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6월 21일 토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패스트푸드 영양함량시험

【첨부 1】세트메뉴의 영양함량 시험결과

구분
브랜드
세트메뉴명
구 성 품 목
열량(kcal)
지방(g)
나트륨(㎎)
지방열량









롯데리아
불고기버거세트
불고기버거
감자튀김, 콜라
650
(30%, 33%)
22
(44%)
747
(21%)
198
(30%)
빅립버거세트
빅립버거
감자튀김, 콜라
922
(42%, 46%)
35
(70%)
1,387
(40%)
315
(34%)
맥도날드
불고기버거세트
불고기버거
감자튀김, 콜라
805
(37%, 40%)
27
(54%)
777
(22%)
243
(30%)
특불버거세트
특불고기버거
감자튀김, 콜라
985
(45%, 49%)
34
(68%)
1,044
(30%)
306
(31%)
BBQ
하모니세트
불갈비버거 감자튀김, 콜라
809
(37%, 40%)
30
(60%)
919
(26%)
270
(33%)
영세트
치킨버거,골드휭거
감자튀김, 콜라
890
(40%, 45%)
32
(64%)
1,137
(32%)
288
(32%)
KFC
불고기버거세트
불고기버거
감자튀김, 콜라
779
(35%, 39%)
28
(56%)
790
(23%)
252
(32%)
타워버거세트
치킨타워버거
감자튀김, 콜라
1,065
(48%, 53%)
38
(76%)
1,491
(43%)
342
(32%)
파파이스
불고기버거세트
불고기버거
감자튀김, 콜라
809
(37%, 40%)
25
(50%)
1,188
(34%)
225
(28%)
케이준
통샌드위치세트
케이준통샌드위치
감자튀김, 콜라
1,052
(48%, 53%)
41
(82%)
1,693
(48%)
369
(35%)
버거킹
불고기와퍼
쥬니어세트
불고기와퍼쥬니어
감자튀김, 콜라
830
(38%, 42%)
30
(60%)
707
(20%)
270
(33%)
와퍼세트
와퍼
감자튀김, 콜라
1,053
(48%, 53%)
40
(80%)
1,017
(29%)
360
(34%)
하디스
불고기스타버거세트
불고기스타버거
감자튀김, 콜라
789
(36%, 39%)
27
(54%)
675
(19%)
243
(31%)
빅불고기스타버거세트
빅불고기스타버거
감자튀김, 콜라
999
(45%, 50%)
36
(72%)
939
(27%)
324
(32%)
평 균

888
(40%, 44%)
32
(64%)
1,037
(30%)
288
(32%)







롯데리아
치킨세트
치킨2조각 콘샐러드,감자튀김
732
(33%, 37%)
32
(64%)
1,151
(33%)
288
(39%)
KFC
마이팩
치킨2조각
콘샐러드, 콜라
765
(35% 38%)
25
(50%)
1,215
(35%)
225
(29%)
파파이스
런치세트
치킨2조각, 비스켓
콘샐러드, 콜라
859
(39%, 43%)
26
(52%)
1,240
(35%)
234
(27%)
하디스
치킨세트
치킨2조각, 비스켓
콘샐러드, 콜라
1,007
(46%, 50%)
28
(56%)
1,876
(54%)
252
(25%)
평 균

841
(38%, 42%)
28
(56%)
1,371
(39%)
252
(30%)

주1) 괄호안의 %값은 열량의 경우 “10~12세 남자, 여자의 열량권장량” 대비, 지방과 나트륨은 “영양소 기준치” 대비 비율이며, 지방열량의 경우는 각 메뉴의 “총열량” 대비 지방섭취에서 오는 열량(지방g×9kcal)의 비율임.
주2)

는 열량, 지방, 나트륨의 경우 한끼 기준 영양필요량 초과시, 지방열량의 경우 권장되는 지방열량 섭취비인 20% 초과시 표시함.
주3) 감자튀김과 비스켓에 곁들이는 케첩, 딸기쨈은 분석 제외함.

【첨부 2】패스트푸드의 영양함량 및 섭취실태 조사(요약)

I. 조사개요
1. 조사배경 및 목적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 및 생활습관의 변화 등에 따라 어린이들의 비만이나 소아성인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
※ 2002년 미국에서는 한 햄버거업체가 10대 청소년으로부터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의 과다섭취로 인해 소아비만이 초래됐다며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이 제기된 바 있음.

◦ 한편, 어린이들이 맛이 좋거나 이용하기 편리해서 한끼 식사나 간식으로 선호하는 패스트푸드의 영양함량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고, 아울러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을 앞두고 식중독 세균 오염 등 위생성에 대한 점검이 요구됨.

