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6월 25일 수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레이노이드증후군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은 小動脈과 毛細血管 및 때로는 小靜脈의 間歇的인 攣縮에 의해 發生한다고 생각되는 현상으로 比較的 흔하며, 분명한 先行原因이 발견되지 않으면 레이노병(Raymaud, disease)이라고 부른다. 추위에 노출되거나 情緖的인 不安에 의해 시작되며, 典型的인 境遇에는 손이나 발 끝에 虛血現狀에 起因된다고 생각되는 시린 感覺을 同伴한 疼痛과 蒼白에 이어 靑色症이 뒤따라 오고, 外部條件이 好轉되면 대상성으로 血流가 增加되어 紅色이 되었다가 正常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疾患에서도 甚한 境遇는 凍傷이 쉽게 發生하므로 手指의 壞死가 發生하는 일도 있다.
레이노病은 血管神經機能의 失調에 의해 일어나는 四肢末端의 小動脈痙攣性疾患이다. 突發的으로 四肢末端(主로 手指)이 對稱的으로, 間歇性으로 蒼白하다든가, 치아노제가 된다든가 하는 것이 臨床의 特徵이다. 韓醫學의 雙手靑紫症, 四肢厥寒, 手足厥冷, 四肢麻木, 四肢疼痛 등의 範疇에 該當된다.
本 疾患은 臨床的으로 多見되는 症候이며 이에 對한 東西醫學的 考察을 通해 理解하고자 한다.


II.本 論

洋方的 考察

1.Raynaud's disease

①定 義
프랑스의 내과의사인 레이노(Maurice Raynaud:1834-1881)가 처음으로 記載한 疾患으로, 對稱性 괴저(對稱性壞疽)라고도 한다. 팔다리의 小動脈과 微細動脈이 發作性(paroxysmal) 으로 痙攣하고, 間歇的인 皮膚의 冷感과 靑色症(cyanosis)을 일으키는데, 勁縮이 回復됨에 따라 充血이 생기고 皮膚가 발갛게 되는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을 초래하는 原因不明의 疾患이다. 原因 및 疾患이 밝혀지고 그 結果에 의해 2차적으로 레이노현상이 생기는 境遇를 레이노 症候群(Raynaud's syndrome)이라 한다.
단순한 Raynaud현상이 血管의 器質的 變化 곧, 협착 또는 폐쇄로 바뀔수가 있는데 손가락의 皮膚나 神經의 변성성 변화에 속발한다. 壞疽도 때로 일어난다. Raynaud 病이란 용어는 이런 器質的 變化가 있을 때를 말한다.
②診 斷
추위나 情緖的 자극에 의해 誘發되고, 兩側에 對稱的으로 발생하며, 末梢에 폐쇄성 疾患이 없고, 潰瘍 같은 營養障碍는 적고, 末梢에 국한되어 있으며, 2년 以上 症狀이 지속되는 등의 條件을 만족할 때 診斷될 수 있다.
③原 因
原因은 잘 모르며, 患者의 60-90%가 여자이고, 20-40세에 시작한다. 추위에 노출이 가장 중요한 誘發 要因이다. 또한 情緖的 刺戟에 의해 血管이 一時的으로 收縮을 일으켜 發生하기도 한다.
④症 狀
患者는 추위에 노출시 皮膚色이 蒼白해진 다음 靑色症이 오고 따뜻해지면 빨개지는 3단계 變化를 보인다. 輕症 또는 重症患者의 早期 段階에서는 추위에 노출시 血管 收縮이 오지만 나중에는 血管壁이 두터워지고 血栓이 생겨 血流가 減少된다.
皮膚色은 毛細血管의 緊張度 및 血流와 관계있고 온도는 細動脈의 狀態와 관계가 있다. 蒼白해지는 것은 細動脈의 勁縮에 의하며 毛細血管에 血液이 들어가지 않고 그 결과 저산소증이 초래되고 毛細血管의 緊張度가 消失되어 毛細血管이 擴張된다. 毛細血管에 脫酸素化된 血液의 貯留로 手指가 차갑고 蒼白해지며 無酸素症은 細動脈을 擴張시킨다. 皮膚色은 처음에 검붉게 변했다가 나중엔 充血되어 붉고 약간 腫脹된다.
젊고 마른 여자에서 추위에 노출시나 情緖的 緊張에 의해 誘發된다. 初期에는 손끝, 손가락, 손등으로 퍼지고, 異常感覺, 저린 症狀, 화상성 痛症 등이 나타나며, 發作中에는 知覺이 減少되고 手指의 腫脹이 있다. 甚한 機能 障碍로 약간의 刺戟으로도 症狀이 나타나고 그 결과 여름에도 좋아지지 않고 손끝의 潰瘍이 생겨 甚한 痛症이 同伴된다.
⑤機 轉



















⑥治 療
治療는 輕症에서는 疾病의 經過를 理解시켜서 추위에 노출을 避하고 부드러운 안감이 있는 장갑을 사용하게 하는 등의 一般的 治療로 充分하다. 進行된 境遇는 血管 擴張劑 등의 藥物 治療 및 교감신경 차단 등의 積極的인 治療가 必要하다.

