아파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족태양경과 수태양경에 습(濕)이 침범하여 기가 몰려서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처방은 목문에 있다)
밗쓴다.
$
곱사등[背 ]
습사가 침범하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어 병신이 된다. 이런 데는 ☞3934;감수 4g을 가루를 내어 돼지콩팥 속에 넣어서 잿불에 묻어 구워 먹으면 토하고 설사하면서 낫는다[입문].
○ 어떤 사람이 곱사등이가 되고 다리가 오그라들었는데 맥(脈)은 침현(沈弦)하면서 세(細)하였다. 그리하여 외신산( 腎散, 처방은 3법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토하면서 설사하였다. 이것을 세번 먹고 나았다[단심].
○ 허리등뼈[腰脊] 사이의 뼈마디가 도드라져 나오는 것도 습사의 침습을 받은 것이다. 『내경』에는 습열(濕熱)이 없어지지 않으면 큰 힘줄은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은 늘어져서 길어진다. 오그라져서 짧
팁嗤芮당기고 늘어져서 길어지면 힘이 없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큰 힘줄이 열을 받으면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이 습을 받으면 늘어나서 길어진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되면 곱사등이 되면서 뼈마디
도드라져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방법대로 치료해야 한다[강목].
○ 늙은이가 곱사등이 되는 것은 바로 정수가 부족하고 독맥이 허하기 때문이므로 신을 보하고 정수(精髓)를 돕는 약을 써야 한다[유취].
$
귀배(龜背)
(소아문(小兒門)에 자세하게 있다)
$
단방(單方)/등
모두 4가지이다.
(羌活, 강호리)
풍습으로 등뼈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여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獨活, 땃두릅)
습(濕)에 상하여 목을 들기 힘들어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술과 물을 섞은 데 달여 먹는다[본초].
(烏藥)
방광(膀胱)과 신(腎) 사이에 있던 냉기가 등심[背 ]으로 치미는 것을 치료하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는다[탕액].
( 臍, 해구신)
주로 등뼈와 어깨뼈가 뻐근하거나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담갔다가 구워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침뜸치료[鍼灸法]/등
등뼈가 뻣뻣하고 아픈 데는 인중혈(人中穴)에 놓는다[강목].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수삼리혈(手三里穴)에 놓는다[강목].
○ 등에서부터 어깻죽지(脾)까지 아픈 데는 오추(五樞), 곤륜(崑崙), 현종(懸鍾), 견정(肩井) 혈과 갑봉(胛縫, 이 혈은 견갑골쪽으로 견봉 끝에서 곧추 팔로 2치 5푼 내려가서 잡는데 여섯번 숨쉴 동안 사한다)혈을
눼晩강목].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이런 데는 고황혈(膏 穴)이 중요하게 쓰인다. 혹은 등에서 먼저 아프기 시작하여 어깨 위로 당기면서 아픈 것은 고황에 병이 든 것이므로 고황유혈(膏 兪穴)과
견정혈(肩井穴)에 뜸을 뜨면 나을 수 있다[자생].
$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동의보감 번역 21 목
$
목의 치수[頸項寸數]
울대[結喉] 끝에서 결분 한가운데까지의 길이는 4치이고 목 뒤 머리털이 난 곳으로부터 등뼈까지의 길이는 2치 5푼이다[영추].
$
목의 부위[頸項部位]
앞목을 경(頸)이라고 하고 뒷목을 항(項)이라고 한다.
○ 두 결분(缺盆)의 한가운데는 임맥(任脈)에 속하는데 이곳이 바로 천돌혈(天突穴)이다. 임맥에서 옆으로 첫번째줄의 경맥은 족양명경이며 혈이름은 인영혈(人迎穴)이고 두번째줄은 수양명경인데 부돌혈(扶突穴)이다
. 세번째줄은 수태양경인데 혈이름은 천창혈(天窓穴)이고 네번째줄은 족소양경인데 천용혈(天容穴)이다. 다섯번째줄은 수소양경인데 천유혈(天 穴)이고 여섯번째줄은 족태양경인데 천주혈(天柱穴)이다. 일곱번째줄은
뒷목의 가운데 독맥(督脈)인데 혈이름은 풍부혈(風府穴)이다[영추].
$
목이 뻣뻣한 것[項强]
앞뒤의 목이 뻣뻣한 증상은 다 습(濕)에 속한다[내경].
○ 목이 뻣뻣하면서 갑자기 이를 악물고 등이 뒤로 젖혀지는 것은 치병( 病)이다[중경].
○ 목은 족태양방광경에 속하는데 방광경은 족소음신경과 표리(表裏)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태양경이 풍습(風濕)을 받으면 목이 뻣뻣해지고 아프며 몸이 뒤로 젖혀지는데 이것을 치병( 病)이라고 한다[본사]
.
○ 목이 뻣뻣한 데는 모과전, 초부산, 회수산, 강활승습탕을 쓴다.
○ 어떤 사람이 목이 뻣뻣하여 목을 잘 돌리지 못하고 몸을 움직이면 약간씩 아프고 맥은 현삭(弦數)하면서 실(實)하였는데 이것은 담열(痰熱)이 태양경에 침범하여 생긴 것이다. 그래서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
있다)에 속썩은풀(☞3853;황금, 술에 법제한 것), 강호리(☞3759;강활), 잇꽃(홍화)을 넣어서 두번 먹였는데 나았다[단심].
○ 목이 뻣뻣한 증상은 상한 때와 결흉증(結胸證), 치병 때에 생긴다(모두 본문에 있다).
모과전(木瓜煎)
힘줄이 켕겨서 목을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2개를 쓰는데 꼭지 있는 쪽을 뚜껑처럼 떼고 속을 파낸다. 다음 여기에 ☞4106;몰약 20g과 ☞4073;유향 10g을 함께 갈아 넣고 뚜껑을 덮어서 참대꼬챙이를 박아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것을 밥 위에 놓고 서너번 쪄서 갈아 고약처럼 만든다. 한번에 3-5숟가락씩 지황술에 타서 먹는다. 지황술은 지황즙 반잔에 좋은 술 2
잔을 탄 것인데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 어떤 사람이 이 병에 걸렸는데 오후가 되면 발작하였다가 저녁 때가 되어야 안정되곤 하였다. 그리하여 나는 이 병은 발에서부터 생긴 것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족태양(足太陽)의 경근은 발에서부터 시작되어 목에
까지 이르렀고 힘줄은 간경과 배합되며 또한 해가 남쪽으로부터 서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음기가 왕성하고 양기가 쇠약해지는 때이기 때문이다. 영보필법(靈寶畢法)에 해가 남쪽에서부터 서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벌
霜신기(腎氣)가 끊어지고 간기(肝氣)가 약해진 때이다고 씌어 있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간과 신이 2장기가 음기를 받게 되어 병이 생긴다. 그래서 이 약을 세번 먹였는데 나았다[본사].
초부산(椒附散)
신기(腎氣)가 치밀어서 목과 등을 잘 돌릴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큰 것) 1개를 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가루를 낸다. 한 번에 8g씩 쓰는데 조피열매(천초) 좋은 것으로 20알에 밀가루를 채워 넣은 것,
☞3614;생강 7쪽과 함께 물 1잔 반에 넣고 7분이 되게 달인다. 다음 조피열매(천초)를 건져 내고 소금을 넣어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 어떤 사람이 목덜미의 힘줄이 아픈 것이 등과 어깨박죽[胛]쪽으로 뻗쳐서 목을 돌리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가지 풍(風)을 치료하는 약을 먹였으나 낫지 않았다. 나는 『천금수(千金髓)』에 신기(腎氣)가 치
밀어서 등이 뻣뻣할 때에는 이 약을 한번 먹고 나았다고 씌어 있는 것이 생각되었다. 대체로 신기는 허리로부터 등골을 끼고 올라가서 조계혈(曹溪穴)에 가서 이환궁(泥丸宮)으로 들어간다. 반운법(搬運法)에 정통
舊堞못한 사람은 조계혈을 통하게 할 수 없다. 이것은 지금 신기가 치밀어서 통하지 못하게 되어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조피열매(천초)를 써서 그것을 끌고 자기 경으로 돌아가게 하면 병이 낫는다. 기가 위로 치밀
때 조피열매(천초)를 쓰는 것은 이것이 기를 아래로 내려가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먹으면 곧 낫는다[본사].
회수산(回首散)
머리와 목이 뻣뻣하면서 힘줄이 당기거나 베개에서 떨어져 목을 잘 놀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약재에 강호리(☞3759;강활), 따두릅(☞3758;독활), ☞3559;모과를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태양경(太陽經)에 한습(寒濕)이 침습하여 목이 뻣뻣하거나 목이 빠지는 듯하면서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3759;강활), 따두릅(☞3758;독활) 각각 8g, ☞3865;고본, ☞3792;방풍, ☞3745;감초 각각 4g, 궁궁이(천궁),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목에 힘이 없는 것[項軟]
목에 힘이 없는 것은 천주골(天柱骨)이 비뚤어져서이다. 이런 데는 건골산(健骨散), 생근산(生筋散, 처방은 소아문에 모두 있다)을 쓴다. 어린이가 오랫동안 감질(疳疾)에 걸려서 몸이 쇠약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叩泡여러 가지 병을 앓은 다음에 천주골이 비뚤어진 것을 의사들은 잘 알지 못하고 오연증(五軟證)이라고 한다[강목].
○ 어린이가 풍으로 목에 힘이 없어서 잘 들지 못하고 머리를 바로 들지 못하며 목이 앞뒤로 넘어지는 데는 천주원이나 오가피산을 쓰고 풍열(風熱)로 목에 힘이 없는 데는 양간원(凉肝元, 처방은 소아문에 있다)을
銖臼 쓴다[득효].
천주원(天柱元)
목에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큰 것으로 한 덩어리를 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다), ☞3899;울금가루 적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간 다음 ☞3139;사향을 조금 넣고 밥에 반죽해서 가시연밥(☞3549;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3688;형개를 달인 물에 생강즙 2-3방울을 타서 먹는다[득효].
오가피산(五加皮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를 가루를 내어 술에 개서 뒷목뼈 위에 붙이는데 마르면 갈아 붙인다[득효].
$
풍부는 보호해야 한다[風府宜護]
풍부(風府)란 혈(穴)이름인데 뒷머리에 있다.
○ 『내경』에 거양(巨陽)㈜에는 모든 양경이 속한다고 씌어 있다.
[註] 거양(巨陽) : 태양경과 같다.
이 경맥은 풍부혈에 잇닿아 있기 때문에 모든 양경의 기(氣)를 주관한다. 그러므로 상한(傷寒)은 여기서 시작되게 된다. 북쪽에서 사는 사람은 다 털로 목을 싸고 남쪽에서 사는 사람도 허약할 때에는 비단천으로 목
밗보호한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3각건[三角]이라고 한다. 대체로 허약한 사람은 뒷목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자생].
$
단방(單方)/목
모두 4가지이다.
흑두(黑豆, 검정콩)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해서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을 쪄서 주머니에 넣어 베면 좋다[본초].
도엽(桃葉, 복숭아나뭇잎)
풍(風)으로 목이 뻣뻣하여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복숭아 나뭇잎을 뜨겁게 쪄서 주머니에 넣어 목에 찜질한다[본초].
활서(活鼠, 산 쥐)
목이 뻣뻣하면서 등뼈가 당기는 것을 치료한다. 산 쥐를 잡아서 배를 가르고 내장은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하여 목에 붙이면 곧 낫는다[본초].
비마엽( 麻葉, 아주까리잎)
풍습(風濕)으로 목이 뻣뻣한 데 늘 붙이면 좋다[속방].
$
침뜸치료[鍼灸法]/목
목이 뻣뻣한 데는 승장(承漿), 풍부혈(風府穴)에 놓는다[강목].
○ 앞뒤의 목이 아프고 뻣뻣한 데는 통천(通天), 백회(百會), 풍지(風池), 완골(完骨), 아문( 門), 대저(大 ) 혈에 놓는다[갑을].
○ 앞뒷목이 아픈 데는 후계혈(後谿穴)에 놓는다[강목].
○ 목이 부었을 때에는 족양명경과 수양명경의 혈을 쓴다[강목].
$
등뼈는 몇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背脊骨節有數]
흉추골[ 骨]부터 미저골(尾 骨)까지는 21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길이는 3자이다[영추].
○ 위로부터 7개 추골(椎骨)은 매추골(每椎骨) 사이의 길이가 1치 4푼 1리이므로 총 길이는 9치 8푼 7리이다. 중간에 있는 7개 추골은 매추골 사이의 길이가 1치 6푼 1리이므로 총 1자 1치 2푼 7리이다. 아래에 있는
7개 추골은 매추골 사이의 길이가 1치 2푼 6리이므로 총 8치 8푼 2리이다[신응].
○ 21개 추골의 길이는 3자인데 나누어 보면 위에 있는 7개 추골의 길이는 9치 8푼 7리이고 중간에 있는 7개 추골의 길이와 아래에 있는 7개 추골의 길이는 합하여 2자 1푼 3리이다. 이것을 합하면 3자가 된다[자생].
$
목의 치수[頸項寸數]
울대[結喉] 끝에서 결분 한가운데까지의 길이는 4치이고 목 뒤 머리털이 난 곳으로부터 등뼈까지의 길이는 2치 5푼이다[영추].
$
목의 부위[頸項部位]
앞목을 경(頸)이라고 하고 뒷목을 항(項)이라고 한다.
○ 두 결분(缺盆)의 한가운데는 임맥(任脈)에 속하는데 이곳이 바로 천돌혈(天突穴)이다. 임맥에서 옆으로 첫번째줄의 경맥은 족양명경이며 혈이름은 인영혈(人迎穴)이고 두번째줄은 수양명경인데 부돌혈(扶突穴)이다
. 세번째줄은 수태양경인데 혈이름은 천창혈(天窓穴)이고 네번째줄은 족소양경인데 천용혈(天容穴)이다. 다섯번째줄은 수소양경인데 천유혈(天 穴)이고 여섯번째줄은 족태양경인데 천주혈(天柱穴)이다. 일곱번째줄은
뒷목의 가운데 독맥(督脈)인데 혈이름은 풍부혈(風府穴)이다[영추].
$
목이 뻣뻣한 것[項强]
앞뒤의 목이 뻣뻣한 증상은 다 습(濕)에 속한다[내경].
○ 목이 뻣뻣하면서 갑자기 이를 악물고 등이 뒤로 젖혀지는 것은 치병( 病)이다[중경].
○ 목은 족태양방광경에 속하는데 방광경은 족소음신경과 표리(表裏)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태양경이 풍습(風濕)을 받으면 목이 뻣뻣해지고 아프며 몸이 뒤로 젖혀지는데 이것을 치병( 病)이라고 한다[본사]
.
○ 목이 뻣뻣한 데는 모과전, 초부산, 회수산, 강활승습탕을 쓴다.
○ 어떤 사람이 목이 뻣뻣하여 목을 잘 돌리지 못하고 몸을 움직이면 약간씩 아프고 맥은 현삭(弦數)하면서 실(實)하였는데 이것은 담열(痰熱)이 태양경에 침범하여 생긴 것이다. 그래서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
있다)에 속썩은풀(☞3853;황금, 술에 법제한 것), 강호리(☞3759;강활), 잇꽃(홍화)을 넣어서 두번 먹였는데 나았다[단심].
○ 목이 뻣뻣한 증상은 상한 때와 결흉증(結胸證), 치병 때에 생긴다(모두 본문에 있다).
모과전(木瓜煎)
힘줄이 켕겨서 목을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2개를 쓰는데 꼭지 있는 쪽을 뚜껑처럼 떼고 속을 파낸다. 다음 여기에 ☞4106;몰약 20g과 ☞4073;유향 10g을 함께 갈아 넣고 뚜껑을 덮어서 참대꼬챙이를 박아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것을 밥 위에 놓고 서너번 쪄서 갈아 고약처럼 만든다. 한번에 3-5숟가락씩 지황술에 타서 먹는다. 지황술은 지황즙 반잔에 좋은 술 2
잔을 탄 것인데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 어떤 사람이 이 병에 걸렸는데 오후가 되면 발작하였다가 저녁 때가 되어야 안정되곤 하였다. 그리하여 나는 이 병은 발에서부터 생긴 것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족태양(足太陽)의 경근은 발에서부터 시작되어 목에
까지 이르렀고 힘줄은 간경과 배합되며 또한 해가 남쪽으로부터 서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음기가 왕성하고 양기가 쇠약해지는 때이기 때문이다. 영보필법(靈寶畢法)에 해가 남쪽에서부터 서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벌
霜신기(腎氣)가 끊어지고 간기(肝氣)가 약해진 때이다고 씌어 있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간과 신이 2장기가 음기를 받게 되어 병이 생긴다. 그래서 이 약을 세번 먹였는데 나았다[본사].
초부산(椒附散)
신기(腎氣)가 치밀어서 목과 등을 잘 돌릴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큰 것) 1개를 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가루를 낸다. 한 번에 8g씩 쓰는데 조피열매(천초) 좋은 것으로 20알에 밀가루를 채워 넣은 것,
☞3614;생강 7쪽과 함께 물 1잔 반에 넣고 7분이 되게 달인다. 다음 조피열매(천초)를 건져 내고 소금을 넣어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 어떤 사람이 목덜미의 힘줄이 아픈 것이 등과 어깨박죽[胛]쪽으로 뻗쳐서 목을 돌리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가지 풍(風)을 치료하는 약을 먹였으나 낫지 않았다. 나는 『천금수(千金髓)』에 신기(腎氣)가 치
밀어서 등이 뻣뻣할 때에는 이 약을 한번 먹고 나았다고 씌어 있는 것이 생각되었다. 대체로 신기는 허리로부터 등골을 끼고 올라가서 조계혈(曹溪穴)에 가서 이환궁(泥丸宮)으로 들어간다. 반운법(搬運法)에 정통
舊堞못한 사람은 조계혈을 통하게 할 수 없다. 이것은 지금 신기가 치밀어서 통하지 못하게 되어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조피열매(천초)를 써서 그것을 끌고 자기 경으로 돌아가게 하면 병이 낫는다. 기가 위로 치밀
때 조피열매(천초)를 쓰는 것은 이것이 기를 아래로 내려가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먹으면 곧 낫는다[본사].
회수산(回首散)
머리와 목이 뻣뻣하면서 힘줄이 당기거나 베개에서 떨어져 목을 잘 놀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약재에 강호리(☞3759;강활), 따두릅(☞3758;독활), ☞3559;모과를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태양경(太陽經)에 한습(寒濕)이 침습하여 목이 뻣뻣하거나 목이 빠지는 듯하면서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3759;강활), 따두릅(☞3758;독활) 각각 8g, ☞3865;고본, ☞3792;방풍, ☞3745;감초 각각 4g, 궁궁이(천궁),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목에 힘이 없는 것[項軟]
목에 힘이 없는 것은 천주골(天柱骨)이 비뚤어져서이다. 이런 데는 건골산(健骨散), 생근산(生筋散, 처방은 소아문에 모두 있다)을 쓴다. 어린이가 오랫동안 감질(疳疾)에 걸려서 몸이 쇠약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叩泡여러 가지 병을 앓은 다음에 천주골이 비뚤어진 것을 의사들은 잘 알지 못하고 오연증(五軟證)이라고 한다[강목].
○ 어린이가 풍으로 목에 힘이 없어서 잘 들지 못하고 머리를 바로 들지 못하며 목이 앞뒤로 넘어지는 데는 천주원이나 오가피산을 쓰고 풍열(風熱)로 목에 힘이 없는 데는 양간원(凉肝元, 처방은 소아문에 있다)을
銖臼 쓴다[득효].
천주원(天柱元)
목에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큰 것으로 한 덩어리를 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다), ☞3899;울금가루 적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간 다음 ☞3139;사향을 조금 넣고 밥에 반죽해서 가시연밥(☞3549;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3688;형개를 달인 물에 생강즙 2-3방울을 타서 먹는다[득효].
오가피산(五加皮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를 가루를 내어 술에 개서 뒷목뼈 위에 붙이는데 마르면 갈아 붙인다[득효].
$
풍부는 보호해야 한다[風府宜護]
풍부(風府)란 혈(穴)이름인데 뒷머리에 있다.
○ 『내경』에 거양(巨陽)㈜에는 모든 양경이 속한다고 씌어 있다.
[註] 거양(巨陽) : 태양경과 같다.