◦ 이에 패스트푸드의 영양함량, 어린이의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식중독 세균 오염여부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균형된 식생활을 위한 영양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2. 조사내용 및 방법

조 사 내 용
조사방법
◦ 패스트푸드의 열량, 지방, 나트륨 함량
- 7개 업체의 총 18개 세트메뉴
(햄버거세트 14종, 치킨세트 4종)
시험검사
◦ 어린이의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 서울시 초등학교 5, 6학년생 504명
설문조사
◦ 햄버거의 위생성
- 대장균 및 식중독 원인균
시험검사
◦ 패스트푸드의 영양정보 제공실태
실태조사

3. 조사기간 : 2003. 3~5월
II. 패스트푸드의 영양함량 조사

1. 영양함량 분석

◦ 햄버거세트의 경우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은 불고기버거를 중심으로 업체당 2세트씩 총 14종을 선정하고, 치킨세트의 경우에는 1인분량의 세트메뉴를 판매하고 있는 4업체에서 1종씩 총 4종을 선정함.

◦ 분석대상 영양성분은 비만이나 고혈압 등 성인병 유발과 관련있는 인자인 열량, 지방, 나트륨의 함량을 분석하여 이를 영양권장량 또는 영양소기준치와 대비해 평가함.

※ 영양권장량 : 건강한 정상적인 대다수 국민의 영양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전문가들이 합의하여 성별, 연령군별로 설정한 각 필수영양소의 권장섭취수준

※ 영양소기준치 : 소비자가 하루의 식사중 해당식품이 차지하는 영양적 가치를 보다 잘 이해하고 식품간의 영양소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식품표시에서 사용하는 영양소의 평균적인 1일 섭취기준량

가. 열량

◦ 보통 햄버거, 감자튀김, 콜라의 3가지 품목으로 구성된 1인 분량의 햄버거세트의 열량은 최소 650kcal~최대 1,065kcal로서 상기 열량이 “10 ~12세 여자의 1일 열량 권장량(2,000kcal)”중 차지하는 비율은 33 ~53%(평균 44%)이며, 14종중 1종을 제외한 전 세트메뉴가 한끼 권장량(1일 열량 권장량의 1/3)을 넘음.

◦ 보통 치킨 두조각을 기본으로 콘샐러드, 비스켓, 콜라 등으로 구성된 1인 분량의 치킨세트의 열량은 최소 732kcal ~ 최대 1,007kcal로서 “10~12세 여자의 1일 열량권장량” 대비 37~50%(평균 42%)를 차지하여, 조사대상 4종 모두 한끼 권장량을 초과함.
나. 지방

◦ 지방함량은 햄버거세트의 경우 최소 22g~최대 41g으로서 이를 1일 지방 섭취기준량인 영양소기준치 50g과 대비할 때 44~82%를 차지하며, 치킨세트는 최소 25g~최대 32g(영양소기준치 대비 50~64%)을 함유하여 전 품목 모두 한끼 섭취기준량(영양소기준치의 1/3)을 넘음.

◦ 또한, 영양학적 균형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열량중 지방섭취로부터 오는 열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 햄버거세트의 경우 28~35%, 치킨세트의 경우 25~39%로서 전 폼목 모두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지방에너지 구성비인 20%를 초과함.

◦ 따라서, 햄버거세트 14종과 치킨세트 4종의 지방함량은 모두 한끼 섭취기준량과 권장 지방에너지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식용 및 식사용으로 섭취시 모두 지방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음.

다. 나트륨

◦ 햄버거세트의 나트륨 함량은 최저 675mg~최대 1,693mg으로서, 일일 섭취기준량인 영양소기준치 3,500mg과 비교할 경우 19~48%를 차지하며, 14종중 4종이 한끼 섭취기준량을 초과함.

◦ 치킨세트의 경우에는 최저 1,151mg~최대 1,876mg으로서 영양소기준치 대비 33~54%를 차지하며, 4종중 3종이 한끼 섭취기준량을 초과함.

※ 과잉섭취에 따라 비만이나 고혈압 유발이 문제되는 지방과 나트륨의 경우 영양소기준치는 섭취권장량보다는 섭취제한량의 의미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영양소기준치는 평균적인 소비자를 기준으로 하므로 영양소기준치 대비 높은 지방과 나트륨함량은 어린이에게 보다 심각할 수 있음.