2.Raynaud's phenomenon.
①定 義
이 현상은 根本的으로 小動脈과 細動脈이 寒冷에 노출시 강한 收縮에 의하여 손가락(발가락, 귀, 코도 침범됨)의 痙攣性(spasmodic) 蒼白(pallor)이라 할 수 있다.
②原 因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은 다른 病變에 二次的으로 온 것이며 原因은 많다. 공기 망치 등의 진동성 기구를 사용하는 직업에서 微細 損傷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그외 피아니스트나 타자수, 찬 곳에서 일하는 직업에서도 手指의 冷感과 變色, 痛症을 同伴한 레이노 현상을 나타낸다. 흉곽 증후군이나 수근관 증후군 등의 신경병증, 만성 폐쇄성 血管 疾患, 공피증, 전신 홍반성 낭창, 류마토이드 관절염, 피부 근염, 다발성 근염 등의 全身的인 疾患 등에서도 나타난다.
③症狀 및 診斷.
症狀 및 症候는 레이노 病과 같으며 潰瘍이 있으면 지속적 痛症이 있고, 潰瘍이 없으면 發作時에만 痛症이 있다. 豫候는 原因 疾患과 관계가 있으며 레이노 病과 달리 레이노 현상은 40세 以上의 남자에 많고 주로 偏側性으로 오며 虛血性 病變을 同伴하는 境遇가 많다. 얼음물에 손을 담갔다가 담그기 전 온도로 회복되는 데 20분 이상 걸리면 診斷的 價値가 있다. 潰瘍이 있거나 손을 담그기 전 온도가 20도 이하이면 이 검사는 禁忌이다.
④機 轉


























⑤治 療
治療 原則은 레이노 病과 같으며, 추위와 外傷으로부터 보호하고 담배를 끊고 血管擴張劑를 사용한다. 原因 疾患의 治療가 안되면 계속 進行하므로 함께 治療되어야 한다.
治療는 原因을 除去하고 過敏한 患者에게 확신을 주는 것과 豫防적인 충고가 필요하다. 原因과 관계없이 吸煙은 中止해야 하며 차거운 물체를 다루는 作業은 삼가야 하며 날씨가 추울 때는 恒常 따뜻한 옷을 입고 장갑을 껴야한다. 動脈循環 增加를 위한 治療劑, 즉 니코틴산(nicotinic acid)이나 프리스코린(priscoline) 등이 종종 處方되고 있으나 이들은 단지 순간적인 도움을 줄 뿐이다. 甚한 境遇에는 교감신경 절제술이 必要하기도 하다.
레이너즈 현상은 상완신경총이나 쇄골하동맥의 기계적인 神經, 血管의 壓迫에 의해서도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壓迫은 기형적인 제 1 늑골과 큰경부 늑골(사각근의 수축과 함께 또는 관계없이)에 의해서 發生한다. 動脈에 대한 壓迫은 閉塞과 함게 血栓 塞栓性 疾患을 일으키기도 한다. 경부의 늑골이나 기형적 제 1 늑골의 절단과 함께 쇄골하동맥의 외과적 수술이 요구된다.
만성 폐쇄성 동맥 疾患의 병태는 基本的으로 進行性이므로 完治된다든지 特別한 治療 方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교감신경절 차단법은 결코 특효적 治療 方法은 아니고 治療法의 한가지로서 步行 訓練과 피부의 청결, 外傷 및 추위에 대하여 虛血이 있는 足趾의 보호, 血行 改善制 등의 藥物 療法, 禁煙 등 疾病의 惡化를 막는 일이 중요하다.

3. 진동 신경염(Vibration White Finger)

①定 義
백랍병(白蠟病)이라고 하며 진동공구에 의한 레이노현상을 일켣는다.
②原 因
수작업 그라인더, 자동톱, 및 공기해머 등이 局所 진동을 일으키는 작업이다. 저주파이면서 고진폭 운동의 기계가 가장 위험하다.
③診 斷
폭로 근로자에 대해서는 典型的인 症狀이나 所見이 있는지에 대해 철저히 질문해야 한다. 높은 發病率을 보이는 직업에 대해서는 定期的으로 血管의 變化를 살펴야 한다.
有症狀 근로자인지 與否는 이학적 진찰로 VWF 와 혼동되는 신경학적 疾病이 있는지 확인한다. 血管痙攣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i.얼음물 담그기: 2분간 얼음물에 손을 담그게 한 후 반대편 손이 창백해지는 것을 관찰하거나 담근 손에서 병변 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의 차이를 관찰한다.
ii. 조갑 압력검사: 약 10초간 손톱을 누른 후 정상색으로 돌아오는 것을 본다. 상온에서 시행하여 얼음물에 담근 2분 후에 시행한다.
④症 狀
무거운 기계로 反復的이고 서툰 運動은 완관절, 팔굽관절 및 어깨에 關節周圍炎症을 일으킨다. 이중 가장 심각한 것은 VWF(vibration white finger)라고 불리는 손가락의 血管痙攣症이다. Raynaud증후군과 유사한 이 증후군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이 진동과 추위에 의해 창백해지며 시작된다. 저림과 쑤심 등의 症狀은 초기에 나타날 수 있고 疾病의 主症狀이 되기도 한다. 처음 症狀은 한시간 정도면 減少하는데 작업이 계속되면 정도가 甚해지고 더 많은 손가락에 생기며 障害程度가 甚해진다. 결국 모든 손가락에 생기고 손을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 진동이 있는 작업을 하는 모든 근로자에 생길 수 있고 어떤 작업은 90% 이상에서 發生한다.
⑤豫防과 治療
기계를 다시 디자인하여 진동의 폭을 줄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라인더의 접착부위는 진동이 적은 것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장갑이나 진동을 멈추는 장치 등의 효과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용하는 것이 좋다.
VWF환자는 진동부서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계속적으로 폭로되면 손상정도가 甚해지고 血管의 파괴가 固定되기 때문이다. 진동작업을 계속하고 싶으나 症狀이 있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發作의 頻度나 强度의 增加를 잘 살펴야 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