이 경맥은 풍부혈에 잇닿아 있기 때문에 모든 양경의 기(氣)를 주관한다. 그러므로 상한(傷寒)은 여기서 시작되게 된다. 북쪽에서 사는 사람은 다 털로 목을 싸고 남쪽에서 사는 사람도 허약할 때에는 비단천으로 목
밗보호한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3각건[三角]이라고 한다. 대체로 허약한 사람은 뒷목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자생].
$
단방(單方)/목
모두 4가지이다.
흑두(黑豆, 검정콩)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해서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을 쪄서 주머니에 넣어 베면 좋다[본초].
도엽(桃葉, 복숭아나뭇잎)
풍(風)으로 목이 뻣뻣하여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복숭아 나뭇잎을 뜨겁게 쪄서 주머니에 넣어 목에 찜질한다[본초].
활서(活鼠, 산 쥐)
목이 뻣뻣하면서 등뼈가 당기는 것을 치료한다. 산 쥐를 잡아서 배를 가르고 내장은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하여 목에 붙이면 곧 낫는다[본초].
비마엽( 麻葉, 아주까리잎)
풍습(風濕)으로 목이 뻣뻣한 데 늘 붙이면 좋다[속방].
$
침뜸치료[鍼灸法]/목
목이 뻣뻣한 데는 승장(承漿), 풍부혈(風府穴)에 놓는다[강목].
○ 앞뒤의 목이 아프고 뻣뻣한 데는 통천(通天), 백회(百會), 풍지(風池), 완골(完骨), 아문( 門), 대저(大 ) 혈에 놓는다[갑을].
○ 앞뒷목이 아픈 데는 후계혈(後谿穴)에 놓는다[강목].
○ 목이 부었을 때에는 족양명경과 수양명경의 혈을 쓴다[강목].
$
등뼈는 몇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背脊骨節有數]
흉추골[ 骨]부터 미저골(尾 骨)까지는 21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길이는 3자이다[영추].
○ 위로부터 7개 추골(椎骨)은 매추골(每椎骨) 사이의 길이가 1치 4푼 1리이므로 총 길이는 9치 8푼 7리이다. 중간에 있는 7개 추골은 매추골 사이의 길이가 1치 6푼 1리이므로 총 1자 1치 2푼 7리이다. 아래에 있는
7개 추골은 매추골 사이의 길이가 1치 2푼 6리이므로 총 8치 8푼 2리이다[신응].
○ 21개 추골의 길이는 3자인데 나누어 보면 위에 있는 7개 추골의 길이는 9치 8푼 7리이고 중간에 있는 7개 추골의 길이와 아래에 있는 7개 추골의 길이는 합하여 2자 1푼 3리이다. 이것을 합하면 3자가 된다[자생].
$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동의보감 번역 20인후
$
인과 후는 각기 다르다[咽與喉各異]
『영추』에 인후는 음식물이 통하는 길이고 울대[喉 ]는 숨이 오르내리는 곳이며 회염(會厭)은 소리가 나오는 문호이고 목젖[懸雍]은 소리의 관문이다고 씌어 있다. 『내경』에는 후(喉)는 천기를 주관하고 인
(咽)은 지기를 주관한다. 또한 지기는 익( )으로 통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익( )은 인후 아래 가슴 속의 양쪽 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익이란 바로 인의 아래쪽이고 인이란 익의 위쪽이다고 씌어 있다.
○ 후는 통한다는 말이고 인은 삼킨다는 말이다. 인은 3완(三脘)과 연결되었고 위와 통해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넘길 수 있다. 후는 5장과 통해 있으면서 폐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숨은 쉴 수 있다. 숨쉬는 곳이 후이
殷음식이 들어가는 곳이 인이다. 이와 같이 한계가 아주 명백하다[득효].
○ 인은 위(胃)의 줄이고 후는 폐기(肺氣)가 통하는 곳이다. 인으로는 음식이 넘어가고 후로는 숨을 쉬는데 그 이치는 한 가지이다. 그러나 부문이 다르다[직지].
○ 인은 음식물을 넘기는 문호이다[강목].
$
인후와 회염과 설은 그 작용이 같지 않다[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
인, 후, 회염(會厭), 혀 이 4가지는 다 입 안에 있으니 그 작용은 각기 다르다. 후는 숨을 쉬는 곳이므로 천기(天氣)와 통하고 인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곳이기 때문에 지기(地氣)와 통하나, 회염은 인과 후의 윗부분
밗관할하면서 열었다 닫았다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회염이 후를 덮어야 음식물이 내려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지 못하면 잘못된다. 혀가 입천장에 닿을 때에 회염은 후두를 열어 준다. 이와 같이 4개의 기관은
새로 연관되어 작용한다. 그러므로 한 기관만 없어도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되어 죽는다[자화].
$
인후의 크기[咽喉度數]
『영추』에 식도의 무게는 400g이고 너비는 2치 5푼이며 위(胃)까지의 길이는 1자 6치이다고 씌어 있다.
○ 울대의 무게는 480g이고 너비는 2치이며 길이는 1자 2치이다[자화].
○ 『선경(仙經)』에 강궁(絳宮)은 12층으로 되어 있는데 다락이 있고 울대는 12마디로 된 관이다고 씌어 있다[양성].
$
맥 보는 법[脈法]/인후
양쪽 촌맥(寸脈)이 부홍(浮洪)하면서 넘치는 것은 후비증(喉痺證)이다. 맥이 미(微)하면서 복(伏)하면 죽는다[정전].
○ 인후병 때에는 양쪽 촌맥이 홍(洪)하고 넘친다. 상초가 성하고 하초가 허하면서 맥이 미하고 복하면 좋지 못하다[회춘].
$
인후병은 다 화에 속한다[咽喉之病皆屬火]
『내경』에 1음(一陰)과 1양(一陽)이 맺힌 것을 후비(喉痺)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비는 막혔다는 것과 같다). 주해에 1음(一陰)은 심포락의 경맥을 말하는 것이고 1양(一陽)은 3초의 경맥을 말하는 것이다. 3초
(三焦)의 경맥과 심포락의 경맥은 다 후와 통하여 있다. 그러므로 이 경락에 열이 있어서 속에 맺히고 응결되면 후비가 된다고 씌어 있다.
○ 1음이란 간경(肝經)과 심포경(心包經)이며 1양이란 담경(膽經)과 삼초경(焦硝經)이다. 이 4경에는 다 ☞4050;상화(相火)가 있다. 화(火)는 담(痰)의 근본이며 담은 화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것이다[입문].
○ 소음군화(少陰君火)와 소양상화(少陽相火), 이 2경맥은 다 인후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군화(君火)의 기운이 완만하면 열이 몰려서 붓고 아프다.
☞4050;상화의 기운이 급하면 몹시 부어서 감각이 둔해지면서 후비가 된다. 후비가 심하면 숨이 통하지 못하고 가래가 막히면서 죽는다[입문].
○ 인후병은 다 화열(火熱)에 속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으나 경하고 중한 것이 다른데 그것은 다 화가 경한가 심한가에 관계된다. 화가 적고 경하면 천천히 치료하여도 되지만 심하고 급하면 침을 놓아 피
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정전].
$
인후병의 종류[咽喉病名]
인후병에는 단유아, 쌍유아, 단후폐, 쌍후폐, 전후풍, 급후비, 현옹수, 매핵기, 시인, 곡적, 골경, 목구멍이 아픈 것과 허는 것 등이 있다.
○ 인후(咽喉)와 현옹(懸癰)은 몸의 관문이나 요새와 같은 것이므로 여기에 생긴 병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직지].
○ 인후병에는 18가지 이름이 있으나 그것은 이전 사람들이 억지로 붙인 것이므로 써넣지 않는다.
$
단유아, 쌍유아, 후비[單乳蛾雙乳蛾喉痺]
회염(會厭)의 양쪽이 부은 것을 민간에서는 쌍유아(雙乳蛾)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쉽다. 회염의 한쪽이 부은 것을 민간에서는 단유아(單乳蛾)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고방(古方)에는 총체적으로
캤淨喉痺)라고 하였는데 이것도 다 ☞4050;상화가 위로 치밀어서 된 것이다[정전].
○ 열기가 모두 후두 양쪽으로 올라가 부딪쳐서 바깥쪽으로 부었을 때에는 그 생김새가 유아(乳蛾)와 비슷하다. 한쪽만 부은 것을 단유아라고 하며 양쪽이 다 부은 것을 쌍유아라고 한다[의감].
○ 단아풍(單蛾風)이라는 것은 동그랗게 생겼는데 젓가락대가리만하다. 이것은 인후와 회염 위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생긴다. 회염 아래에 생겼을 때에는 치료하기 어렵다. 쌍아풍(雙蛾風)이라는 것은 2개씩 생기는데
후두와 회염의 양쪽에 생긴다. 이것 역시 젓가락대가리만하고 동그랗다. 회염 아래에 생기면 치료하기 힘들다[득효].
○ 유아(乳蛾)가 조금 작은 것을 후폐(喉閉)라고 한다[의감].
○ 후비는 대체로 담열(痰熱)로 생긴다[단심].
○ 전후풍(纏喉風)과 후폐증(喉閉證)은 다 가슴 속에 본래 담이 있었거나 주색(酒色)과 7정(七情)으로 화가 동하여 담이 올라와 인후를 막아서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속과 겉이 다 부으면서 아프고 물도 넘기지 못하
게 되는데 위험하고 급한 병이다[단심].
○ 후비라는 것은 목구멍으로 숨이 잘 통하지 못하고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인데 이것은 천기(天氣)가 막혔기 때문이다[강목].
○ 여성승금정, 해독웅황원, 우황양격원, 칠보산, 담반산, 계내금산, 비급단, 용뇌고, 청룡담, 취후산 등을 쓴다. 실화(實火)에는 청량산, 허화(虛火)에는 가미사물탕을 쓴다.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인후(咽喉)가 갑자기 막힌 것과 단아(單蛾), 쌍아(雙蛾), 결후(結喉), 중설(重舌), 목설(木舌) 등을 치료한다.
유황, 궁궁이(천궁), 작설차, ☞3693;박하, ☞3921;오두, 초석, ☞3748;생지황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파즙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먹되 먼저 찬물로 양치한 다음 박하잎 5-7잎을 씹고 나서 먹어야 한다. 병이 심하면 연거푸 세번 먹어야 한다[국방].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후폐(喉閉)로 이를 악물어서 물도 잘 넘기지 못하며 위급해진 것을 치료한다.
석☞4180;웅황(웅황, 수비한 것), ☞3899;울금 각각 10g, ☞4115;파두 14알(껍질을 버리고 기름을 뺀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알씩 찻물로 먹는다.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식초에 약을 개어 콧구멍에 밀어 넣어 준다. 그러면 조금 있다가 뭉친 가래
를 토하고 설사한 다음 곧 깨어난다[국방].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인후가 부으면서 아프고 입 안과 혀가 헐며 뺨이 벌겋게 붓고 열이 나면서 가래가 막히는 것을 치료한다.
, ☞4192;한수석(달군 것), ☞4187;석고(달군 것) 각각 80g, ☞3745;감초(닦은 것) 40g, 우담남성 30g, ☞4184;자석영(달구어 수비한 것) 20g, ☞3142;우황, 용뇌, ☞3139;사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3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3693;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칠보산(七寶散)
후폐(喉閉)와 단아, 쌍아(雙蛾)를 치료한다.
주염열매(조각) 1꼬투리, 전갈 10개(독을 뺀다), ☞4200;붕사, 석☞4180;웅황(웅황), 백반, 담반 각각 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목 안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단심].
담반산(膽礬散)
목구멍이 마비되고 부어서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담반 2g, 전갈 2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닭의 깃[鷄羽]에 묻혀서 목 안에 넣으면 조금 있다가 목이 열리면서 말소리가 나온다. 그 다음 연잎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으면 독한 담을 토하고 곧 낫는다. 만일 토하지 않으
芮다시 먹어야 한다[직지].
계내금산(鷄內金散)
후폐(喉閉)와 단아(單蛾), 쌍아(雙蛾)를 치료한다.
계내금(음력 섣달에 받아서 그늘에 말려 가루를 낸 것) 4g, 녹두가루 12g.
위의 약들을 꿀에 반죽해서 알약 3알을 만들어 먹으면 잘 낫는다[필용].
비급단(備急丹)
인후(咽喉)가 막힌 것을 치료한다.
, ☞4195;망초, ☞3454;백강잠 각각 40g, ☞3745;감초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음력 섣달에 잡은 소의 담낭(牛膽, ☞3142;우황이 생긴 것)에 넣어서 49일 동안 그늘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를 내서 목 안에 불어넣으면 잘 낫는다[강목].
용뇌고(龍腦膏)
후비(喉痺)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600g, ☞3745;감초 120g, ☞3792;방풍, 궁궁이(천궁), 도라지(☞3675;길경) 각각 80g, ☞4199;염초 40g, ☞3919;백두구 30알, 사인 5알, 용뇌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별방].
청룡담(靑龍膽)
목구멍이 부어 막히고 아픈 것과 단아와 쌍아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담반(膽礬)을 ☞3398;청어 담낭에 넣어서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서 목 안에 불어넣으면 낫는다. ☞3398;청어가 없을 때에는 대신 가물치열[ 魚膽]을 써도 되는데 음력 섣달에 잡은 것이 좋다[활인].
취후산(吹喉散)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담반 20g(담반이 없으면 ☞4174;녹반을 대신 쓰는데 ☞3398;청어 담낭에 넣어 바람에 말린다. 청어담이 없으면 대신 가물치담을 쓴다), ☞4115;파두(껍질을 버린 것) 7개, ☞4199;염초(따로 가루를 낸 것) 10g, ☞4239;동청(銅靑) 4g, ☞4229;경분 2g, ☞3779;청대 1g.
위의 약에서 담반을 ☞4115;파두와 함께 구리그릇에 넣고 볶은 다음 ☞4115;파두는 버린다. 다음 여기에 ☞4199;염초 등 4가지 약과 ☞3139;사향을 조금 넣어서 한번에 1g씩 목 안에 불어넣으면 가래와 피를 토하고 곧 낫는다[강목].
청량산(淸凉散)
실화(實火)로 인후(咽喉)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6g, 산치자, ☞3973;연교, 속썩은풀(☞3853;황금), ☞3792;방풍, ☞4090;지각, ☞3784;황련, ☞3834;당귀, ☞3748;생지황, ☞3745;감초 각각 2.8g, ☞3693;박하, 구릿대(☞3850;백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3989;등심초) 2g, 차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허화(虛火)로 생긴 후비(喉痺)와 목구멍이 아픈 것과 헌 것을 치료하는데 화(火)를 아주 잘 내린다.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각각 6g, ☞3749;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8g, ☞3834;당귀, 궁궁이(천궁), 황백(꿀물에 축여 볶은 것), ☞3848;지모, 하늘타리뿌리(☞3828;과루근)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참대기름 1종지를 타서 먹는다[회춘].
$
급후비(急喉痺)
『영추』 목구멍에 헌데가 생긴 것을 맹저(猛疽)라고 하는데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목구멍이 막혀서 숨이 잘 통하지 못하게 된다. 숨이 잘 통하지 못하면 한나절이 못되어 죽는다고 씌어 있다.
○ 갑자기 목구멍이 막혀서 갑자기 죽는 것을 주마후비(走馬喉痺)라고 한다[의감].
○ 후두의 회염(會厭)이라는 것은 『내경』에서 흡문(吸門)이라고 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숨쉬는 것을 맡아서 기를 오르내리게 하는데 관문(關門)에 있는 요긴한 풀무와 같은 문호(門戶)이다. 급후비(急喉痺)로 갑자
기 목이 붓고 아파서 물도 넘기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게 되면 잠깐 사이에 죽게 되니 참으로 놀랄만한 병이다[정전].
○ 빨리 침치료나 토하게 하는 방법을 써서 낫게 해야 한다. 만약 약을 넘기지 못할 때에는 구부러진 참대대롱으로 약을 목 안에 넣어 주면 좋다[유취].
○ 급후폐(急喉閉)로 코고는 소리를 내는 것도 있고 목에서 가래소리가 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폐기가 끊어진 증상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고(人蔘膏)를 써서 살린 다음 입을 벌리고 생강즙과 참대기름(☞4057;죽력)을 자주 떠먹어야 한다. 그리고 인삼고를 써도 살아나지 못하면 독삼탕(獨蔘湯)을 달여 먹어서 살려야 한다. 이 병은 빨리 치료해야 10명에 7-8명이 나을 수 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뒤늦게 치료하면 10명에 4-5명
謗 낫게 할 수 없다. 몹시 늦게 치료하면 10명에 1명도 낫게 할 수 없다[강목].
○ 손조(孫兆)가 번원종(潘元從)의 급후비를 치료할 때에 약 2g을 목구멍에 불어넣었는데 조금 있다가 피고름을 토하고 곧 나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번원종이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몹시 위급한 병이었는데 선생이 아
耈珦만芮고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돈 1백냥을 주면서 그 처방을 알려 달라고 하였다. 그러나 손조는 주염열매(저아조각), 백반, ☞3784;껭쬠
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해서 기왓장 위에 놓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 것이라고 알려 주고는 돈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회춘].
○ 이를 악문 것을 열어 주는 데는 일자산, 이선산을 쓰며 독이 몰린 데는 여성승금정,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처방은 다 위에 있다), 용뇌파독산, 탈명산, 옥약시, 금쇄시,
☞4115;파두연 등을 쓴다. 후두(喉頭)가 헐어서 숨이 잘 통하지 않을 때에는 찬물을 천천히 마시면 된다[산거].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급성 또는 만성으로 후두가 부어서 숨이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160g, ☞3779;청대, ☞3454;백강잠, ☞3745;감초 각각 32g, 부들꽃가루(☞3796;포황) 20g, ☞3990;마발 12g, 용뇌, ☞3139;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깨끗한 물에 고약처럼 되게 개서 천천히 먹으면 아픈 곳이 터지면서 피가 나오고 곧 낫는다. 만일 후비가 아니면 저절로 없어진다.
☞4195;망초가 없을 때에는 대신 ☞4199;염초를 쓴다[어원].
일자산(一字散)
급성후비증[急喉]이나 전후풍[纏喉]으로 인후(咽喉)가 꽉 막혀서 음식이 내리지 않고 이를 악물며 정신을 잃는 것을 치료한다.
주염열매(저아조각) 28g, 석☞4180;웅황(웅황) 8g, 백반, 박새뿌리(☞3929;여로) 각각 4g, 전갈꼬리 7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코 안에 불어넣으면 가래를 토한다[입문].
이선산(二仙散)
급성후폐증과 전후풍(纏喉風)으로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담반 4g, ☞3454;백강잠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조금씩 목구멍에 불어넣는다[입문].
탈명산(奪命散)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백반(구운 것), ☞3454;백강잠(닦은 것), ☞4200;붕사, 주염열매(조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목 안에 조금씩 불어넣으면 가래가 나오고 곧 낫는다[단심].
옥약시(玉 匙)
급성후폐증과 전후풍을 치료한다.
30g, ☞4200;붕사 10g, ☞3454;백강잠 5g, 용뇌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참대대롱으로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잘 낫는다[직지].
금쇄시(金鎖匙)
급성후폐증과 전후풍을 치료한다.
1.3g, 백반(구운 것), 담반 각각 0.6g, ☞4200;붕사 0.5g, 곰열(☞3162;웅담), ☞4199;염초, 용뇌, ☞3139;사향 각각 0.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2g씩 목구멍에 불어넣는다[의감].
연(巴豆烟)
후폐증이 생겨 위급하게 되었을 때에는 먼저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해야 한다. 파두살을 종이에 싸서 눌러 기름을 뺀 다음 그 종이로 심지를 만들어 불을 붙였다가 끄면 연기가 나는데 그 연기를 2시간 동안 코에 쏘
이면 입과 코에서 콧물과 침이 나오면서 악문 이가 저절로 열린다[경험].
○ 또 한 가지 방법은 파두살을 솜에 싸서 왼쪽 코나 오른쪽 코에 관계없이 막힌 코를 막는 것인데 양쪽 코가 다 막혔으면 양쪽 코를 다 막아야 한다. 그러면 곧 숨이 통한다[입문].
○ ☞4115;파두(巴豆)는 닫힌 문을 여는 데는 장군과 같은 약이다. 이 약은 열한 성질로 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열로써 열을 치더라도 해롭지는 않다[단심].