<세트메뉴별 1일 영양필요량 대비 영양함량비율>

구 분
열 량*
지 방**
나 트 륨**
지방섭취 열량비***
햄버거세트
14종
33~53%
(평균 44%)
44~82%
(평균 64%)
19~48%
(평균 30%)
28~35%
(평균 32%)
치킨세트
4종
37~50%
(평균 42%)
50~64%
(평균 56%)
33~54%
(평균 39%)
25~39%
(평균 30%)

* 열량은 “10~12세 여자의 1일 열량권장량(2,000kcal)” 대비 비율임.
** 지방과 나트륨은 “영양소기준치(각각 50g, 3,500mg)” 대비 비율임.
*** 지방섭취 열량비는 각 세트의 총열량중 지방섭취에서 오는 열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함(예: 총열량 650kcal, 지방 22g인 세트의 경우 지방섭취에서 오는 열량은 198kcal(22×9kcal)이며, 이것이 총열량중 차지하는 비율은 30%(198/650×100)임).


2. 영양표시 실태

◦ 조사대상 7개 패스트푸드 업체중 6개 업체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2개 업체는 이와 함께 매장 카운터에 팜플렛을 비치하고 있으나 제품포장이나 매장내 게시물과는 달리 일부러 찾아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

- 영양함량 공개 업체중 거의 전제품을 대상으로 표시하고 있는 업체는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버거킹에 불과하며, 나머지 업체는 일부 제품에 표시하고 있음. 표시되고 있는 영양성분은 최소 한가지 성분(열량)부터 최대 13가지 성분까지 다양함(주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며, 그밖에 콜레스테롤, 칼슘, 비타민C 등을 표시).

III. 어린이의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조사
1. 간식 섭취실태


간식 선택시 맛을 중요시하며, ‘햄버거’를 가장 선호


◦ 조사대상 어린이들이 간식을 섭취하는 횟수는 ‘하루에 1회’가 39.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하루에 2회’ 24.2%, ‘하루에 3회’ 6.1%를 차지했으며, ‘거의 먹지 않는 경우’는 29.8%임.

◦ 어린이의 42.5%는 간식을 먹을 때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맛’을 선호하였으며, 그 외 ‘영양가 또는 건강’ 24.8%, ‘위생이나 청결’ 8.3%, ‘가격’ 3.2%, ‘음식의 양’ 2.8% 등으로 나타났고, ‘부모님이 사주시는 대로’ 먹는 경우도 17.6%를 차지함.

◦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간식은 햄버거가 15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과일 146명, 떡볶이‧오뎅 143명, 치킨 137명, 피자 134명, 라면 120명, 아이스크림 113명, 빵 101명, 과자 94명, 떡 69명, 탄산음료 53명, 핫도그 33명, 기타 30명의 순으로서, 햄버거‧치킨‧피자 등 패스트푸드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3개까지 복수응답).

2.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패스트푸드를 좋아하는 이유는 맛있어서


◦ 어린이들이 패스트푸드를 먹는 빈도는 ‘한달에 1~2회’가 42.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달에 1회 미만’은 30.3%, ‘1주일에 1~2회’는 20.2%, ‘2~3일에 1회’는 4.4%이며, ‘거의 매일’ 먹는다고 한 경우도 2.6%를 차지함.

◦ 어린이의 63.1%는 ‘맛이 좋아서’ 패스트푸드를 이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용하기 편리해서’를 꼽은 경우가 24.6%로 두가지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함. 그밖에 ‘가격이 적당해서’ 3.2%, ‘친구와 어울리기 위해’ 2.0%, ‘깨끗하고 위생적이어서’ 1.8% 등의 순이었음.

◦ 또한, 59.3%의 어린이들은 주로 한 끼 ‘식사대용’으로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식사사이의 ‘간식’으로 먹는다고 응답한 경우는 40.7%였음.

주로 ‘햄버거, 감자튀김, 음료’로 구성된 세가지 음식 섭취


◦ 한번 패스트푸드점을 이용할 때 주로 ‘세 가지’의 음식을 먹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47.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두 가지’ 29.8%, ‘네 가지’ 9.9%, ‘한 가지’ 7.5%, ‘다섯가지 이상’ 1.2% 등임.

◦ 주로 섭취하는 패스트푸드 구성은 ‘햄버거+감자튀김+음료’로서 전체의 35.3%를 차지하였으며, ‘햄버거+음료’는 17.5%, ‘치킨+음료’ 6.2%, ‘햄버거+치킨+감자튀김+음료’ 4.8%, ‘햄버거’ 4.2%, ‘햄버거+치킨+음료’ 3.5% 등의 순이었음.