$
전후풍(纏喉風)
인후(咽喉)에 열이 몰려서 목의 겉이 돌려 붓고 혹 저리기도 하고 가렵기도 하면서 몹시 부어서 커지는 것을 전후풍이라고 한다[의감].
○ 전후풍이라는 것은 귀 부근에서부터 턱 아래까지 벌겋게 되는 것이다. 대체로 목 안과 겉이 다 붓는 것을 전후풍이라고 한다[득효].
○ 전후풍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처음 2일 동안은 가슴이 켕기는 감이 느껴지면서 내쉬는 숨이 가쁘다가 갑자기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손발이 싸늘해지고 숨이 막혀 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되면 잠시 사이에 치료
할 수 없게 된다[단심].
○ 전후풍은 담열(痰熱)에 속하는데 목의 안팎이 다 붓는 병이다[단심].
○ 해독웅황원, 여성승금정, 용뇌파독단, 일자산, 이선산, 옥약시, ☞4115;파두연기(이상 7가지 처방은 다 위에 있다), 웅황산, 불수산, 백반산, 빙매환(氷梅丸, 이상의 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을 쓰면서 겸해 침치료를 하고 토하게 하는 방법을 쓰면 낫는다.
웅황산(雄黃散)
전후풍(纏喉風)으로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7알(3알은 생것으로, 4알은 익혀서 쓰는데 생것은 껍질만 버리고 갈고 익힌 것은 껍질을 버리고 등불에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간다), 마른 뽕나무버섯(乾桑黃茹) 2쪽, 석
☞4180;웅황(웅황) 1덩어리(보드랍게 간다), ☞3899;울금 1개(간다).
위의 약들을 다시 한번 더 갈아서 한번에 0.5g씩 찻물에 타서 조금씩 먹인다. 이를 악물고 목구멍이 막혔으면 참대대롱으로 이 약을 목구멍에 불어넣는다. 그러면 얼마 동안 지나지 않아서 토하고 설사한 다음 곧 낫
쨈晩득효].
불수산(佛手散)
전후풍을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40g, ☞3454;백강잠 20g, ☞3745;감초 10g, ☞3779;청대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조금씩 목구멍에 뿌린다. 목구멍이 몹시 막혔으면 참대대롱으로 불어넣어야 한다[유취].
백반산(白礬散)
전후풍과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백반 12g, ☞4115;파두 3알(껍질을 버리고 6쪽으로 만든다).
위의 약들을 냄비에 함께 넣고 백반이 구워지게 볶아서 ☞4115;파두는 버린 다음 백반만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마신다. 목구멍에 불어넣거나 뼈 검은 달걀 흰자위에 개서 목구멍에 떠넣기도 한다[유취].
$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목젖은 입천정[上 ]에 있기 때문에 인후와는 연관이 없거나 목젖이 갑자기 몹시 붓는 것은 인후에 열기가 있기 때문이다[직지].
○ 목젖을 제종(帝鍾)이라고도 하는데 목젖이 부어서 두어 치나 되게 길게 내려 드리워지는 것을 제종풍(帝鍾風)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염반산을 쓰는 것이 좋다. 침으로 찔러서는 안 된다. 침으로 찔러 터뜨리면 죽
쨈晩득효].
○ 목젖은 소리가 나오는 관문인데 장부(藏府)에 잠복되었던 열기가 인후로 치밀어 오르면 목젖이 늘어지면서 붓는다. 이런 데는 취후산, 현삼산, 붕사산을 쓴다[유취].
○ 한사에 신(腎)이 상하여 목구멍이 아프거나 목젖이 부었을 때에는 침을 놓지 말고 뱀도랏열매(☞3813;사상자)를 써야 하는데 병 속에 넣고 태우면서 그 연기를 빨아들이게 하면 곧 낫는다[입문].
염반산(鹽礬散)
목젖이 길게 늘어져 인후가 말째면서 답답한 것(妨悶)을 치료한다.
백반(소금과 함께 구운 것).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젓가락대가리에 묻혀서 목젖에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취후산(吹喉散)
목젖이 부어서 늘어지고 아픈 것과 모든 인후병을 치료한다.
담반, 백반, ☞4199;염초, 용뇌, 산두근(山豆根), ☞4170;주사, 계내금(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위의 약들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참대대롱으로 목구멍에 조금씩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회춘].
현삼산(玄蔘散)
목젖이 부어서 아프고 길게 늘어진 것을 치료한다.
40g, ☞3760;승마, 범부채(☞3930;사간), ☞3924;대황(술에 씻은 것) 각각 20g, ☞3745;감초(닦은 것)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인 다음 약간 따뜻하게 하여 자주 입에 물었다가 삼킨다[류취].
붕사산(鵬砂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4196;마아초, 곱돌(☞4182;활석), ☞4192;한수석 각각 20g, 용뇌, 백반 각각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한번에 2g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유취].
$
매핵기(梅核氣)
7정(七情)으로 기가 울결되면 담연(痰涎)이 생긴다. 그리고 이것이 기를 따라 몰리면 뜬뜬해지고 커지면서 덩어리같이 된다. 이것이 명치 밑에 있으면서 목구멍을 막게 되는데 이때에는 매화씨나 솜뭉치 같은 것이 있
는 것같다. 이것은 뱉아도 나오지 않으며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발작할 때마다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되고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런 데는 사칠탕(四七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 남자나 여자가 가슴과 목구멍에 매핵기가 생겨서 앓을 때에는 어떤 일을 당하여도 성내지 말고 찬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직지].
○ 매핵기(梅核氣)라는 것은 목구멍에 덩어리가 막혀 있는 것 같아서 뱉아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으면서 매화씨 같은 것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을 말한다. 이 원인은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몹시
성을 내서 열이 몰리고 뭉쳤기 때문에 담이 성하여 몰리고 맺힌 데 있다. 이런 데는 가미사칠탕이나 가미이진탕을 쓴다[의감].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매핵기(梅核氣)를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
차조기잎(자소엽), 끼무릇(☞3923;반하), ☞4091;후박,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4087;지실, ☞3950;천남성, 사인, 약누룩(☞2936;신국) 각각 4g, 선귤껍질(청피) 2.8g, ☞3919;백두구 2.4g, ☞4081;빈랑, 익지인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3614;생강 5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이진탕에 ☞4090;지각, 도라지(☞3675;길경), 속썩은풀(☞3853;황금), 산치자, 차조기씨(☞3690;자소자), ☞3919;백두구 각각 2.8g을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3614;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시인(尸咽)
시인(尸咽)이라는 것은 음양(陰陽)이 조화되지 않아 비기와 폐기가 몹시 막혀서 풍열(風熱)의 독기가 잘 퍼져 나가지 못하므로 시충(尸蟲)이 동하여 위로 올라와 후두를 파먹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가렵기도 하고
판졈竪넵하면서 익창( 瘡)㈜의 증상과 같다[직지].
○ 상한호혹증과 같으므로 그것을 참고하여 보아야 한다.
[註] 익창( 瘡): 벌레가 파먹은 것처럼 패어 들어가는 헌데이다. 주로 항문과 음부에 생긴다.
$
곡적(穀賊)
곡적(穀賊)이라는 것은 뻣뻣하고 깔깔한 곡식 가시랭이가 든 쌀을 잘못 먹어서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 풍열이 한데 뭉쳐 혈기와 엉켜서 붓고 쑤시는 것을 말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직지].
○ 벼나 보리의 가시랭이를 잘못 먹어서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에 게사니입 안의 침을 받아서 먹으면 곧 내려가는데 그것은 게사니의 침이 곡식을 잘 삭이기 때문이다[강목].
치곡적방(治穀賊方)
, 송진(松脂) 각각 20g, 노사( 砂) 10g, ☞4073;유향 5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녹인 황랍에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3549;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데 늘 입 안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유취].
○ 또 한 가지 처방은 ☞4196;마아초(馬牙硝)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2g씩 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 것인데 나올 때까지 써야 한다. 또한 침으로 아픈 곳을 찔러 죽은 피를 빼 낸 다음 소금물로 양치하여도 된다[유취].
$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인(咽)이 아픈 것을 액통( 痛)이라고 하는 것은 인후(咽喉)가 침과 음식을 넘기는 작용을 잘못해서 탁기[地氣]가 막혔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후비로 인액(咽 )이 아픈 것은 인후에 병이 생겨서 맑은 기[天氣]와
탁기[地氣]가 막혔기 때문이다. 대체로 후비증 때에는 인액이 아픈 것을 겸한다. 그러나 인액이 아플 때에는 다 후비증을 겸하지는 않는다[강목].
○ 인이 아픈 것은 풍사(風邪)가 인후 사이에 침범하여 기가 몰려서 열이 생겼기 때문이다[직지].
○ 목구멍이 마르고 늘 털로 찌르는 것 같으면서 음식을 잘 넘길 수 없는 것을 풍조(風燥)라고 한다. 이런 데는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3693;박하, 속썩은풀(☞3853;황금), 끼무릇(☞3923;반하), ☞3614;생강을 넣고 도라지(☞3675;길경)는 양을 곱으로 하여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입문].
○ 목구멍이 아플 때에는 ☞4200;붕사에 혹 담반을 섞거나 ☞3454;백강잠과 백매살을 섞어서 쓴다. 그리고 반드시 ☞3688;형개와 ☞3845;현삼을 써야 한다[단심].
○ 목구멍이 아픈 데는 상청원, 가감박하전원, 용뇌고(龍腦膏, 처방은 위에 있다), 형황탕, 필용방감길탕, 금소환, 청화보음탕, 강설산 등을 쓴다.
상청원(上淸元)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입 안과 혀가 허는 것을 치료하며 정신을 맑게 한다.
박하잎 600g, 사인 160g, ☞3745;감초 80g, ☞3792;방풍, 속썩은풀(☞3853;황금), 도라지(☞3675;길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2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늘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기효].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풍열(風熱)로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320g, ☞3792;방풍, 궁궁이(천궁), ☞3919;백두구 각각 40g, 사인, ☞3745;감초 각각 20g, 용뇌 2g, 도라지(☞3675;길경)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30알씩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어약].
형황탕(荊黃湯)
풍열이 뭉쳐서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대변이 굳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16g, ☞3924;대황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풍열(風熱)로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과 후비(喉痺)를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도라지(☞3675;길경) 8, ☞3745;감초, ☞3688;형개, ☞3792;방풍, 속썩은풀(☞3853;황금), ☞3693;박하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천천히 먹는다. ☞3845;현삼 4g을 넣으면 더 좋다[필용].
금소환(金消丸)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백, ☞3688;형개, 범부채(☞3930;사간), 속썩은풀(☞3853;황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다[간이].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허화가 떠올라서 목 안이 아프거나 막힌 것과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3749;숙지황 각각 4g, ☞3834;당귀, 궁궁이(천궁), 황백(동변에 축여 볶은 것), ☞3848;지모, 하늘타리뿌리(☞3828;과루근), ☞3745;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4057;죽력) 3숟가락을 넣어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 후두가 마르고 아플 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도라지(☞3675;길경), ☞3688;형개, 황백, ☞3848;지모를 넣어서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정전].
강설산(絳雪散)
목구멍이 달아 오르면서 아프고 부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달군 것) 20g, ☞4200;붕사, ☞4196;마아초, ☞4170;주사 각각 4g, 용뇌 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입 안에 뿌린 다음 나오는 침을 넘긴다[직지].
$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상한 양독증(陽毒證)이나 음독증(陰毒證) 때에는 모두 목구멍이 아프다. 상한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중경].
○ 잠복된 사기(邪氣)로 병이 생긴다는 것도 때아닌 모진 추위로 몸에 한사가 침범하여 소음경(少陰經)에 잠복했으나 처음에는 그것을 느끼지 못하다가 10일이나 한 달이 지나면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처음에는
呪만邦肝아프고 다음에는 설사가 나는데 맥(脈)은 미약하다. 고방(古方)에 신상한(腎傷寒)이라고 한 것이 이것인데 반하계감탕을 쓴다[활인].
○ 소음경에 한사가 들어가서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감길탕, 길경탕, 형개탕(荊芥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을 쓴다.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신상한(腎傷寒)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3923;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4009;계지, ☞3745;감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3614;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식혀서 천천히 먹는다[활인].
감길탕(甘桔湯)
소음경에 한사가 침범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120g, ☞3745;감초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천천히 먹는다. 우엉씨(대력자),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4g씩 넣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하면 더 좋다[해장].
길경탕(桔梗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40g, ☞3745;감초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앞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해장].
○ 이 2가지 약을 같은 양으로 한 것을 여성탕(如聖湯)이라고 한다[직지].
$
인후가 허는 것[咽喉瘡]
인후가 허는 것은 위완부(胃脘部)에 있던 실열(實熱)이 상초(上焦)를 훈증(熏蒸)하기 때문인데 헌데의 끝은 허옇고 뿌리는 붉다. 이런 데는 발성산을 쓴다[직지].
○ 인후(咽喉)가 헐어서 아픈 것은 흔히 허화(虛火)에 속하는데 허화가 돌아다니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여 그것이 인후에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3743;인삼, ☞3688;형개와 꿀물에 축여 볶은 황백을 쓴다[강목].
○ 인후가 허는 데는 ☞3614;생강같이 맛이 매운 약제는 쓰지 말아야 한다. 쓰면 병이 도리어 더 심해진다[강목].
○ 양매천포창(楊梅天疱瘡) 때 ☞4229;경분을 먹으면 그 독기(毒氣)가 돌아다니기 때문에 흔히 인후가 헐어 몹시 헤지는데 자세한 것은 제창문(諸瘡門)에 있다.
○ 인후가 허는 데는 이격탕, 우방자탕, 청화보음탕,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처방은 위에 있다), 통애산(通隘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불수산, 발성산 등과 후비로 허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등을 쓴다.
이격탕(利膈湯)
인후(咽喉)가 허는 것을 치료한다.
, ☞3688;형개, ☞3792;방풍, 도라지(☞3675;길경), ☞3743;인삼,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3745;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인두가 아프면 ☞3454;백강잠을 넣어서 써야 한다[본사].
우방자탕(牛蒡子湯)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이를 악무는 것과 헌데와 옹종, 그리고 이런 증상들이 나은 다음에 다시 가슴과 옆구리가 찌르는 듯하면서 숨이 가쁘고 열이 나서 앉지도 눕지도 못하는 것도 치료한다.
우엉씨(대력자) 8g, ☞3845;현삼, ☞3235;서각, ☞3760;승마, 속썩은풀(☞3853;황금), 으름덩굴(목통),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불수산(佛手散)
풍열(風熱)로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며 허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80g, ☞4195;망초 40g, ☞3745;감초 28g, 도라지(☞3675;길경), 부들꽃가루(☞3796;포황) 각각 20g, ☞3779;청대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조금씩 목 안에 뿌리거나 참대대롱으로 불어넣는다[단심].
발성산(發聲散)
인후가 헐어서 말째고 답답한 것(瘡妨悶)을 치료한다.
하늘타리열매(황과루, 누렇고 큰 것) 1개, 도라지(☞3675;길경) 30g, ☞3454;백강잠(닦은 것) 20g, ☞3745;감초(닦은 것)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한번에 조금씩 목 안에 뿌린다. 만일 인후가 붓고 아프면서 양쪽이 다 벌겋게 되었거나 한쪽에만 벌건 자줏빛이 길게 뻗쳤을 때에는 이 약에
☞4194;박초 4g을 고루 섞어서 뿌려야 한다. 만일 목구멍에 끝이 흰 자그마한 헌데가 생겼을 때에는 이 약에 백반가루를 2g씩 섞어서 뿌려야 한다[강목].
치후비㈜생창방(治喉痺生瘡方)
[註] 후비(喉痺): 목구멍이 붓고 아픈 병. 단유아(단아), 쌍유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후비증이나 유아(乳蛾)증으로 인후가 붓고 아프며 헌데가 생겨 헤어져서 물이나 미음도 넘기지 못하여 곧 죽게 되었을 때에는 파두살과 족두리풀(
☞3769;세신)을 같은 양으로 하여 쓰는데 가루를 내서 종이에 말아 끝을 잘 비틀어 맨 다음 중간을 잘라서 양쪽 콧구멍에 꽂으면 2시간이 지나서 머리와 이마가 서늘해지면서 목구멍이 열린다[종행].
$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인후(咽喉)가 헐고 막혀서 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데는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에서 귤껍질(陳皮)을 빼고 속썩은풀(☞3853;황금)을 넣어서 쓴다. 거듭 성질이 찬약을 먹어서 설사가 나고 목소리가 갈리는 것도 비전강기탕으로 치료한다[입문].
○ 후비증으로 목이 쉰 데는 통애산, 증손여성탕, 형개탕, 통관음, 길경탕, 신효산을 쓴다.
○ 후두가 헐고 막혀서 목이 쉰 것은 자설(紫雪,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써야 잘 낫는다.
통애산(通隘散)
목구멍이 아프고 헐어서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붕사 8g, ☞4003;해아다, ☞3779;청대, 곱돌(☞4182;활석), ☞4192;한수석 각각 4g, 부들꽃가루(☞3796;포황), ☞4196;마아초, 백반(구운 것) 각각 2.4g, ☞3784;황련, 황백 각각 2g, 용뇌 0.8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흰사탕 끓인 물에 반죽해서 가시연밥(☞3549;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는데 잠잘 무렵에 입에 머금고 혀로 누르고 있으면 저절로 녹아서 목구멍에 불어넣어 주게 되어 있는데 잘 낫는다. 어떤 처방은 갈대대롱으로 약을 조금씩 목구멍에 불어넣어
주게 되어 있는데 잘 낫는다[의감].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면서 말째고 답답하며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80g, ☞3745;감초(닦은 것) 60g, ☞4090;지각, ☞3792;방풍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달인 다음 졸인 젖( )을 대추알만큼 넣고 저어서 먹는다[강목].
형개탕(荊芥湯)
인후가 붓고 아프면서 말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 이 약을 먹으면 잘 낫는다.
도라지(☞3675;길경) 80g, ☞3745;감초 40g, 형개수 2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6g씩 ☞3614;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조금씩 먹는다[삼인].
통관음(通關飮)
후비(喉痺)로 붓고 아파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병을 따라가면서 낫게 하는 약인데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도라지(☞3675;길경) 8g, ☞3745;감초(닦은 것) 6g, ☞3743;인삼, 흰삽주(☞3750;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3792;방풍 2.8g, ☞3688;형개, ☞3693;박하, ☞3615;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길경탕(桔梗湯)
인후가 붓고 아프며 목소리가 갈려서 말하기가 힘든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각각 6g, ☞3834;당귀, ☞3990;마발 각각 4g, ☞3835;마황 2g, ☞3454;백강잠, 속썩은풀(☞3853;황금) 각각 1.2g, ☞4009;계지 적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신효산(神 散)
후비증으로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수, 아주까리살(비마육)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주염열매( 子)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주염열매(저아조각)와 서리맞은 매화열매(霜梅)를 가루를 내서 입에 머금고 있다가 먹는 것이다[삼인].
$
돌림후비증[天行喉痺]
돌림인두통[時行咽痛] 때에는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처방은 온역문에 있다)를 쓴다. 후비(喉痺)증의 증상이 온 마을이 다 비슷한 것은 기후변화로 생기는 돌림병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맛이 신 약을 쓰거나 성질
이 찬약으로 내리는 것을 절대로 금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기가 속에 몰려서 나가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강목].
○ 돌림후비증 때에는 오리주둥이같이 생긴 담반을 가루를 내어 2g을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가래를 토하고 곧 낫는다. 담반이 없을 때에는 대신 맑은
☞4174;녹반(綠礬)을 써도 된다[정전].
$
인후가 갑자기 막힌 데는 침을 놓는다[咽喉急閉宜鍼]
인후(咽喉)가 갑자기 막힌 것은 다 ☞4050;상화(相火)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삼릉침으로 피를 빼는 것이 제일 좋다[정전].
○ 후비증은 궂은 피(惡血)가 흩어지지 못하면 생긴다. 대체로 이 병을 치료할 때 병이 갑자기 생긴 것이면 먼저 발산시켜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담으로 보고 치료해야 한다. 담(痰)으로 보고 치료하여도 낫지
않으면 궂은 피를 없애야 하므로 침을 놓는다[강목].
○ 대체로 목구멍이 막혀 위급하게 되었을 때에는 빨리 침으로 피를 빼는 것과 함께 담(痰)을 삭게 하고 토하게 해야 한다. 만약 뒤늦게 치료하면 죽는다[회춘].
○ 화(火)가 몰렸을 때에는 헤쳐야 한다. 그러므로 삼릉침으로 피를 빼야 한다. 이것은 땀을 내는 것과 같은데 이때에 피가 많이 나오면 낫는다. 침을 놓은 다음에 헌데가 생기면 생강즙에 끓인 물을 타서 때때로 마
탑棚한다. 대체로 후두 위에 생긴 혈포(血泡)는 침으로 찌르는 것이 제일 좋고 후두 밑에 생겨 보이지 않을 때에는 물을 1모금 문 다음 갈대 끝으로 콧구멍을 찔러 피를 빼내야 잘 낫는다[입문].
○ 어떤 부인이 목구멍에 유아(乳蛾)가 생겼는데 침을 놓는 것을 싫어하였다. 그러자 범구사(范九思)가 나에게 한 가지 약이 있다고 하고는 곧 새붓대 끝에 침을 보이지 않게 꽂아서 찔러 피를 빼냈는데 곧 나았다[입
문].
○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다고 하여도 신상한증(腎傷寒證)이나 제종풍(帝鐘風)㈜이면 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입문].
[註] 제종풍(帝鍾風): 목젖이 부어서 길게 늘어지는 것. 목젖을 제종, 현옹수라고 한다.
$
인후가 갑자기 막히면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咽喉急閉宜吐]
모든 후비증 때에는 어른이나 어린이를 막론하고 다 토하게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좋지 못하다. 담반이나 ☞4174;녹반을 가루를 내서 박하즙과 함께 식초에 넣고 갠 다음 닭깃에 묻혀 목구멍에 넣어서 천천히 담을 끌어 올려 토하게 하면 좋다[탕씨].
○ 후비증은 흔히 담(痰)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토하게 하는 법을 쓴다[단심].
○ 취후산이나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이나 담을 없애는 처방을 쓰는 것이 좋다. 또한 좋은 식초로 양치하여 가래를 토하게 하는 것도 좋다.
취후산(吹喉散)
목구멍이 부어서 막히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녹반(☞3398;청어쓸개 속에 넣어서 바람에 말린 것) 20g, ☞4115;파두(껍질을 버린 것) 7알, ☞4194;박초 10g(따로 간다), ☞4239;동청 4g, ☞4229;경분 2g, ☞3779;청대 적은 양.
위의 약에서 담반과 ☞4115;파두를 구리그릇에 담고 닦은 다음 ☞4115;파두는 버린다. 여기에 ☞4194;박초 등 4가지 약과 ☞3139;사향을 조금 넣어서 한번에 1g씩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가래와 피를 토하고 곧 낫는다[정전].
$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直捷法]
후비(喉痺)를 치료하는 데는 겨울에 ☞3398;청어쓸개 속에 넣어 두었던 백반을 쓰는데 쓸 때마다 ☞2893;백초상과 닦은 소금을 조금 섞어서 식초에 갠 다음 오리털에 묻혀서 코에 넣으면 가래를 끌어 올려 토하게 한다. 청어쓸개이 없으면 백반 20g을 ☞4115;파두 10알의 살과 함께 구워 말린다. 다음 파두살은 버리고 백반만 쓴다. 쓰는 방법은 앞에서와 같은데 가래를 토하면 신기하게 낫는다. 토한 다음에는 금쇄시(金鎖匙, 처방은 위에 있다)를 불어넣고 늘 필용방감길탕(必
콕걺親岐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으면 아주 좋다[입문].
거연방(去涎方)
후비증을 치료한다.
주염열매(저아조각) 20g, 담반 6g, ☞3779;청대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이긴 명주천에 싸서 젓가락대가리에 잡아매어 좋은 식초에 푹 불렸다가 목 안에 넣는데 약이 인후가 헐은 데까지 닿도록
하고 젓가락을 물고 있으면 담연이 물과 같이 되면서 곧 풀린다. 그 다음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을 써야 한다[단심].
$
인후가 막힌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咽喉閉通治]
화(火)의 성질은 몹시 빠르기 때문에 화로 생긴 병은 몹시 심하다. 이런 때에는 침을 놓거나 토하게 하여 독기가 흩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급할 때에 먼저 표(標)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반드시 겸해서 『
내경』에 씌어 있는 종치(從治)㈜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註] 종치(從治): 병을 치료하는 데서 정면으로 치는 약을 쓰지 않고 병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약을 쓰는 치료법의 한 가지(열증(熱證)에 성질이 찬약을 쓰고 한증(寒證)에 더운약을 정면으로 쓰는 정치법(正治法)과
莩逾풔잔치료법이라고 하여 반치법(反治法)이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3845;현삼, ☞3760;승마, ☞3792;방풍, 강호리(☞3759;강활), ☞3688;형개, ☞3743;인삼, 흰삽주(☞3750;백출), 솔풍령(☞4029;복령) 등의 약에 ☞3615;건강과 ☞3920;부자를 조금 넣어서 써야 하는데 약 기운이 지속되도록 천천히 자주 먹어야지 단번에 먹어서는 안 된다. 이것이 기본 치료 방법이다. 그리고 반드시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을 몰아 쓰지 말아야 한다. 이것을 모르고 성
珦肝찬약을 쓰면 상초의 열은 없어지지 않으면서 중초에 찬 기운만 더 생겨서 숨이 차고 배가 불러 오르게 되는데 다 치료할 수 없는 증이다[정전].
○ 목구멍이 아프면 ☞3688;형개를 써야 하고 음(陰)이 허하여 화(火)가 타오르면 반드시 ☞3845;현삼을 써야 한다[단심].
○ 인후(咽喉)가 부으면서 아픈 모든 증상에는 청량산(淸凉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가감하여 써야 한다[회춘].
○ 빙매환, 용뇌천궁원, 청인이격산,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처방은 위에 있다),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처방은 위에 있다), 금쇄시(처방은 위에 있다),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처방은 입과 혀문<口舌門>에 있
다)를 쓴다.
빙매환(氷梅丸)
18가지의 후비증과 후풍(喉風)으로 인후가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큰 것) 35개, 끼무릇(☞3923;반하, 큰 것), 백반, 소금, ☞3792;방풍, ☞4194;박초 각 160g, 도라지(☞3675;길경) 80g, ☞3745;감초 40g, 매화열매(☞3556;오매, 큰 것으로 7분 정도 익은 것) 100개.
위의 약에서 먼저 ☞4194;박초를 2시간 정도 소금물에 담가 두었다가 여기에 나머지 약들을 가루를 내어 넣고 고루 젓는다. 그 다음 매화열매(☞3556;오매)를 넣고 매화열매 위로 3손가락 높이 만큼 올라오게 물을 붓고 7일 동안 두었다가 꺼내어 볕에 말려서 다시 그 물 속에 담갔다가 말리기를 약물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한다. 다음 매화열매를 사기항아리에 넣고 잘 막
콘두는데 이때에 약에 서리 같은 흰 꺼풀이 돋으면 더 좋다. 쓸 때에는 솜에 싸서 입에 물고 나오는 물을 천천히 삼킨다. 그러면 가래가 나오고 곧 낫는다[회춘].
○ 『입문』에는 주염열매(조각)는 160g을 넣었고 ☞3745;감초는 쓰지 않았다.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인후(咽喉)에 생긴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는데 7규(七竅)를 통하게 하고 기분을 상쾌하게 하며 정신을 맑게 하고 열(熱)을 없애며 담(痰)을 삭히고 풍(風)을 없애며 체한 것을 풀리게 한다.
박하잎 212g, 도라지(☞3675;길경) 60g, 궁궁이(천궁), ☞3792;방풍, ☞3745;감초 각각 40g, ☞3919;백두구 20g, 용뇌 12g, 사인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20알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 찻물로 먹거나 녹여 먹어도 좋다[어원].
○ 이 약은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과 같으나 양이 다르다.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유아(乳蛾)㈜증과 후폐증(喉閉證) 등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3973;연교 각각 4g, ☞3924;대황, ☞4195;망초, 우엉씨(대력자), ☞3688;형개 각각 2.8g, 속썩은풀(☞3853;황금), 산치자, ☞3693;박하, ☞3792;방풍, ☞3845;현삼, ☞3784;황련, 금은화, ☞3745;감초 각각 2g(이 약 가운데서 ☞3924;대황, 속썩은풀(☞3853;황금), ☞3784;황련, 산치자는 술에 축여 볶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註] 유아(乳蛾): 편도가 벌겋게 붓고 아픈 것. 후아라고도 하는데 한쪽만 부은 것을 단유아(단아)라고 하고 양쪽이 다 부은 것을 쌍유아라고 한다.
$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대체로 인후가 막히고 심(心)에 독기(毒氣)가 들어가서 앞가슴이 붓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숨이 몹시 차고 설사가 좍좍 계속 나면 죽는다[득효].
○ 대체로 후비증(喉痺證) 초기에는 가슴이 막히고 숨이 가쁘며 목구멍이 부으면서 아프고 손발이 싸늘하며 숨이 막혀 통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곧 죽는다[입문].
○ 대체로 목구멍이 부을 때에는 순전히 성질이 찬약이나 초약(草藥)을 써서 당장 효과를 보려고 하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 그와 같이 하면 상초의 열은 없어지지 않으면서 중초에 찬 기운만 생기게 된다. 그러면 독
雪毒氣)가 그 틈을 타서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앞가슴이 몹시 붓고 숨이 차며 설사가 나고 손발톱이 청자색으로 되다가 7일이 지나서는 전혀 먹지 못하고 입이 물고기입같이 되면서 죽는다[입문].
$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린 것[魚骨 ]
대체로 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데는 옥설무우산을 쓴다[삼인].
○ 목에 걸린 것의 종류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예를 들면 물고기 가시가 걸린 것은 가마우지( )로 치료하고 바늘이 걸린 데는 ☞4189;자석
(磁石)을 쓴다. 머리털이 걸린 데는 머리털 태운 가루를 쓰고 뼈가 걸린 데는 삵이나 범의 뼈를 써야 한다. 그러니 각기 종류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는 것이다[삼인].
○ 모든 물고기담은 다 뼈가 걸린 것을 내려가게 한다. 쏘가리( 魚膽)나 가물치( 魚膽)나 붕어의 담(魚膽)도 다 쓸 수 있는데 섣달에 잡은 담(膽)이 더 좋다. 주염열매(
☞4116;조협) 1알만큼 떼어 데운 술에 타서 마시면 토하면서 걸렸던 것이 곧 나온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데운 술을 마셔서 토해야 한다. 뼈가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본초].
○ 남붕사(南鵬砂)를 머금고 있으면 걸렸던 뼈가 녹아 내리듯이 없어진다[득효].
○ 쇠고비(☞3940;관중)를 진하게 달여서 1잔 반을 세번에 나누어 연이어 먹으면 잠깐 사이에 가시가 나온다[득효].
○ 사인(縮砂)과 ☞3745;감초가루를 솜에 싸서 물고 있으면 침이 나오는데 그것을 삼키면 곧 토한다[단심].
○ 들모시풀뿌리(野苧根)를 깨끗하게 씻어서 찰지게 짓찧은 다음 앵두알만큼씩 떼서 쓰는데 닭뼈가 걸렸을 때에는 닭고기 국물에 타서 먹고 물고기 가시가 걸렸을 때에는 물고기 국물에 타서 먹으면 곧 나온다[단심].
○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에는 잉어의 비늘과 껍질을 불에 태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으면 곧 나온다[본초].
○ 위[ ] 속에 물고기 가시가 들어가서 찌르는 것같이 아플 때에는 ☞4062;오수유 달인 물 1잔을 마시면 가시가 연해져서 나온다[강목].
○ 원추리뿌리즙(훤초근즙)을 마셔도 곧 내려간다[강목].
○ 해달피(海獺皮)를 달인 물을 마시기도 한다. 수달피도 좋다. 또한 가마우지나 물촉새를 태워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서 마셔도 곧 내려간다[본초].
○ 봉선화씨를 물에 갈아 그 즙을 숟가락으로 떠서 이빨에는 닿지 않게 목구멍에 넣는다. 씨가 없으면 뿌리를 쓴다[의감].
○ 주염열매가루( 角末)를 코에 불어넣어서 재채기를 하여도 곧 나온다[유취].
$
짐승뼈가 목에 걸린 것[獸骨 ]
짐승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3167;상아(象牙)를 물에 말아서 마셔야 내려간다. ☞3167;상아로 만든 빗이나 홀(笏)㈜도 다 쓸 수 있다[득효].
[註] 홀(笏): 봉건사회에서 신하가 임금을 찾아갈 때 조복을 입은 다음 손에 쥐는 물건을 말하는데 1품에서 4품까지는 ☞3167;상아로 만들고 5품 아래는 나무로 만든다.
○ 뽕나무좀가루를 쌀초에 달여서 목구멍에 넣거나 양치를 하면 저절로 내려간다[득효].
○ 또는 개를 거꾸로 달아 매놓고 흘리는 침을 사발에 받아서 천천히 넘겨도 걸렸던 뼈가 녹아서 물이 되는데 참으로 신기하다. 이처럼 되는 것은 개가 아무런 뼈나 다 잘 먹기 때문이다[회춘].
○ 여러 가지 고기나 뼈가 목에 걸렸을 때에는 닭발족 한 마리 분을 태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는다[유취].
○ 짐승의 뼈가 걸린 데는 범뼈를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는다. 삵의 뼈도 좋은데 달여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본초].
○ 닭뼈나 물고기 가시가 걸린 데는 소금에 절인 매화열매살(白梅肉)을 쓰는데 크게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실로 꿴다. 다음 끈을 달아서 식은 차로 넘기는데 실의 한 끝은 손에 잡는다. 그다음 한번 구역질하면 곧
나온다[회춘].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여러 가지 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과 전후풍(纏喉風)을 치료한다.
(달군 것), ☞4200;붕사 각각 12g, ☞3845;현삼, 쇠고비(☞3940;관중), 곱돌(☞4182;활석), 사인, 산두근, ☞3784;황련, ☞3745;감초, 벌건솔풍령(적복령), 형개수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떠서 깨끗한 물로 먹는다[득효].
$
목에 걸린 뼈를 나오게 하는 방법[引 法]
목에 뼈가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소 힘줄[牛筋]이나 사슴 힘줄[鹿筋]을 물에 담갔다가 쥐어짜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만든 다음 한 끝을 잡고 무엇이 걸려 있는 곳까지 닿도록 삼켰다가 천천히 당기면 걸렸던
것이 힘줄에 붙어서 곧 나온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작은 솜뭉치 하나를 꿀물에 삶아 끈으로 매서 위의 방법과 같이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곧 나온다[득효].
○ 염교흰밑( 白)을 부드럽게 되도록 씹어서 노끈에 매여 무엇이 걸려 있는 곳까지 닿도록 삼켰다가 당기면 걸렸던 것이 곧 따라 나온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부추흰밑( 白)으로 위의 방법과 같이 하는 것인데 찻물로 삼켰다가 천천히 당기면 걸렸던 것이 나온다[의감].
○ 활줄의 한쪽 끝을 허실허실하게 되도록 두드려서 삼켰다가 당겨도 나온다[속방].
주법(呪法)㈜
여러 가지 뼈가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려면 깨끗한 그릇에 새로 길어온 물 1잔을 담아 놓고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속으로 조용히 근청태상 동류순수급급여 남방화 제율령(謹請太上東流順水急急如南方
火帝律令)하고 외워야 하는데 숨을 한번 들이쉬고는 일곱번 외운 다음 곧 들이쉬었던 숨을 물에 내불어야 한다. 이렇게 일곱번 한 다음 그 물을 마시면 걸려 있던 것이 곧 나온다. 어떤 데는 이렇게 한 물이 목에 침
犬 참대가시가 걸린 데도 좋다고 하였다[의감].
방예법[禳法]㈜
목에 뼈가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물고기뼈 1개를 쓰는데 환자의 머리털 속에 꽂아 준다. 이때에 환자가 알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러면 잠깐 있다가 걸려 있던 것이 곧 내려간다[종행].
[註] 주법에 대한 내용은 당시 사회발전의 제한성으로 말미암아 일정한 글귀로 주문을 지어서 격식대로 외우면 마치 병이 나을 수 있다고 본 비과학적인 내용이다.
[註] 방예법은 주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인데 과학성이 없는 말이다.
$
여러 가지 물건을 잘못 삼킨 것[誤呑諸物]
잘못하여 금이나 은으로 만든 것을 먹었는데 그것이 뱃속에 있을 때에는 ☞4228;수은(水銀)을 먹어서 녹아 나오게 해야 한다[강목].
○ 금이라는 것은 ☞4228;수은을 만나면 녹아서 진흙같이 된다. 금이나 은을 잘못 먹었을 때에 ☞4228;수은 20g을 먹으면 곧 녹아서 나온다㈜[본초].
[註] ☞4228;수은 20g을 먹으면 수은중독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방법을 써야 한다.
○ 잘못하여 금이나 은이나 구리로 만든 돈을 먹었을 때에 사인을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그 돈이 저절로 나온다. 그리고 발제( 薺)를 풀어지게 갈아서 먹어도 그 돈이 저절로 녹아 나온다. 또는 굳은 숯을 가루를 내
어 미음에 타서 먹어도 그 돈이 ☞3556;오매같이 되어 대변으로 나온다[입문].
○ 잘못하여 구리돈이나 쇠조각을 먹었을 때 발제를 적당히 먹으면 조금 있다가 녹아서 나온다. 시험삼아 1돈짜리 구리돈을 발제 4-5개를 씹은 것과 함께 둬두면 구리돈이 곧 녹는 것을 볼 수 있다[유취].
○ 호두를 많이 먹어도 그 구리돈이 저절로 녹아 나온다[회춘].
○ ☞4235;연분 40g을 물에 타서 2번에 나누어 먹어도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돈을 먹었을 때 졸인 꿀 2되를 먹으면 곧 나온다. 또는 엿(☞2999;이당) 600g을 조금씩 먹어도 곧 나온다. 잘못하여 가락지나 비녀를 먹은 것도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은비녀나 참대가치[簪]나 나무가치[竹木]를 먹은 것이 나오지 않을 때에 흰사탕가루 몇 근을 먹으면 흰사탕가루가 그 물건을 싸가지고 저절로 나온다㈜[유취].
[註] 과학성이 없는 내용이다.
○ 어린이가 돈을 삼킨 것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아욱국을 끓여 식혀서 마시게 하면 곧 나온다. 아욱의 뿌리나 잎이나 씨도 효과가 같다[본초].
○ 잘못하여 비녀를 삼켰을 때에 염교( 白)를 볕에 누렇게 시들도록 말려서 잘 달인 다음 썰지 않고 1묶음을 먹으면 그 비녀가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바늘을 삼켰을 때에 대추씨만한 ☞4189;자석을 광채가 나도록 갈아서 송곳으로 구멍을 뚫은 다음 실을 매여서 삼켰다가 잡아당기면 바늘이 ☞4189;자석에 끌려 나온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잠두콩을 익도록 삶아서 부추와 같이 먹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바늘이 부추와 함께 대변으로 나온다. 어떤 처방에는 ☞2955;완두
를 쓰게 되어 있다[입문].
○ 잘못하여 참대가치[簪]나 나무가치[竹木]를 삼킨 것이 목구멍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헌 톱을 벌겋게 달구었다가 술에 담가서 술이 뜨겁게 된 다음 마신다. 또 한 가지 방법은 도끼를 간 물을 목구멍에 떠넣
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여도 내려간다[본초].
○ 잘못하여 못이나 화살촉이나 바늘이나 돈 등을 삼켰을 때에 돼지나 양의 비계를 많이 먹으면 반드시 삼켰던 물건을 싸가지고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구리나 쇠붙이를 삼켰을 때에 살찐 돼지고기나 아욱(葵菜)을 많이 먹으면 저절로 나온다[유취].
○ 잘못하여 줄이 달린 낚시를 삼켰을 때에는 막 잡아당기지 말고 빨리 옥구슬이나 호박구슬이나 수정구슬이나 율무쌀(☞2956;의이인)을 실에 꿰서 낚시가 있는 곳에 닿도록 삼킨 다음 잡아당기면 저절로 나온다[유취].
○ 잘못하여 복숭아(桃)나 추리(李)를 삼킨 것이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개대가리 삶은 물로 머리를 문지르면 내려간다[본초].