3. 체형에 대한 관심도


남자 어린이의 41.9%, 여자 어린이의 52.0%가 살빼기를 원함


◦ 현재 ‘자신의 체형에 만족한다’는 어린이는 전체의 39.5%를 차지했으며, 현재보다 ‘살이 좀 쪘으면 한다’는 어린이가 13.7%를 차지한 반면, ‘살을 좀 뺐으면 한다’는 어린이는 46.8%(남자 41.9%, 여자 52.0%)를 차지함.

◦ ‘살을 좀 뺐으면 한다’고 응답한 어린이 236명은 그 이유로 ‘건강해지기 위해’가 54.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예뻐보이거나 멋있어보이려고’ 21.2%, ‘친구들에게 놀림받지 않으려고’ 13.1%, ‘부모님이나 선생님 강요에 의해’ 4.7%, ‘이성친구에게 잘 보이려고’ 3.8% 등의 순임.


남자 어린이의 38.0%, 여자 어린이의 48.0%가 다이어트 경험 있음


◦ 전체 어린이의 42.9%(남자 38.0%, 여자 48.0%)가 살빼기 위한 노력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다이어트 방법으로는 남녀 어린이 모두 ‘운동’을 가장 선호하였고(66.2%), 그 다음으로는 ‘기름지거나 단 음식‧인스턴트 음식을 피했다’ 12.9%, ‘식사량을 줄였다’ 11.6%, ‘끼니를 걸렀다’ 5.1% 등의 순이었음.
V. 햄버거의 위생성

◦ 미생물 시험결과 햄버거 14종 전 제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 병원성대장균 O157:H7 및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아 위생상 안전하였음.

◦ 작년 우리 원에서 7개 햄버거업체의 총 21개 매장 제품을 대상으로 위생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일부 매장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것과 비교할 때 위생수준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음.

VI.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열량‧지방이 낮은 메뉴 개발 필요

◦ 조사결과 열량의 경우 햄버거세트 1종을 제외한 전 품목이, 지방함량은 전 품목이, 나트륨 함량은 7종이 한끼 섭취필요량을 초과하였으며, 지방에너지비도 모두 권장되는 에너지비를 초과하여 간식용으로뿐만 아니라 한끼 식사용으로도 고열량, 고지방 섭취 등이 문제될 수 있음.

◦ 각각의 품목을 개별 구입할 때보다 저렴한 가격과 한끼 식사로 충분함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는 세트메뉴는 대체로 많은 양을 먹게 하므로 그만큼 많은 열량, 지방, 나트륨 섭취의 위험성이 있음.

따라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건강‧영양상태에 맞게 음식을 선택‧구성하는 지혜가 필요하며, 업체에서는 열량, 지방, 나트륨 함량을 낮춘 다양한 메뉴와 조리법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

2. 패스트푸드의 영양성분 표시 필요

◦ 어린이들이 간식 가운데 패스트푸드를 가장 선호하며, 열량, 지방, 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품을 많이 섭취할 경우 비만이나 고혈압 등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음을 감안하면 소비자들에게 이를 알려주는 적절한 표시가 필요할 것임.

◦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영양정보도 일부 제품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 제품으로의 표시 확대가 필요하며, 대부분 열량,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등 주요 영양소로만 제한되어 있는 영양성분도 과잉섭취시 해로울 수 있는 나트륨,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트랜스지방까지 확대하여 표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따라서, 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알 권리 등 기본적 권리의 실현을 위해 보다 자발적으로 매장내 게시물이나 제품포장을 통한 영양정보 제공, 대상제품이나 표시 영양성분의 확대 등 영양표시를 활성화시켜 나가야 할 것임.

3. 균형잡힌 식생활 확립을 위한 영양교육 강화 필요

◦ 현대의 어린이들은 비만이나 성인병 발생은 늘어나고 있으나 설문조사결과 나타난 바와 같이 간식을 선택할 때 지나치게 맛을 추구하고 있는 등 영양학적 지식이나 관심도는 매우 낮은 실태임.

◦ 또한 젊은 여성뿐만 아니라 왕성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까지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추구와 잘못된 영양상식으로 인해 단식과 같은 무리한 체중감량은 또 다른 건강상 위협이 될 수 있음.

따라서 평생동안의 적절한 건강영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올바른 식습관과 생활습관 형성을 위해 가정 및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임.

아울러 과거에 비해 섭취하는 열량은 증가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감소하는 현상은 비만 발생의 한가지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학령기 어린이의 충분한 운동량 확보 및 운동의 효과 등에 대한 교육이 어느때보다 절실하다고 판단됨.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