○ 잘못하여 머리털을 삼킨 것이 목에 감겨서 나오지 않을 때에는 ☞3004;난발 태운 가루를 한번에 4g씩 물에 타서 마신다[본초].
$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잘못하여 왕지네(☞3501;오공)를 삼킨 것이 목구멍에 걸려 있어 몹시 답답할 때에는 빨리 살아 있는 돼지의 피를 내서 먹은 다음 조금 있다가 참기름을 입 안에 떠넣으면 곧 토하는데 왕지네가 돼지피에 싸여서 나온다. 그 다음 이어서 석웅황가
潁 물에 타 먹어야 독이 풀린다[강목].
○ 잘못하여 거머리(☞3503;수질)를 삼켰는데 그것이 배에 들어가서 오랫동안 살아 있으면서 간에 피를 빨아먹으면 배가 참을 수 없이 아프고 얼굴이 누렇게 여위며 죽기도 한다. 이런 데는 논 가운데 있는 마른 진흙 작은 것으로 1덩어리와 죽은 물
고기 작은 것으로 3-4마리를 돼지기름(저지)에 넣고 잘 끓인 다음 ☞4115;파두 10알을 껍질을 버리고 뭉크러지게 갈아서 넣고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10알을 찬 논물로 먹으면 조금 있다가 크고 작은 거머리(☞3503;수韓
)가 다 나온다. 그 다음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3788;황기를 넣어 달여 먹어서 조리하고 보해야 한다[입문].
○ 거머리(☞3503;수질)가 배에 들어갔을 때에 진한 찻물을 많이 마시면 저절로 나온다[종행].
○ 잘못하여 거머리(☞3503;수질)를 삼켰을 때에 꿀을 먹으면 녹아서 물이 된다. 또한 논 가운데 있는 진흙을 앵두알만하게 빚어서 1알을 물에 풀어 먹어도 거머리(☞3503;수질
)가 나온다[회춘].
$
단방(單方)/인후
모두 28가지이다(성연통과 취후산도 들어 있다).
백반(白礬)
목구멍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백반가루 4g과 파두살 1알을 함께 넣고 볶아서 말린 다음 백반가루만 다시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목 안에 불어넣으면 가래가 나오고 저절로 낫는다[직지].
○ 전후풍(纏喉風)에는 백반가루 2g을 살 검은 닭의 알 1개의 흰자위에 고루 타서 쓰는데 목 안에 떠넣으면 곧 낫는다[강목].
(朴硝)
후비증을 치료하는 데 잘 듣는다. 입에 머금고 천천히 물을 빨아먹으면 곧 낫는다. ☞4196;마아초나 ☞4199;염초도 효과가 같다[본초].
○ 목 안이 헐고 부은 것은 ☞4194;박초 4g과 껍질을 버린 아주까리씨(피마자) 1알을 함께 갈아서 깨끗한 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鵬砂)
인후비(咽喉痺)를 치료하는 데 제일 좋은 약이다.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본초].
○ 곡적(穀賊)을 치료하는 데는 ☞4200;붕사와 ☞4196;마아초를 같은 양으로 해서 쓰는데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솜에 싸서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직지].
(升麻)
인후비(咽喉痺)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잘게 썰어서 달여 그 물을 머금고 있는다[본초].
마린근(馬藺根, 타래붓꽃뿌리)
후폐(喉閉)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짓찧어 즙을 내서 조금씩 먹는다. 입을 벌리지 못할 때에는 떠넣어 주어야 한다. 잎이나 씨도 효과가 같다. 씨를 쓸 때에는 49알을 가루를 내어 물에 타 먹
殷잎을 쓸 때에는 80g을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우방자(牛蒡子, 우엉씨)
후비증을 치료한다. 우엉씨 1홉을 절반은 닦고 절반은 생것으로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뜨거운 술에 타 먹는다. 또는 우엉씨 2.4g과 타래붓꽃씨(마린자) 3.2g을 함께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더운물에 타 먹어도
的낫는다[본초].
(桔梗, 도라지)
목구멍이 아픈 것과 후비증을 치료한다. 도라지와 ☞3745;감초를 같은 양으로 해서 물에 달여 조금씩 먹는다.
○ 후비증이 심해져서 뺨까지 붓고 메스꺼운 증상이 자주 생기는 것을 마후비(馬喉痺)라고 한다. 이런 데는 도라지(☞3675;길경) 80g을 썰어서 물 3되에 넣고 1되가 되도록 달여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射干, 범부채)
후폐(喉閉)로 물도 넘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짓찧어 즙을 내서 조금씩 먹는다. 후비증을 낫게 하는 데는 가장 빠르다. 식초에 갈아 즙을 내어 입에 머금고 있어서 가래를 나오게 하면 더 좋다[단심]
.
( 麻子, 아주까리씨)
후비(喉痺)와 목구멍이 붓고 헌 것을 치료한다. 아주까리씨 1알을 껍질을 버리고 ☞4194;박초 4g과 함께 깨끗한 물에 갈아서 먹는데 계속 몇 번 먹으면 낫는다[단심].
○ 또 한 가지 방법은 아주까리씨를 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다음 종이에 말아 참대대롱같이 만들어 불에 태우면서 그 연기를 빨아 삼키게 하는 것인데 후비증을 낫게 한다. 이것을 일명 성연통(聖烟筒)이라고도 한다[
ㅐ互.
(馬勃, 말버섯)
후폐(喉閉)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꿀에 개서 조금씩 물에 타 먹는다[본초].
○ 또는 백반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게사니깃관으로 목 안에 불어넣어도 가래를 토하고 낫는다[강목].
( 莢, 주염열매)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두드려서 껍질과 씨를 버린 다음 물에 넣고 주물러서 1잔을 마시면 혹 토하고 낫거나 토하지 않고도 낫는다[득효].
여어담( 魚膽, 가물치쓸개)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조금씩 아픈 곳에 넣는데 약을 넣자 곧 낫는다. 병이 오래되었으면 물에 타서 떠넣어야 한다. 음력 섣달에 잡은 것이 좋다[본초].
(壁錢, 납거미집)
후비증과 쌍유아(雙乳蛾)를 치료한다. 납거미집 1개를 환자의 뒷머리털 1오리로 얽어맨 다음 은비녀에 꽂아 등불에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내서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회춘].
○ 또 한 가지 방법은 납거미집(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 것), 백반(구운 것), 난발회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목 안에 불어넣는 것인데 후폐증을 낫게 한다. 이것을 일명 취후산(吹喉散)이라고 한다[의감
].
( , 굼벵이)
후비증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목 안에 넣으면 곧 목이 열린다[본초].
(蛇 , 뱀허물)
후폐(喉閉)㈜증을 치료한다. 태워서 가루를 내어 목 안에 불어넣는다.
[註] 후폐(喉閉): 목구멍이 부어 막혀서 숨쉬기 불편한 것.
○ 전후풍(纏喉風)으로 숨을 잘 쉬지 못하는 데는 뱀허물(누렇게 구운 것)과 ☞3834;당귀를 같은 양으로 하여 쓰는데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으면 낫는다[본초].
( 蚓, 지렁이)
후폐증을 치료한다. 즙을 내서 먹으면 목구멍이 열린다[본초].
(白 蠶)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개서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 또는 ☞3454;백강잠(닦은 것)과 백반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소금에 절인 매화열매살(白梅肉)에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 子)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입에 머금고 녹여 먹어도 낫는다[직지].
누고( , 도루래)
목구멍이 막힌 것과 여러 가지 물건이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도루래의 골을 먹으면 낫는다[본초].
(石蟹, 가재)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것을 치료한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으면 목이 열린다[본초].
웅작분(雄雀糞)
목구멍이 막히고 이를 악문 것을 치료한다. 웅작분을 보드랍게 갈아서 한번에 2g씩 더운물에 타 먹는다[본초].
( 子, 달걀)
목구멍이 막힌 것을 열어 주므로 막힌 것을 치료한다. 생달걀 1알을 노른자위는 버리고 흰자위만 쌀초에 넣고 겻불에 뜨겁게 되도록 끓여서 식초까지 먹는데 한두번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호화상비아(瓠花上飛蛾, 박꽃에 날아다니는 나비)
목구멍이 부어서 아프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태워서 가루를 내서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속방].
이즙(梨汁, 배즙)
후비(喉痺)증으로 열(熱)이 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제일 좋은 배를 짓찧어 즙을 내서 자주 마시는 데 많이 쓰는 것이 좋다[정전].
나복즙(蘿蔔汁, 무즙)
후비증으로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천천히 마시면 곧 낫는다[강목].
(飴糖, 엿)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빚어서 넘기는데 그래도 내려가지 않으면 더 크게 빚어서 넘겨도 좋다[본초].
미초(米醋, 쌀초)
목구멍이 헌 것을 아물게 하고 후비증을 낫게 한다. 쌀초로 입을 가셔서 가래를 토하게 하면 좋다[회춘].
(大麥麵, 보릿가루)
전후풍(纏喉風)으로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보릿가루로 죽을 묽게 쑤어 먹는다. 보릿가루죽은 위기(胃氣)를 돕는데 미끄러워서 넘기기도 쉽다[본초].
지마(脂麻, 참깨)
곡적(穀積)을 치료한다. 닦아서 가루를 내어 끓인 물로 조금씩 먹는다[직지].
$
침뜸치료[鍼灸法]/인후
후폐(喉閉) 때에는 소상(少商), 합곡(合谷), 척택(尺澤) 혈(穴)에 침을 놓는다[단심].
○ 후비증은 나쁜 피가 흩어지지 못하여 생긴 것이므로 삼릉침으로 나쁜 피를 빼내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강목].
○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데는 풍부혈(風府穴)에 침을 놓는다. 이 혈은 목 안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과 독기가 심으로 들어간 것 등 목에 생기는 나쁜 증상을 주로 치료하는 데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또한 소상혈에
㎱밗놓아도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이 다 낫는다. 그리고 합곡혈에 침을 놓거나 상성혈(上星穴)에 침을 놓아서 볼에 생긴 부스럼[頰腫]이나 전후풍 등을 치료한다. 또한 족삼리혈(足三里穴)에 침을 놓아도 된다[득효].
○ 후비증 때에는 수소음경(手少陰經)의 혈 즉 신문혈(神門穴)에 침을 놓는다[강목].
○ 후비증 때에는 수족소양경(手足少陽經)의 정혈 즉 관충혈(關衝穴)과 규음혈(竅陰穴)에 침을 놓는다[동원].
○ 후비증과 유아에는 소상(少商), 조해(照海), 태충(太衝) 혈을 쓴다[동원].
○ 목구멍이 막힌 데는 조해혈을 쓴다[영추].
○ 이를 악물고 벌리지 못할 때에는 양령혈(陽靈穴)에 침을 놓아 피를 빼내면 낫는다[득효].
○ 후비증에는 풍륭( 隆), 용천(涌泉), 관충(關衝), 소상(少商), 은백(隱白), 소충(少衝) 혈을 쓴다[강목].
○ 여러 해 된 후비증 때에는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엄지손가락 첫마디에 작은 뜸봉으로 뜸을 2-3장 뜬다[단심].
○ 오랫동안 인후(咽喉)증이 늘 생기는 데는 귀방울에서 약 5푼 정도 아래로 내려가 볼뼈 가까운 곳에 뜸을 7장 뜬다. 14장을 뜨면 더 좋다[득효].
○ 족양명경의 별락[別名]을 풍륭혈( 隆穴)이라고 한다. 이 경맥에 병이 생겨서 기가 거슬러오르기 때문에 후비증이 생겨 갑자기 벙어리가 되었을 때에 이 혈을 쓴다[영추].
$
인과 후는 각기 다르다[咽與喉各異]
『영추』에 인후는 음식물이 통하는 길이고 울대[喉 ]는 숨이 오르내리는 곳이며 회염(會厭)은 소리가 나오는 문호이고 목젖[懸雍]은 소리의 관문이다고 씌어 있다. 『내경』에는 후(喉)는 천기를 주관하고 인
(咽)은 지기를 주관한다. 또한 지기는 익( )으로 통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익( )은 인후 아래 가슴 속의 양쪽 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익이란 바로 인의 아래쪽이고 인이란 익의 위쪽이다고 씌어 있다.
○ 후는 통한다는 말이고 인은 삼킨다는 말이다. 인은 3완(三脘)과 연결되었고 위와 통해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넘길 수 있다. 후는 5장과 통해 있으면서 폐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숨은 쉴 수 있다. 숨쉬는 곳이 후이
殷음식이 들어가는 곳이 인이다. 이와 같이 한계가 아주 명백하다[득효].
○ 인은 위(胃)의 줄이고 후는 폐기(肺氣)가 통하는 곳이다. 인으로는 음식이 넘어가고 후로는 숨을 쉬는데 그 이치는 한 가지이다. 그러나 부문이 다르다[직지].
○ 인은 음식물을 넘기는 문호이다[강목].
$
인후와 회염과 설은 그 작용이 같지 않다[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
인, 후, 회염(會厭), 혀 이 4가지는 다 입 안에 있으니 그 작용은 각기 다르다. 후는 숨을 쉬는 곳이므로 천기(天氣)와 통하고 인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곳이기 때문에 지기(地氣)와 통하나, 회염은 인과 후의 윗부분
밗관할하면서 열었다 닫았다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회염이 후를 덮어야 음식물이 내려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지 못하면 잘못된다. 혀가 입천장에 닿을 때에 회염은 후두를 열어 준다. 이와 같이 4개의 기관은
새로 연관되어 작용한다. 그러므로 한 기관만 없어도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되어 죽는다[자화].
$
인후의 크기[咽喉度數]
『영추』에 식도의 무게는 400g이고 너비는 2치 5푼이며 위(胃)까지의 길이는 1자 6치이다고 씌어 있다.
○ 울대의 무게는 480g이고 너비는 2치이며 길이는 1자 2치이다[자화].
○ 『선경(仙經)』에 강궁(絳宮)은 12층으로 되어 있는데 다락이 있고 울대는 12마디로 된 관이다고 씌어 있다[양성].
$
맥 보는 법[脈法]/인후
양쪽 촌맥(寸脈)이 부홍(浮洪)하면서 넘치는 것은 후비증(喉痺證)이다. 맥이 미(微)하면서 복(伏)하면 죽는다[정전].
○ 인후병 때에는 양쪽 촌맥이 홍(洪)하고 넘친다. 상초가 성하고 하초가 허하면서 맥이 미하고 복하면 좋지 못하다[회춘].
$
인후병은 다 화에 속한다[咽喉之病皆屬火]
『내경』에 1음(一陰)과 1양(一陽)이 맺힌 것을 후비(喉痺)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비는 막혔다는 것과 같다). 주해에 1음(一陰)은 심포락의 경맥을 말하는 것이고 1양(一陽)은 3초의 경맥을 말하는 것이다. 3초
(三焦)의 경맥과 심포락의 경맥은 다 후와 통하여 있다. 그러므로 이 경락에 열이 있어서 속에 맺히고 응결되면 후비가 된다고 씌어 있다.
○ 1음이란 간경(肝經)과 심포경(心包經)이며 1양이란 담경(膽經)과 삼초경(焦硝經)이다. 이 4경에는 다 ☞4050;상화(相火)가 있다. 화(火)는 담(痰)의 근본이며 담은 화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것이다[입문].
○ 소음군화(少陰君火)와 소양상화(少陽相火), 이 2경맥은 다 인후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군화(君火)의 기운이 완만하면 열이 몰려서 붓고 아프다.
☞4050;상화의 기운이 급하면 몹시 부어서 감각이 둔해지면서 후비가 된다. 후비가 심하면 숨이 통하지 못하고 가래가 막히면서 죽는다[입문].
○ 인후병은 다 화열(火熱)에 속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으나 경하고 중한 것이 다른데 그것은 다 화가 경한가 심한가에 관계된다. 화가 적고 경하면 천천히 치료하여도 되지만 심하고 급하면 침을 놓아 피
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정전].
$
인후병의 종류[咽喉病名]
인후병에는 단유아, 쌍유아, 단후폐, 쌍후폐, 전후풍, 급후비, 현옹수, 매핵기, 시인, 곡적, 골경, 목구멍이 아픈 것과 허는 것 등이 있다.
○ 인후(咽喉)와 현옹(懸癰)은 몸의 관문이나 요새와 같은 것이므로 여기에 생긴 병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직지].
○ 인후병에는 18가지 이름이 있으나 그것은 이전 사람들이 억지로 붙인 것이므로 써넣지 않는다.
$
단유아, 쌍유아, 후비[單乳蛾雙乳蛾喉痺]
회염(會厭)의 양쪽이 부은 것을 민간에서는 쌍유아(雙乳蛾)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쉽다. 회염의 한쪽이 부은 것을 민간에서는 단유아(單乳蛾)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고방(古方)에는 총체적으로
캤淨喉痺)라고 하였는데 이것도 다 ☞4050;상화가 위로 치밀어서 된 것이다[정전].
○ 열기가 모두 후두 양쪽으로 올라가 부딪쳐서 바깥쪽으로 부었을 때에는 그 생김새가 유아(乳蛾)와 비슷하다. 한쪽만 부은 것을 단유아라고 하며 양쪽이 다 부은 것을 쌍유아라고 한다[의감].
○ 단아풍(單蛾風)이라는 것은 동그랗게 생겼는데 젓가락대가리만하다. 이것은 인후와 회염 위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생긴다. 회염 아래에 생겼을 때에는 치료하기 어렵다. 쌍아풍(雙蛾風)이라는 것은 2개씩 생기는데
후두와 회염의 양쪽에 생긴다. 이것 역시 젓가락대가리만하고 동그랗다. 회염 아래에 생기면 치료하기 힘들다[득효].
○ 유아(乳蛾)가 조금 작은 것을 후폐(喉閉)라고 한다[의감].
○ 후비는 대체로 담열(痰熱)로 생긴다[단심].
○ 전후풍(纏喉風)과 후폐증(喉閉證)은 다 가슴 속에 본래 담이 있었거나 주색(酒色)과 7정(七情)으로 화가 동하여 담이 올라와 인후를 막아서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속과 겉이 다 부으면서 아프고 물도 넘기지 못하
게 되는데 위험하고 급한 병이다[단심].
○ 후비라는 것은 목구멍으로 숨이 잘 통하지 못하고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인데 이것은 천기(天氣)가 막혔기 때문이다[강목].
○ 여성승금정, 해독웅황원, 우황양격원, 칠보산, 담반산, 계내금산, 비급단, 용뇌고, 청룡담, 취후산 등을 쓴다. 실화(實火)에는 청량산, 허화(虛火)에는 가미사물탕을 쓴다.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인후(咽喉)가 갑자기 막힌 것과 단아(單蛾), 쌍아(雙蛾), 결후(結喉), 중설(重舌), 목설(木舌) 등을 치료한다.
유황, 궁궁이(천궁), 작설차, ☞3693;박하, ☞3921;오두, 초석, ☞3748;생지황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파즙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먹되 먼저 찬물로 양치한 다음 박하잎 5-7잎을 씹고 나서 먹어야 한다. 병이 심하면 연거푸 세번 먹어야 한다[국방].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후폐(喉閉)로 이를 악물어서 물도 잘 넘기지 못하며 위급해진 것을 치료한다.
석☞4180;웅황(웅황, 수비한 것), ☞3899;울금 각각 10g, ☞4115;파두 14알(껍질을 버리고 기름을 뺀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알씩 찻물로 먹는다.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식초에 약을 개어 콧구멍에 밀어 넣어 준다. 그러면 조금 있다가 뭉친 가래
를 토하고 설사한 다음 곧 깨어난다[국방].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인후가 부으면서 아프고 입 안과 혀가 헐며 뺨이 벌겋게 붓고 열이 나면서 가래가 막히는 것을 치료한다.
, ☞4192;한수석(달군 것), ☞4187;석고(달군 것) 각각 80g, ☞3745;감초(닦은 것) 40g, 우담남성 30g, ☞4184;자석영(달구어 수비한 것) 20g, ☞3142;우황, 용뇌, ☞3139;사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3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3693;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칠보산(七寶散)
후폐(喉閉)와 단아, 쌍아(雙蛾)를 치료한다.
주염열매(조각) 1꼬투리, 전갈 10개(독을 뺀다), ☞4200;붕사, 석☞4180;웅황(웅황), 백반, 담반 각각 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목 안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단심].
담반산(膽礬散)
목구멍이 마비되고 부어서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담반 2g, 전갈 2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닭의 깃[鷄羽]에 묻혀서 목 안에 넣으면 조금 있다가 목이 열리면서 말소리가 나온다. 그 다음 연잎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으면 독한 담을 토하고 곧 낫는다. 만일 토하지 않으
芮다시 먹어야 한다[직지].
계내금산(鷄內金散)
후폐(喉閉)와 단아(單蛾), 쌍아(雙蛾)를 치료한다.
계내금(음력 섣달에 받아서 그늘에 말려 가루를 낸 것) 4g, 녹두가루 12g.
위의 약들을 꿀에 반죽해서 알약 3알을 만들어 먹으면 잘 낫는다[필용].
비급단(備急丹)
인후(咽喉)가 막힌 것을 치료한다.
, ☞4195;망초, ☞3454;백강잠 각각 40g, ☞3745;감초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음력 섣달에 잡은 소의 담낭(牛膽, ☞3142;우황이 생긴 것)에 넣어서 49일 동안 그늘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를 내서 목 안에 불어넣으면 잘 낫는다[강목].
용뇌고(龍腦膏)
후비(喉痺)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600g, ☞3745;감초 120g, ☞3792;방풍, 궁궁이(천궁), 도라지(☞3675;길경) 각각 80g, ☞4199;염초 40g, ☞3919;백두구 30알, 사인 5알, 용뇌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별방].
청룡담(靑龍膽)
목구멍이 부어 막히고 아픈 것과 단아와 쌍아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담반(膽礬)을 ☞3398;청어 담낭에 넣어서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서 목 안에 불어넣으면 낫는다. ☞3398;청어가 없을 때에는 대신 가물치열[ 魚膽]을 써도 되는데 음력 섣달에 잡은 것이 좋다[활인].
취후산(吹喉散)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담반 20g(담반이 없으면 ☞4174;녹반을 대신 쓰는데 ☞3398;청어 담낭에 넣어 바람에 말린다. 청어담이 없으면 대신 가물치담을 쓴다), ☞4115;파두(껍질을 버린 것) 7개, ☞4199;염초(따로 가루를 낸 것) 10g, ☞4239;동청(銅靑) 4g, ☞4229;경분 2g, ☞3779;청대 1g.
위의 약에서 담반을 ☞4115;파두와 함께 구리그릇에 넣고 볶은 다음 ☞4115;파두는 버린다. 다음 여기에 ☞4199;염초 등 4가지 약과 ☞3139;사향을 조금 넣어서 한번에 1g씩 목 안에 불어넣으면 가래와 피를 토하고 곧 낫는다[강목].
청량산(淸凉散)
실화(實火)로 인후(咽喉)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6g, 산치자, ☞3973;연교, 속썩은풀(☞3853;황금), ☞3792;방풍, ☞4090;지각, ☞3784;황련, ☞3834;당귀, ☞3748;생지황, ☞3745;감초 각각 2.8g, ☞3693;박하, 구릿대(☞3850;백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3989;등심초) 2g, 차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허화(虛火)로 생긴 후비(喉痺)와 목구멍이 아픈 것과 헌 것을 치료하는데 화(火)를 아주 잘 내린다.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각각 6g, ☞3749;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8g, ☞3834;당귀, 궁궁이(천궁), 황백(꿀물에 축여 볶은 것), ☞3848;지모, 하늘타리뿌리(☞3828;과루근)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참대기름 1종지를 타서 먹는다[회춘].
$
급후비(急喉痺)
『영추』 목구멍에 헌데가 생긴 것을 맹저(猛疽)라고 하는데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목구멍이 막혀서 숨이 잘 통하지 못하게 된다. 숨이 잘 통하지 못하면 한나절이 못되어 죽는다고 씌어 있다.
○ 갑자기 목구멍이 막혀서 갑자기 죽는 것을 주마후비(走馬喉痺)라고 한다[의감].
○ 후두의 회염(會厭)이라는 것은 『내경』에서 흡문(吸門)이라고 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숨쉬는 것을 맡아서 기를 오르내리게 하는데 관문(關門)에 있는 요긴한 풀무와 같은 문호(門戶)이다. 급후비(急喉痺)로 갑자
기 목이 붓고 아파서 물도 넘기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게 되면 잠깐 사이에 죽게 되니 참으로 놀랄만한 병이다[정전].
○ 빨리 침치료나 토하게 하는 방법을 써서 낫게 해야 한다. 만약 약을 넘기지 못할 때에는 구부러진 참대대롱으로 약을 목 안에 넣어 주면 좋다[유취].
○ 급후폐(急喉閉)로 코고는 소리를 내는 것도 있고 목에서 가래소리가 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폐기가 끊어진 증상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고(人蔘膏)를 써서 살린 다음 입을 벌리고 생강즙과 참대기름(☞4057;죽력)을 자주 떠먹어야 한다. 그리고 인삼고를 써도 살아나지 못하면 독삼탕(獨蔘湯)을 달여 먹어서 살려야 한다. 이 병은 빨리 치료해야 10명에 7-8명이 나을 수 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뒤늦게 치료하면 10명에 4-5명
謗 낫게 할 수 없다. 몹시 늦게 치료하면 10명에 1명도 낫게 할 수 없다[강목].
○ 손조(孫兆)가 번원종(潘元從)의 급후비를 치료할 때에 약 2g을 목구멍에 불어넣었는데 조금 있다가 피고름을 토하고 곧 나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번원종이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몹시 위급한 병이었는데 선생이 아
耈珦만芮고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돈 1백냥을 주면서 그 처방을 알려 달라고 하였다. 그러나 손조는 주염열매(저아조각), 백반, ☞3784;껭쬠
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해서 기왓장 위에 놓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 것이라고 알려 주고는 돈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회춘].
○ 이를 악문 것을 열어 주는 데는 일자산, 이선산을 쓰며 독이 몰린 데는 여성승금정,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처방은 다 위에 있다), 용뇌파독산, 탈명산, 옥약시, 금쇄시,
☞4115;파두연 등을 쓴다. 후두(喉頭)가 헐어서 숨이 잘 통하지 않을 때에는 찬물을 천천히 마시면 된다[산거].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급성 또는 만성으로 후두가 부어서 숨이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160g, ☞3779;청대, ☞3454;백강잠, ☞3745;감초 각각 32g, 부들꽃가루(☞3796;포황) 20g, ☞3990;마발 12g, 용뇌, ☞3139;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깨끗한 물에 고약처럼 되게 개서 천천히 먹으면 아픈 곳이 터지면서 피가 나오고 곧 낫는다. 만일 후비가 아니면 저절로 없어진다.
☞4195;망초가 없을 때에는 대신 ☞4199;염초를 쓴다[어원].
일자산(一字散)
급성후비증[急喉]이나 전후풍[纏喉]으로 인후(咽喉)가 꽉 막혀서 음식이 내리지 않고 이를 악물며 정신을 잃는 것을 치료한다.
주염열매(저아조각) 28g, 석☞4180;웅황(웅황) 8g, 백반, 박새뿌리(☞3929;여로) 각각 4g, 전갈꼬리 7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코 안에 불어넣으면 가래를 토한다[입문].
이선산(二仙散)
급성후폐증과 전후풍(纏喉風)으로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담반 4g, ☞3454;백강잠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조금씩 목구멍에 불어넣는다[입문].
탈명산(奪命散)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백반(구운 것), ☞3454;백강잠(닦은 것), ☞4200;붕사, 주염열매(조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목 안에 조금씩 불어넣으면 가래가 나오고 곧 낫는다[단심].
옥약시(玉 匙)
급성후폐증과 전후풍을 치료한다.
30g, ☞4200;붕사 10g, ☞3454;백강잠 5g, 용뇌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참대대롱으로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잘 낫는다[직지].
금쇄시(金鎖匙)
급성후폐증과 전후풍을 치료한다.
1.3g, 백반(구운 것), 담반 각각 0.6g, ☞4200;붕사 0.5g, 곰열(☞3162;웅담), ☞4199;염초, 용뇌, ☞3139;사향 각각 0.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2g씩 목구멍에 불어넣는다[의감].
연(巴豆烟)
후폐증이 생겨 위급하게 되었을 때에는 먼저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해야 한다. 파두살을 종이에 싸서 눌러 기름을 뺀 다음 그 종이로 심지를 만들어 불을 붙였다가 끄면 연기가 나는데 그 연기를 2시간 동안 코에 쏘
이면 입과 코에서 콧물과 침이 나오면서 악문 이가 저절로 열린다[경험].
○ 또 한 가지 방법은 파두살을 솜에 싸서 왼쪽 코나 오른쪽 코에 관계없이 막힌 코를 막는 것인데 양쪽 코가 다 막혔으면 양쪽 코를 다 막아야 한다. 그러면 곧 숨이 통한다[입문].
○ ☞4115;파두(巴豆)는 닫힌 문을 여는 데는 장군과 같은 약이다. 이 약은 열한 성질로 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열로써 열을 치더라도 해롭지는 않다[단심].
$
전후풍(纏喉風)
인후(咽喉)에 열이 몰려서 목의 겉이 돌려 붓고 혹 저리기도 하고 가렵기도 하면서 몹시 부어서 커지는 것을 전후풍이라고 한다[의감].
○ 전후풍이라는 것은 귀 부근에서부터 턱 아래까지 벌겋게 되는 것이다. 대체로 목 안과 겉이 다 붓는 것을 전후풍이라고 한다[득효].
○ 전후풍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처음 2일 동안은 가슴이 켕기는 감이 느껴지면서 내쉬는 숨이 가쁘다가 갑자기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손발이 싸늘해지고 숨이 막혀 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되면 잠시 사이에 치료
할 수 없게 된다[단심].
○ 전후풍은 담열(痰熱)에 속하는데 목의 안팎이 다 붓는 병이다[단심].
○ 해독웅황원, 여성승금정, 용뇌파독단, 일자산, 이선산, 옥약시, ☞4115;파두연기(이상 7가지 처방은 다 위에 있다), 웅황산, 불수산, 백반산, 빙매환(氷梅丸, 이상의 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을 쓰면서 겸해 침치료를 하고 토하게 하는 방법을 쓰면 낫는다.
웅황산(雄黃散)
전후풍(纏喉風)으로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7알(3알은 생것으로, 4알은 익혀서 쓰는데 생것은 껍질만 버리고 갈고 익힌 것은 껍질을 버리고 등불에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간다), 마른 뽕나무버섯(乾桑黃茹) 2쪽, 석
☞4180;웅황(웅황) 1덩어리(보드랍게 간다), ☞3899;울금 1개(간다).
위의 약들을 다시 한번 더 갈아서 한번에 0.5g씩 찻물에 타서 조금씩 먹인다. 이를 악물고 목구멍이 막혔으면 참대대롱으로 이 약을 목구멍에 불어넣는다. 그러면 얼마 동안 지나지 않아서 토하고 설사한 다음 곧 낫
쨈晩득효].
불수산(佛手散)
전후풍을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40g, ☞3454;백강잠 20g, ☞3745;감초 10g, ☞3779;청대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조금씩 목구멍에 뿌린다. 목구멍이 몹시 막혔으면 참대대롱으로 불어넣어야 한다[유취].
백반산(白礬散)
전후풍과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백반 12g, ☞4115;파두 3알(껍질을 버리고 6쪽으로 만든다).
위의 약들을 냄비에 함께 넣고 백반이 구워지게 볶아서 ☞4115;파두는 버린 다음 백반만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마신다. 목구멍에 불어넣거나 뼈 검은 달걀 흰자위에 개서 목구멍에 떠넣기도 한다[유취].
$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목젖은 입천정[上 ]에 있기 때문에 인후와는 연관이 없거나 목젖이 갑자기 몹시 붓는 것은 인후에 열기가 있기 때문이다[직지].
○ 목젖을 제종(帝鍾)이라고도 하는데 목젖이 부어서 두어 치나 되게 길게 내려 드리워지는 것을 제종풍(帝鍾風)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염반산을 쓰는 것이 좋다. 침으로 찔러서는 안 된다. 침으로 찔러 터뜨리면 죽
쨈晩득효].
○ 목젖은 소리가 나오는 관문인데 장부(藏府)에 잠복되었던 열기가 인후로 치밀어 오르면 목젖이 늘어지면서 붓는다. 이런 데는 취후산, 현삼산, 붕사산을 쓴다[유취].
○ 한사에 신(腎)이 상하여 목구멍이 아프거나 목젖이 부었을 때에는 침을 놓지 말고 뱀도랏열매(☞3813;사상자)를 써야 하는데 병 속에 넣고 태우면서 그 연기를 빨아들이게 하면 곧 낫는다[입문].
염반산(鹽礬散)
목젖이 길게 늘어져 인후가 말째면서 답답한 것(妨悶)을 치료한다.
백반(소금과 함께 구운 것).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젓가락대가리에 묻혀서 목젖에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취후산(吹喉散)
목젖이 부어서 늘어지고 아픈 것과 모든 인후병을 치료한다.
담반, 백반, ☞4199;염초, 용뇌, 산두근(山豆根), ☞4170;주사, 계내금(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위의 약들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참대대롱으로 목구멍에 조금씩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회춘].
현삼산(玄蔘散)
목젖이 부어서 아프고 길게 늘어진 것을 치료한다.
40g, ☞3760;승마, 범부채(☞3930;사간), ☞3924;대황(술에 씻은 것) 각각 20g, ☞3745;감초(닦은 것)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인 다음 약간 따뜻하게 하여 자주 입에 물었다가 삼킨다[류취].
붕사산(鵬砂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4196;마아초, 곱돌(☞4182;활석), ☞4192;한수석 각각 20g, 용뇌, 백반 각각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한번에 2g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유취].
$
매핵기(梅核氣)
7정(七情)으로 기가 울결되면 담연(痰涎)이 생긴다. 그리고 이것이 기를 따라 몰리면 뜬뜬해지고 커지면서 덩어리같이 된다. 이것이 명치 밑에 있으면서 목구멍을 막게 되는데 이때에는 매화씨나 솜뭉치 같은 것이 있
는 것같다. 이것은 뱉아도 나오지 않으며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발작할 때마다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되고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런 데는 사칠탕(四七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 남자나 여자가 가슴과 목구멍에 매핵기가 생겨서 앓을 때에는 어떤 일을 당하여도 성내지 말고 찬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직지].
○ 매핵기(梅核氣)라는 것은 목구멍에 덩어리가 막혀 있는 것 같아서 뱉아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으면서 매화씨 같은 것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을 말한다. 이 원인은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몹시
성을 내서 열이 몰리고 뭉쳤기 때문에 담이 성하여 몰리고 맺힌 데 있다. 이런 데는 가미사칠탕이나 가미이진탕을 쓴다[의감].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매핵기(梅核氣)를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
차조기잎(자소엽), 끼무릇(☞3923;반하), ☞4091;후박,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4087;지실, ☞3950;천남성, 사인, 약누룩(☞2936;신국) 각각 4g, 선귤껍질(청피) 2.8g, ☞3919;백두구 2.4g, ☞4081;빈랑, 익지인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3614;생강 5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이진탕에 ☞4090;지각, 도라지(☞3675;길경), 속썩은풀(☞3853;황금), 산치자, 차조기씨(☞3690;자소자), ☞3919;백두구 각각 2.8g을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3614;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시인(尸咽)
시인(尸咽)이라는 것은 음양(陰陽)이 조화되지 않아 비기와 폐기가 몹시 막혀서 풍열(風熱)의 독기가 잘 퍼져 나가지 못하므로 시충(尸蟲)이 동하여 위로 올라와 후두를 파먹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가렵기도 하고
판졈竪넵하면서 익창( 瘡)㈜의 증상과 같다[직지].
○ 상한호혹증과 같으므로 그것을 참고하여 보아야 한다.
[註] 익창( 瘡): 벌레가 파먹은 것처럼 패어 들어가는 헌데이다. 주로 항문과 음부에 생긴다.
$
곡적(穀賊)
곡적(穀賊)이라는 것은 뻣뻣하고 깔깔한 곡식 가시랭이가 든 쌀을 잘못 먹어서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 풍열이 한데 뭉쳐 혈기와 엉켜서 붓고 쑤시는 것을 말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직지].
○ 벼나 보리의 가시랭이를 잘못 먹어서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에 게사니입 안의 침을 받아서 먹으면 곧 내려가는데 그것은 게사니의 침이 곡식을 잘 삭이기 때문이다[강목].
치곡적방(治穀賊方)
, 송진(松脂) 각각 20g, 노사( 砂) 10g, ☞4073;유향 5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녹인 황랍에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3549;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데 늘 입 안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유취].
○ 또 한 가지 처방은 ☞4196;마아초(馬牙硝)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2g씩 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 것인데 나올 때까지 써야 한다. 또한 침으로 아픈 곳을 찔러 죽은 피를 빼 낸 다음 소금물로 양치하여도 된다[유취].
$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인(咽)이 아픈 것을 액통( 痛)이라고 하는 것은 인후(咽喉)가 침과 음식을 넘기는 작용을 잘못해서 탁기[地氣]가 막혔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후비로 인액(咽 )이 아픈 것은 인후에 병이 생겨서 맑은 기[天氣]와
탁기[地氣]가 막혔기 때문이다. 대체로 후비증 때에는 인액이 아픈 것을 겸한다. 그러나 인액이 아플 때에는 다 후비증을 겸하지는 않는다[강목].
○ 인이 아픈 것은 풍사(風邪)가 인후 사이에 침범하여 기가 몰려서 열이 생겼기 때문이다[직지].
○ 목구멍이 마르고 늘 털로 찌르는 것 같으면서 음식을 잘 넘길 수 없는 것을 풍조(風燥)라고 한다. 이런 데는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3693;박하, 속썩은풀(☞3853;황금), 끼무릇(☞3923;반하), ☞3614;생강을 넣고 도라지(☞3675;길경)는 양을 곱으로 하여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입문].
○ 목구멍이 아플 때에는 ☞4200;붕사에 혹 담반을 섞거나 ☞3454;백강잠과 백매살을 섞어서 쓴다. 그리고 반드시 ☞3688;형개와 ☞3845;현삼을 써야 한다[단심].
○ 목구멍이 아픈 데는 상청원, 가감박하전원, 용뇌고(龍腦膏, 처방은 위에 있다), 형황탕, 필용방감길탕, 금소환, 청화보음탕, 강설산 등을 쓴다.
상청원(上淸元)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입 안과 혀가 허는 것을 치료하며 정신을 맑게 한다.
박하잎 600g, 사인 160g, ☞3745;감초 80g, ☞3792;방풍, 속썩은풀(☞3853;황금), 도라지(☞3675;길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2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늘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기효].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풍열(風熱)로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320g, ☞3792;방풍, 궁궁이(천궁), ☞3919;백두구 각각 40g, 사인, ☞3745;감초 각각 20g, 용뇌 2g, 도라지(☞3675;길경)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30알씩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어약].
형황탕(荊黃湯)
풍열이 뭉쳐서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대변이 굳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16g, ☞3924;대황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풍열(風熱)로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과 후비(喉痺)를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도라지(☞3675;길경) 8, ☞3745;감초, ☞3688;형개, ☞3792;방풍, 속썩은풀(☞3853;황금), ☞3693;박하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천천히 먹는다. ☞3845;현삼 4g을 넣으면 더 좋다[필용].
금소환(金消丸)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백, ☞3688;형개, 범부채(☞3930;사간), 속썩은풀(☞3853;황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다[간이].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허화가 떠올라서 목 안이 아프거나 막힌 것과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3749;숙지황 각각 4g, ☞3834;당귀, 궁궁이(천궁), 황백(동변에 축여 볶은 것), ☞3848;지모, 하늘타리뿌리(☞3828;과루근), ☞3745;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4057;죽력) 3숟가락을 넣어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 후두가 마르고 아플 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도라지(☞3675;길경), ☞3688;형개, 황백, ☞3848;지모를 넣어서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정전].
강설산(絳雪散)
목구멍이 달아 오르면서 아프고 부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달군 것) 20g, ☞4200;붕사, ☞4196;마아초, ☞4170;주사 각각 4g, 용뇌 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입 안에 뿌린 다음 나오는 침을 넘긴다[직지].
$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상한 양독증(陽毒證)이나 음독증(陰毒證) 때에는 모두 목구멍이 아프다. 상한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중경].
○ 잠복된 사기(邪氣)로 병이 생긴다는 것도 때아닌 모진 추위로 몸에 한사가 침범하여 소음경(少陰經)에 잠복했으나 처음에는 그것을 느끼지 못하다가 10일이나 한 달이 지나면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처음에는
呪만邦肝아프고 다음에는 설사가 나는데 맥(脈)은 미약하다. 고방(古方)에 신상한(腎傷寒)이라고 한 것이 이것인데 반하계감탕을 쓴다[활인].
○ 소음경에 한사가 들어가서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감길탕, 길경탕, 형개탕(荊芥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을 쓴다.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신상한(腎傷寒)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3923;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4009;계지, ☞3745;감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3614;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식혀서 천천히 먹는다[활인].
감길탕(甘桔湯)
소음경에 한사가 침범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120g, ☞3745;감초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천천히 먹는다. 우엉씨(대력자),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4g씩 넣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하면 더 좋다[해장].
길경탕(桔梗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40g, ☞3745;감초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앞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해장].
○ 이 2가지 약을 같은 양으로 한 것을 여성탕(如聖湯)이라고 한다[직지].
$
인후가 허는 것[咽喉瘡]
인후가 허는 것은 위완부(胃脘部)에 있던 실열(實熱)이 상초(上焦)를 훈증(熏蒸)하기 때문인데 헌데의 끝은 허옇고 뿌리는 붉다. 이런 데는 발성산을 쓴다[직지].
○ 인후(咽喉)가 헐어서 아픈 것은 흔히 허화(虛火)에 속하는데 허화가 돌아다니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여 그것이 인후에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3743;인삼, ☞3688;형개와 꿀물에 축여 볶은 황백을 쓴다[강목].
○ 인후가 허는 데는 ☞3614;생강같이 맛이 매운 약제는 쓰지 말아야 한다. 쓰면 병이 도리어 더 심해진다[강목].
○ 양매천포창(楊梅天疱瘡) 때 ☞4229;경분을 먹으면 그 독기(毒氣)가 돌아다니기 때문에 흔히 인후가 헐어 몹시 헤지는데 자세한 것은 제창문(諸瘡門)에 있다.
○ 인후가 허는 데는 이격탕, 우방자탕, 청화보음탕,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처방은 위에 있다), 통애산(通隘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불수산, 발성산 등과 후비로 허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등을 쓴다.
이격탕(利膈湯)
인후(咽喉)가 허는 것을 치료한다.
, ☞3688;형개, ☞3792;방풍, 도라지(☞3675;길경), ☞3743;인삼,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3745;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인두가 아프면 ☞3454;백강잠을 넣어서 써야 한다[본사].
우방자탕(牛蒡子湯)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이를 악무는 것과 헌데와 옹종, 그리고 이런 증상들이 나은 다음에 다시 가슴과 옆구리가 찌르는 듯하면서 숨이 가쁘고 열이 나서 앉지도 눕지도 못하는 것도 치료한다.
우엉씨(대력자) 8g, ☞3845;현삼, ☞3235;서각, ☞3760;승마, 속썩은풀(☞3853;황금), 으름덩굴(목통),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불수산(佛手散)
풍열(風熱)로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며 허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80g, ☞4195;망초 40g, ☞3745;감초 28g, 도라지(☞3675;길경), 부들꽃가루(☞3796;포황) 각각 20g, ☞3779;청대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조금씩 목 안에 뿌리거나 참대대롱으로 불어넣는다[단심].
발성산(發聲散)
인후가 헐어서 말째고 답답한 것(瘡妨悶)을 치료한다.
하늘타리열매(황과루, 누렇고 큰 것) 1개, 도라지(☞3675;길경) 30g, ☞3454;백강잠(닦은 것) 20g, ☞3745;감초(닦은 것)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한번에 조금씩 목 안에 뿌린다. 만일 인후가 붓고 아프면서 양쪽이 다 벌겋게 되었거나 한쪽에만 벌건 자줏빛이 길게 뻗쳤을 때에는 이 약에
☞4194;박초 4g을 고루 섞어서 뿌려야 한다. 만일 목구멍에 끝이 흰 자그마한 헌데가 생겼을 때에는 이 약에 백반가루를 2g씩 섞어서 뿌려야 한다[강목].
치후비㈜생창방(治喉痺生瘡方)
[註] 후비(喉痺): 목구멍이 붓고 아픈 병. 단유아(단아), 쌍유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후비증이나 유아(乳蛾)증으로 인후가 붓고 아프며 헌데가 생겨 헤어져서 물이나 미음도 넘기지 못하여 곧 죽게 되었을 때에는 파두살과 족두리풀(
☞3769;세신)을 같은 양으로 하여 쓰는데 가루를 내서 종이에 말아 끝을 잘 비틀어 맨 다음 중간을 잘라서 양쪽 콧구멍에 꽂으면 2시간이 지나서 머리와 이마가 서늘해지면서 목구멍이 열린다[종행].
$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인후(咽喉)가 헐고 막혀서 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데는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에서 귤껍질(陳皮)을 빼고 속썩은풀(☞3853;황금)을 넣어서 쓴다. 거듭 성질이 찬약을 먹어서 설사가 나고 목소리가 갈리는 것도 비전강기탕으로 치료한다[입문].
○ 후비증으로 목이 쉰 데는 통애산, 증손여성탕, 형개탕, 통관음, 길경탕, 신효산을 쓴다.
○ 후두가 헐고 막혀서 목이 쉰 것은 자설(紫雪,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써야 잘 낫는다.
통애산(通隘散)
목구멍이 아프고 헐어서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붕사 8g, ☞4003;해아다, ☞3779;청대, 곱돌(☞4182;활석), ☞4192;한수석 각각 4g, 부들꽃가루(☞3796;포황), ☞4196;마아초, 백반(구운 것) 각각 2.4g, ☞3784;황련, 황백 각각 2g, 용뇌 0.8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흰사탕 끓인 물에 반죽해서 가시연밥(☞3549;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는데 잠잘 무렵에 입에 머금고 혀로 누르고 있으면 저절로 녹아서 목구멍에 불어넣어 주게 되어 있는데 잘 낫는다. 어떤 처방은 갈대대롱으로 약을 조금씩 목구멍에 불어넣어
주게 되어 있는데 잘 낫는다[의감].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면서 말째고 답답하며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80g, ☞3745;감초(닦은 것) 60g, ☞4090;지각, ☞3792;방풍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달인 다음 졸인 젖( )을 대추알만큼 넣고 저어서 먹는다[강목].
형개탕(荊芥湯)
인후가 붓고 아프면서 말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 이 약을 먹으면 잘 낫는다.
도라지(☞3675;길경) 80g, ☞3745;감초 40g, 형개수 2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6g씩 ☞3614;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조금씩 먹는다[삼인].
통관음(通關飮)
후비(喉痺)로 붓고 아파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병을 따라가면서 낫게 하는 약인데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도라지(☞3675;길경) 8g, ☞3745;감초(닦은 것) 6g, ☞3743;인삼, 흰삽주(☞3750;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3792;방풍 2.8g, ☞3688;형개, ☞3693;박하, ☞3615;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길경탕(桔梗湯)
인후가 붓고 아프며 목소리가 갈려서 말하기가 힘든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각각 6g, ☞3834;당귀, ☞3990;마발 각각 4g, ☞3835;마황 2g, ☞3454;백강잠, 속썩은풀(☞3853;황금) 각각 1.2g, ☞4009;계지 적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신효산(神 散)
후비증으로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수, 아주까리살(비마육)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주염열매( 子)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주염열매(저아조각)와 서리맞은 매화열매(霜梅)를 가루를 내서 입에 머금고 있다가 먹는 것이다[삼인].
$
돌림후비증[天行喉痺]
돌림인두통[時行咽痛] 때에는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처방은 온역문에 있다)를 쓴다. 후비(喉痺)증의 증상이 온 마을이 다 비슷한 것은 기후변화로 생기는 돌림병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맛이 신 약을 쓰거나 성질
이 찬약으로 내리는 것을 절대로 금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기가 속에 몰려서 나가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강목].
○ 돌림후비증 때에는 오리주둥이같이 생긴 담반을 가루를 내어 2g을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가래를 토하고 곧 낫는다. 담반이 없을 때에는 대신 맑은
☞4174;녹반(綠礬)을 써도 된다[정전].
$
인후가 갑자기 막힌 데는 침을 놓는다[咽喉急閉宜鍼]
인후(咽喉)가 갑자기 막힌 것은 다 ☞4050;상화(相火)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삼릉침으로 피를 빼는 것이 제일 좋다[정전].
○ 후비증은 궂은 피(惡血)가 흩어지지 못하면 생긴다. 대체로 이 병을 치료할 때 병이 갑자기 생긴 것이면 먼저 발산시켜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담으로 보고 치료해야 한다. 담(痰)으로 보고 치료하여도 낫지
않으면 궂은 피를 없애야 하므로 침을 놓는다[강목].
○ 대체로 목구멍이 막혀 위급하게 되었을 때에는 빨리 침으로 피를 빼는 것과 함께 담(痰)을 삭게 하고 토하게 해야 한다. 만약 뒤늦게 치료하면 죽는다[회춘].
○ 화(火)가 몰렸을 때에는 헤쳐야 한다. 그러므로 삼릉침으로 피를 빼야 한다. 이것은 땀을 내는 것과 같은데 이때에 피가 많이 나오면 낫는다. 침을 놓은 다음에 헌데가 생기면 생강즙에 끓인 물을 타서 때때로 마
탑棚한다. 대체로 후두 위에 생긴 혈포(血泡)는 침으로 찌르는 것이 제일 좋고 후두 밑에 생겨 보이지 않을 때에는 물을 1모금 문 다음 갈대 끝으로 콧구멍을 찔러 피를 빼내야 잘 낫는다[입문].
○ 어떤 부인이 목구멍에 유아(乳蛾)가 생겼는데 침을 놓는 것을 싫어하였다. 그러자 범구사(范九思)가 나에게 한 가지 약이 있다고 하고는 곧 새붓대 끝에 침을 보이지 않게 꽂아서 찔러 피를 빼냈는데 곧 나았다[입
문].
○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다고 하여도 신상한증(腎傷寒證)이나 제종풍(帝鐘風)㈜이면 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입문].
[註] 제종풍(帝鍾風): 목젖이 부어서 길게 늘어지는 것. 목젖을 제종, 현옹수라고 한다.
$
인후가 갑자기 막히면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咽喉急閉宜吐]
모든 후비증 때에는 어른이나 어린이를 막론하고 다 토하게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좋지 못하다. 담반이나 ☞4174;녹반을 가루를 내서 박하즙과 함께 식초에 넣고 갠 다음 닭깃에 묻혀 목구멍에 넣어서 천천히 담을 끌어 올려 토하게 하면 좋다[탕씨].
○ 후비증은 흔히 담(痰)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토하게 하는 법을 쓴다[단심].
○ 취후산이나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이나 담을 없애는 처방을 쓰는 것이 좋다. 또한 좋은 식초로 양치하여 가래를 토하게 하는 것도 좋다.
취후산(吹喉散)
목구멍이 부어서 막히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녹반(☞3398;청어쓸개 속에 넣어서 바람에 말린 것) 20g, ☞4115;파두(껍질을 버린 것) 7알, ☞4194;박초 10g(따로 간다), ☞4239;동청 4g, ☞4229;경분 2g, ☞3779;청대 적은 양.
위의 약에서 담반과 ☞4115;파두를 구리그릇에 담고 닦은 다음 ☞4115;파두는 버린다. 여기에 ☞4194;박초 등 4가지 약과 ☞3139;사향을 조금 넣어서 한번에 1g씩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가래와 피를 토하고 곧 낫는다[정전].
$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直捷法]
후비(喉痺)를 치료하는 데는 겨울에 ☞3398;청어쓸개 속에 넣어 두었던 백반을 쓰는데 쓸 때마다 ☞2893;백초상과 닦은 소금을 조금 섞어서 식초에 갠 다음 오리털에 묻혀서 코에 넣으면 가래를 끌어 올려 토하게 한다. 청어쓸개이 없으면 백반 20g을 ☞4115;파두 10알의 살과 함께 구워 말린다. 다음 파두살은 버리고 백반만 쓴다. 쓰는 방법은 앞에서와 같은데 가래를 토하면 신기하게 낫는다. 토한 다음에는 금쇄시(金鎖匙, 처방은 위에 있다)를 불어넣고 늘 필용방감길탕(必
콕걺親岐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으면 아주 좋다[입문].
거연방(去涎方)
후비증을 치료한다.
주염열매(저아조각) 20g, 담반 6g, ☞3779;청대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이긴 명주천에 싸서 젓가락대가리에 잡아매어 좋은 식초에 푹 불렸다가 목 안에 넣는데 약이 인후가 헐은 데까지 닿도록
하고 젓가락을 물고 있으면 담연이 물과 같이 되면서 곧 풀린다. 그 다음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을 써야 한다[단심].
$
인후가 막힌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咽喉閉通治]
화(火)의 성질은 몹시 빠르기 때문에 화로 생긴 병은 몹시 심하다. 이런 때에는 침을 놓거나 토하게 하여 독기가 흩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급할 때에 먼저 표(標)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반드시 겸해서 『
내경』에 씌어 있는 종치(從治)㈜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註] 종치(從治): 병을 치료하는 데서 정면으로 치는 약을 쓰지 않고 병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약을 쓰는 치료법의 한 가지(열증(熱證)에 성질이 찬약을 쓰고 한증(寒證)에 더운약을 정면으로 쓰는 정치법(正治法)과
莩逾풔잔치료법이라고 하여 반치법(反治法)이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도라지(☞3675;길경), ☞3745;감초, ☞3845;현삼, ☞3760;승마, ☞3792;방풍, 강호리(☞3759;강활), ☞3688;형개, ☞3743;인삼, 흰삽주(☞3750;백출), 솔풍령(☞4029;복령) 등의 약에 ☞3615;건강과 ☞3920;부자를 조금 넣어서 써야 하는데 약 기운이 지속되도록 천천히 자주 먹어야지 단번에 먹어서는 안 된다. 이것이 기본 치료 방법이다. 그리고 반드시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을 몰아 쓰지 말아야 한다. 이것을 모르고 성
珦肝찬약을 쓰면 상초의 열은 없어지지 않으면서 중초에 찬 기운만 더 생겨서 숨이 차고 배가 불러 오르게 되는데 다 치료할 수 없는 증이다[정전].
○ 목구멍이 아프면 ☞3688;형개를 써야 하고 음(陰)이 허하여 화(火)가 타오르면 반드시 ☞3845;현삼을 써야 한다[단심].
○ 인후(咽喉)가 부으면서 아픈 모든 증상에는 청량산(淸凉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가감하여 써야 한다[회춘].
○ 빙매환, 용뇌천궁원, 청인이격산,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처방은 위에 있다),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처방은 위에 있다), 금쇄시(처방은 위에 있다),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처방은 입과 혀문<口舌門>에 있
다)를 쓴다.
빙매환(氷梅丸)
18가지의 후비증과 후풍(喉風)으로 인후가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큰 것) 35개, 끼무릇(☞3923;반하, 큰 것), 백반, 소금, ☞3792;방풍, ☞4194;박초 각 160g, 도라지(☞3675;길경) 80g, ☞3745;감초 40g, 매화열매(☞3556;오매, 큰 것으로 7분 정도 익은 것) 100개.
위의 약에서 먼저 ☞4194;박초를 2시간 정도 소금물에 담가 두었다가 여기에 나머지 약들을 가루를 내어 넣고 고루 젓는다. 그 다음 매화열매(☞3556;오매)를 넣고 매화열매 위로 3손가락 높이 만큼 올라오게 물을 붓고 7일 동안 두었다가 꺼내어 볕에 말려서 다시 그 물 속에 담갔다가 말리기를 약물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한다. 다음 매화열매를 사기항아리에 넣고 잘 막
콘두는데 이때에 약에 서리 같은 흰 꺼풀이 돋으면 더 좋다. 쓸 때에는 솜에 싸서 입에 물고 나오는 물을 천천히 삼킨다. 그러면 가래가 나오고 곧 낫는다[회춘].
○ 『입문』에는 주염열매(조각)는 160g을 넣었고 ☞3745;감초는 쓰지 않았다.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인후(咽喉)에 생긴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는데 7규(七竅)를 통하게 하고 기분을 상쾌하게 하며 정신을 맑게 하고 열(熱)을 없애며 담(痰)을 삭히고 풍(風)을 없애며 체한 것을 풀리게 한다.
박하잎 212g, 도라지(☞3675;길경) 60g, 궁궁이(천궁), ☞3792;방풍, ☞3745;감초 각각 40g, ☞3919;백두구 20g, 용뇌 12g, 사인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알약 20알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 찻물로 먹거나 녹여 먹어도 좋다[어원].
○ 이 약은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과 같으나 양이 다르다.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유아(乳蛾)㈜증과 후폐증(喉閉證) 등을 치료한다.
도라지(☞3675;길경), ☞3973;연교 각각 4g, ☞3924;대황, ☞4195;망초, 우엉씨(대력자), ☞3688;형개 각각 2.8g, 속썩은풀(☞3853;황금), 산치자, ☞3693;박하, ☞3792;방풍, ☞3845;현삼, ☞3784;황련, 금은화, ☞3745;감초 각각 2g(이 약 가운데서 ☞3924;대황, 속썩은풀(☞3853;황금), ☞3784;황련, 산치자는 술에 축여 볶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註] 유아(乳蛾): 편도가 벌겋게 붓고 아픈 것. 후아라고도 하는데 한쪽만 부은 것을 단유아(단아)라고 하고 양쪽이 다 부은 것을 쌍유아라고 한다.
$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대체로 인후가 막히고 심(心)에 독기(毒氣)가 들어가서 앞가슴이 붓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숨이 몹시 차고 설사가 좍좍 계속 나면 죽는다[득효].
○ 대체로 후비증(喉痺證) 초기에는 가슴이 막히고 숨이 가쁘며 목구멍이 부으면서 아프고 손발이 싸늘하며 숨이 막혀 통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곧 죽는다[입문].
○ 대체로 목구멍이 부을 때에는 순전히 성질이 찬약이나 초약(草藥)을 써서 당장 효과를 보려고 하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 그와 같이 하면 상초의 열은 없어지지 않으면서 중초에 찬 기운만 생기게 된다. 그러면 독
雪毒氣)가 그 틈을 타서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앞가슴이 몹시 붓고 숨이 차며 설사가 나고 손발톱이 청자색으로 되다가 7일이 지나서는 전혀 먹지 못하고 입이 물고기입같이 되면서 죽는다[입문].
$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린 것[魚骨 ]
대체로 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데는 옥설무우산을 쓴다[삼인].
○ 목에 걸린 것의 종류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예를 들면 물고기 가시가 걸린 것은 가마우지( )로 치료하고 바늘이 걸린 데는 ☞4189;자석
(磁石)을 쓴다. 머리털이 걸린 데는 머리털 태운 가루를 쓰고 뼈가 걸린 데는 삵이나 범의 뼈를 써야 한다. 그러니 각기 종류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는 것이다[삼인].
○ 모든 물고기담은 다 뼈가 걸린 것을 내려가게 한다. 쏘가리( 魚膽)나 가물치( 魚膽)나 붕어의 담(魚膽)도 다 쓸 수 있는데 섣달에 잡은 담(膽)이 더 좋다. 주염열매(
☞4116;조협) 1알만큼 떼어 데운 술에 타서 마시면 토하면서 걸렸던 것이 곧 나온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데운 술을 마셔서 토해야 한다. 뼈가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본초].
○ 남붕사(南鵬砂)를 머금고 있으면 걸렸던 뼈가 녹아 내리듯이 없어진다[득효].
○ 쇠고비(☞3940;관중)를 진하게 달여서 1잔 반을 세번에 나누어 연이어 먹으면 잠깐 사이에 가시가 나온다[득효].
○ 사인(縮砂)과 ☞3745;감초가루를 솜에 싸서 물고 있으면 침이 나오는데 그것을 삼키면 곧 토한다[단심].
○ 들모시풀뿌리(野苧根)를 깨끗하게 씻어서 찰지게 짓찧은 다음 앵두알만큼씩 떼서 쓰는데 닭뼈가 걸렸을 때에는 닭고기 국물에 타서 먹고 물고기 가시가 걸렸을 때에는 물고기 국물에 타서 먹으면 곧 나온다[단심].
○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에는 잉어의 비늘과 껍질을 불에 태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으면 곧 나온다[본초].
○ 위[ ] 속에 물고기 가시가 들어가서 찌르는 것같이 아플 때에는 ☞4062;오수유 달인 물 1잔을 마시면 가시가 연해져서 나온다[강목].
○ 원추리뿌리즙(훤초근즙)을 마셔도 곧 내려간다[강목].
○ 해달피(海獺皮)를 달인 물을 마시기도 한다. 수달피도 좋다. 또한 가마우지나 물촉새를 태워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서 마셔도 곧 내려간다[본초].
○ 봉선화씨를 물에 갈아 그 즙을 숟가락으로 떠서 이빨에는 닿지 않게 목구멍에 넣는다. 씨가 없으면 뿌리를 쓴다[의감].
○ 주염열매가루( 角末)를 코에 불어넣어서 재채기를 하여도 곧 나온다[유취].
$
짐승뼈가 목에 걸린 것[獸骨 ]
짐승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3167;상아(象牙)를 물에 말아서 마셔야 내려간다. ☞3167;상아로 만든 빗이나 홀(笏)㈜도 다 쓸 수 있다[득효].
[註] 홀(笏): 봉건사회에서 신하가 임금을 찾아갈 때 조복을 입은 다음 손에 쥐는 물건을 말하는데 1품에서 4품까지는 ☞3167;상아로 만들고 5품 아래는 나무로 만든다.
○ 뽕나무좀가루를 쌀초에 달여서 목구멍에 넣거나 양치를 하면 저절로 내려간다[득효].
○ 또는 개를 거꾸로 달아 매놓고 흘리는 침을 사발에 받아서 천천히 넘겨도 걸렸던 뼈가 녹아서 물이 되는데 참으로 신기하다. 이처럼 되는 것은 개가 아무런 뼈나 다 잘 먹기 때문이다[회춘].
○ 여러 가지 고기나 뼈가 목에 걸렸을 때에는 닭발족 한 마리 분을 태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는다[유취].
○ 짐승의 뼈가 걸린 데는 범뼈를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는다. 삵의 뼈도 좋은데 달여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본초].
○ 닭뼈나 물고기 가시가 걸린 데는 소금에 절인 매화열매살(白梅肉)을 쓰는데 크게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실로 꿴다. 다음 끈을 달아서 식은 차로 넘기는데 실의 한 끝은 손에 잡는다. 그다음 한번 구역질하면 곧
나온다[회춘].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여러 가지 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과 전후풍(纏喉風)을 치료한다.
(달군 것), ☞4200;붕사 각각 12g, ☞3845;현삼, 쇠고비(☞3940;관중), 곱돌(☞4182;활석), 사인, 산두근, ☞3784;황련, ☞3745;감초, 벌건솔풍령(적복령), 형개수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떠서 깨끗한 물로 먹는다[득효].
$
목에 걸린 뼈를 나오게 하는 방법[引 法]
목에 뼈가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소 힘줄[牛筋]이나 사슴 힘줄[鹿筋]을 물에 담갔다가 쥐어짜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만든 다음 한 끝을 잡고 무엇이 걸려 있는 곳까지 닿도록 삼켰다가 천천히 당기면 걸렸던
것이 힘줄에 붙어서 곧 나온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작은 솜뭉치 하나를 꿀물에 삶아 끈으로 매서 위의 방법과 같이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곧 나온다[득효].
○ 염교흰밑( 白)을 부드럽게 되도록 씹어서 노끈에 매여 무엇이 걸려 있는 곳까지 닿도록 삼켰다가 당기면 걸렸던 것이 곧 따라 나온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부추흰밑( 白)으로 위의 방법과 같이 하는 것인데 찻물로 삼켰다가 천천히 당기면 걸렸던 것이 나온다[의감].
○ 활줄의 한쪽 끝을 허실허실하게 되도록 두드려서 삼켰다가 당겨도 나온다[속방].
주법(呪法)㈜
여러 가지 뼈가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려면 깨끗한 그릇에 새로 길어온 물 1잔을 담아 놓고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속으로 조용히 근청태상 동류순수급급여 남방화 제율령(謹請太上東流順水急急如南方
火帝律令)하고 외워야 하는데 숨을 한번 들이쉬고는 일곱번 외운 다음 곧 들이쉬었던 숨을 물에 내불어야 한다. 이렇게 일곱번 한 다음 그 물을 마시면 걸려 있던 것이 곧 나온다. 어떤 데는 이렇게 한 물이 목에 침
犬 참대가시가 걸린 데도 좋다고 하였다[의감].
방예법[禳法]㈜
목에 뼈가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물고기뼈 1개를 쓰는데 환자의 머리털 속에 꽂아 준다. 이때에 환자가 알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러면 잠깐 있다가 걸려 있던 것이 곧 내려간다[종행].
[註] 주법에 대한 내용은 당시 사회발전의 제한성으로 말미암아 일정한 글귀로 주문을 지어서 격식대로 외우면 마치 병이 나을 수 있다고 본 비과학적인 내용이다.
[註] 방예법은 주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인데 과학성이 없는 말이다.
$
여러 가지 물건을 잘못 삼킨 것[誤呑諸物]
잘못하여 금이나 은으로 만든 것을 먹었는데 그것이 뱃속에 있을 때에는 ☞4228;수은(水銀)을 먹어서 녹아 나오게 해야 한다[강목].
○ 금이라는 것은 ☞4228;수은을 만나면 녹아서 진흙같이 된다. 금이나 은을 잘못 먹었을 때에 ☞4228;수은 20g을 먹으면 곧 녹아서 나온다㈜[본초].
[註] ☞4228;수은 20g을 먹으면 수은중독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방법을 써야 한다.
○ 잘못하여 금이나 은이나 구리로 만든 돈을 먹었을 때에 사인을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그 돈이 저절로 나온다. 그리고 발제( 薺)를 풀어지게 갈아서 먹어도 그 돈이 저절로 녹아 나온다. 또는 굳은 숯을 가루를 내
어 미음에 타서 먹어도 그 돈이 ☞3556;오매같이 되어 대변으로 나온다[입문].
○ 잘못하여 구리돈이나 쇠조각을 먹었을 때 발제를 적당히 먹으면 조금 있다가 녹아서 나온다. 시험삼아 1돈짜리 구리돈을 발제 4-5개를 씹은 것과 함께 둬두면 구리돈이 곧 녹는 것을 볼 수 있다[유취].
○ 호두를 많이 먹어도 그 구리돈이 저절로 녹아 나온다[회춘].
○ ☞4235;연분 40g을 물에 타서 2번에 나누어 먹어도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돈을 먹었을 때 졸인 꿀 2되를 먹으면 곧 나온다. 또는 엿(☞2999;이당) 600g을 조금씩 먹어도 곧 나온다. 잘못하여 가락지나 비녀를 먹은 것도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은비녀나 참대가치[簪]나 나무가치[竹木]를 먹은 것이 나오지 않을 때에 흰사탕가루 몇 근을 먹으면 흰사탕가루가 그 물건을 싸가지고 저절로 나온다㈜[유취].
[註] 과학성이 없는 내용이다.
○ 어린이가 돈을 삼킨 것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아욱국을 끓여 식혀서 마시게 하면 곧 나온다. 아욱의 뿌리나 잎이나 씨도 효과가 같다[본초].
○ 잘못하여 비녀를 삼켰을 때에 염교( 白)를 볕에 누렇게 시들도록 말려서 잘 달인 다음 썰지 않고 1묶음을 먹으면 그 비녀가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바늘을 삼켰을 때에 대추씨만한 ☞4189;자석을 광채가 나도록 갈아서 송곳으로 구멍을 뚫은 다음 실을 매여서 삼켰다가 잡아당기면 바늘이 ☞4189;자석에 끌려 나온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잠두콩을 익도록 삶아서 부추와 같이 먹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바늘이 부추와 함께 대변으로 나온다. 어떤 처방에는 ☞2955;완두
를 쓰게 되어 있다[입문].
○ 잘못하여 참대가치[簪]나 나무가치[竹木]를 삼킨 것이 목구멍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헌 톱을 벌겋게 달구었다가 술에 담가서 술이 뜨겁게 된 다음 마신다. 또 한 가지 방법은 도끼를 간 물을 목구멍에 떠넣
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여도 내려간다[본초].
○ 잘못하여 못이나 화살촉이나 바늘이나 돈 등을 삼켰을 때에 돼지나 양의 비계를 많이 먹으면 반드시 삼켰던 물건을 싸가지고 나온다[본초].
○ 잘못하여 구리나 쇠붙이를 삼켰을 때에 살찐 돼지고기나 아욱(葵菜)을 많이 먹으면 저절로 나온다[유취].
○ 잘못하여 줄이 달린 낚시를 삼켰을 때에는 막 잡아당기지 말고 빨리 옥구슬이나 호박구슬이나 수정구슬이나 율무쌀(☞2956;의이인)을 실에 꿰서 낚시가 있는 곳에 닿도록 삼킨 다음 잡아당기면 저절로 나온다[유취].
○ 잘못하여 복숭아(桃)나 추리(李)를 삼킨 것이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개대가리 삶은 물로 머리를 문지르면 내려간다[본초].
○ 잘못하여 머리털을 삼킨 것이 목에 감겨서 나오지 않을 때에는 ☞3004;난발 태운 가루를 한번에 4g씩 물에 타서 마신다[본초].
$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잘못하여 왕지네(☞3501;오공)를 삼킨 것이 목구멍에 걸려 있어 몹시 답답할 때에는 빨리 살아 있는 돼지의 피를 내서 먹은 다음 조금 있다가 참기름을 입 안에 떠넣으면 곧 토하는데 왕지네가 돼지피에 싸여서 나온다. 그 다음 이어서 석웅황가
潁 물에 타 먹어야 독이 풀린다[강목].
○ 잘못하여 거머리(☞3503;수질)를 삼켰는데 그것이 배에 들어가서 오랫동안 살아 있으면서 간에 피를 빨아먹으면 배가 참을 수 없이 아프고 얼굴이 누렇게 여위며 죽기도 한다. 이런 데는 논 가운데 있는 마른 진흙 작은 것으로 1덩어리와 죽은 물
고기 작은 것으로 3-4마리를 돼지기름(저지)에 넣고 잘 끓인 다음 ☞4115;파두 10알을 껍질을 버리고 뭉크러지게 갈아서 넣고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10알을 찬 논물로 먹으면 조금 있다가 크고 작은 거머리(☞3503;수韓
)가 다 나온다. 그 다음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3788;황기를 넣어 달여 먹어서 조리하고 보해야 한다[입문].
○ 거머리(☞3503;수질)가 배에 들어갔을 때에 진한 찻물을 많이 마시면 저절로 나온다[종행].
○ 잘못하여 거머리(☞3503;수질)를 삼켰을 때에 꿀을 먹으면 녹아서 물이 된다. 또한 논 가운데 있는 진흙을 앵두알만하게 빚어서 1알을 물에 풀어 먹어도 거머리(☞3503;수질
)가 나온다[회춘].
$
단방(單方)/인후
모두 28가지이다(성연통과 취후산도 들어 있다).
백반(白礬)
목구멍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백반가루 4g과 파두살 1알을 함께 넣고 볶아서 말린 다음 백반가루만 다시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목 안에 불어넣으면 가래가 나오고 저절로 낫는다[직지].
○ 전후풍(纏喉風)에는 백반가루 2g을 살 검은 닭의 알 1개의 흰자위에 고루 타서 쓰는데 목 안에 떠넣으면 곧 낫는다[강목].
(朴硝)
후비증을 치료하는 데 잘 듣는다. 입에 머금고 천천히 물을 빨아먹으면 곧 낫는다. ☞4196;마아초나 ☞4199;염초도 효과가 같다[본초].
○ 목 안이 헐고 부은 것은 ☞4194;박초 4g과 껍질을 버린 아주까리씨(피마자) 1알을 함께 갈아서 깨끗한 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鵬砂)
인후비(咽喉痺)를 치료하는 데 제일 좋은 약이다.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본초].
○ 곡적(穀賊)을 치료하는 데는 ☞4200;붕사와 ☞4196;마아초를 같은 양으로 해서 쓰는데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솜에 싸서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직지].
(升麻)
인후비(咽喉痺)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잘게 썰어서 달여 그 물을 머금고 있는다[본초].
마린근(馬藺根, 타래붓꽃뿌리)
후폐(喉閉)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짓찧어 즙을 내서 조금씩 먹는다. 입을 벌리지 못할 때에는 떠넣어 주어야 한다. 잎이나 씨도 효과가 같다. 씨를 쓸 때에는 49알을 가루를 내어 물에 타 먹
殷잎을 쓸 때에는 80g을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우방자(牛蒡子, 우엉씨)
후비증을 치료한다. 우엉씨 1홉을 절반은 닦고 절반은 생것으로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뜨거운 술에 타 먹는다. 또는 우엉씨 2.4g과 타래붓꽃씨(마린자) 3.2g을 함께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더운물에 타 먹어도
的낫는다[본초].
(桔梗, 도라지)
목구멍이 아픈 것과 후비증을 치료한다. 도라지와 ☞3745;감초를 같은 양으로 해서 물에 달여 조금씩 먹는다.
○ 후비증이 심해져서 뺨까지 붓고 메스꺼운 증상이 자주 생기는 것을 마후비(馬喉痺)라고 한다. 이런 데는 도라지(☞3675;길경) 80g을 썰어서 물 3되에 넣고 1되가 되도록 달여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射干, 범부채)
후폐(喉閉)로 물도 넘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짓찧어 즙을 내서 조금씩 먹는다. 후비증을 낫게 하는 데는 가장 빠르다. 식초에 갈아 즙을 내어 입에 머금고 있어서 가래를 나오게 하면 더 좋다[단심]
.
( 麻子, 아주까리씨)
후비(喉痺)와 목구멍이 붓고 헌 것을 치료한다. 아주까리씨 1알을 껍질을 버리고 ☞4194;박초 4g과 함께 깨끗한 물에 갈아서 먹는데 계속 몇 번 먹으면 낫는다[단심].
○ 또 한 가지 방법은 아주까리씨를 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다음 종이에 말아 참대대롱같이 만들어 불에 태우면서 그 연기를 빨아 삼키게 하는 것인데 후비증을 낫게 한다. 이것을 일명 성연통(聖烟筒)이라고도 한다[
ㅐ互.
(馬勃, 말버섯)
후폐(喉閉)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꿀에 개서 조금씩 물에 타 먹는다[본초].
○ 또는 백반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게사니깃관으로 목 안에 불어넣어도 가래를 토하고 낫는다[강목].
( 莢, 주염열매)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두드려서 껍질과 씨를 버린 다음 물에 넣고 주물러서 1잔을 마시면 혹 토하고 낫거나 토하지 않고도 낫는다[득효].
여어담( 魚膽, 가물치쓸개)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조금씩 아픈 곳에 넣는데 약을 넣자 곧 낫는다. 병이 오래되었으면 물에 타서 떠넣어야 한다. 음력 섣달에 잡은 것이 좋다[본초].
(壁錢, 납거미집)
후비증과 쌍유아(雙乳蛾)를 치료한다. 납거미집 1개를 환자의 뒷머리털 1오리로 얽어맨 다음 은비녀에 꽂아 등불에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내서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회춘].
○ 또 한 가지 방법은 납거미집(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 것), 백반(구운 것), 난발회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목 안에 불어넣는 것인데 후폐증을 낫게 한다. 이것을 일명 취후산(吹喉散)이라고 한다[의감
].
( , 굼벵이)
후비증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목 안에 넣으면 곧 목이 열린다[본초].
(蛇 , 뱀허물)
후폐(喉閉)㈜증을 치료한다. 태워서 가루를 내어 목 안에 불어넣는다.
[註] 후폐(喉閉): 목구멍이 부어 막혀서 숨쉬기 불편한 것.
○ 전후풍(纏喉風)으로 숨을 잘 쉬지 못하는 데는 뱀허물(누렇게 구운 것)과 ☞3834;당귀를 같은 양으로 하여 쓰는데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으면 낫는다[본초].
( 蚓, 지렁이)
후폐증을 치료한다. 즙을 내서 먹으면 목구멍이 열린다[본초].
(白 蠶)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개서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 또는 ☞3454;백강잠(닦은 것)과 백반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소금에 절인 매화열매살(白梅肉)에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 子)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입에 머금고 녹여 먹어도 낫는다[직지].
누고( , 도루래)
목구멍이 막힌 것과 여러 가지 물건이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도루래의 골을 먹으면 낫는다[본초].
(石蟹, 가재)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것을 치료한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으면 목이 열린다[본초].
웅작분(雄雀糞)
목구멍이 막히고 이를 악문 것을 치료한다. 웅작분을 보드랍게 갈아서 한번에 2g씩 더운물에 타 먹는다[본초].
( 子, 달걀)
목구멍이 막힌 것을 열어 주므로 막힌 것을 치료한다. 생달걀 1알을 노른자위는 버리고 흰자위만 쌀초에 넣고 겻불에 뜨겁게 되도록 끓여서 식초까지 먹는데 한두번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호화상비아(瓠花上飛蛾, 박꽃에 날아다니는 나비)
목구멍이 부어서 아프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태워서 가루를 내서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속방].
이즙(梨汁, 배즙)
후비(喉痺)증으로 열(熱)이 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제일 좋은 배를 짓찧어 즙을 내서 자주 마시는 데 많이 쓰는 것이 좋다[정전].
나복즙(蘿蔔汁, 무즙)
후비증으로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천천히 마시면 곧 낫는다[강목].
(飴糖, 엿)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빚어서 넘기는데 그래도 내려가지 않으면 더 크게 빚어서 넘겨도 좋다[본초].
미초(米醋, 쌀초)
목구멍이 헌 것을 아물게 하고 후비증을 낫게 한다. 쌀초로 입을 가셔서 가래를 토하게 하면 좋다[회춘].
(大麥麵, 보릿가루)
전후풍(纏喉風)으로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보릿가루로 죽을 묽게 쑤어 먹는다. 보릿가루죽은 위기(胃氣)를 돕는데 미끄러워서 넘기기도 쉽다[본초].
지마(脂麻, 참깨)
곡적(穀積)을 치료한다. 닦아서 가루를 내어 끓인 물로 조금씩 먹는다[직지].
$
침뜸치료[鍼灸法]/인후
후폐(喉閉) 때에는 소상(少商), 합곡(合谷), 척택(尺澤) 혈(穴)에 침을 놓는다[단심].
○ 후비증은 나쁜 피가 흩어지지 못하여 생긴 것이므로 삼릉침으로 나쁜 피를 빼내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강목].
○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데는 풍부혈(風府穴)에 침을 놓는다. 이 혈은 목 안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과 독기가 심으로 들어간 것 등 목에 생기는 나쁜 증상을 주로 치료하는 데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또한 소상혈에
㎱밗놓아도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이 다 낫는다. 그리고 합곡혈에 침을 놓거나 상성혈(上星穴)에 침을 놓아서 볼에 생긴 부스럼[頰腫]이나 전후풍 등을 치료한다. 또한 족삼리혈(足三里穴)에 침을 놓아도 된다[득효].
○ 후비증 때에는 수소음경(手少陰經)의 혈 즉 신문혈(神門穴)에 침을 놓는다[강목].
○ 후비증 때에는 수족소양경(手足少陽經)의 정혈 즉 관충혈(關衝穴)과 규음혈(竅陰穴)에 침을 놓는다[동원].
○ 후비증과 유아에는 소상(少商), 조해(照海), 태충(太衝) 혈을 쓴다[동원].
○ 목구멍이 막힌 데는 조해혈을 쓴다[영추].
○ 이를 악물고 벌리지 못할 때에는 양령혈(陽靈穴)에 침을 놓아 피를 빼내면 낫는다[득효].
○ 후비증에는 풍륭( 隆), 용천(涌泉), 관충(關衝), 소상(少商), 은백(隱白), 소충(少衝) 혈을 쓴다[강목].
○ 여러 해 된 후비증 때에는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엄지손가락 첫마디에 작은 뜸봉으로 뜸을 2-3장 뜬다[단심].
○ 오랫동안 인후(咽喉)증이 늘 생기는 데는 귀방울에서 약 5푼 정도 아래로 내려가 볼뼈 가까운 곳에 뜸을 7장 뜬다. 14장을 뜨면 더 좋다[득효].
○ 족양명경의 별락[別名]을 풍륭혈( 隆穴)이라고 한다. 이 경맥에 병이 생겨서 기가 거슬러오르기 때문에 후비증이 생겨 갑자기 벙어리가 되었을 때에 이 혈을 쓴다[영추].
$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