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9일 수요일

하이든의 교향곡 고별과 튼살과의 이별

하이든의 교향곡 고별과 튼살과의 이별


하이든의 교향곡 45F#단조 '고별Farewell'은 청중을 당황하게 만드는 곡이다. 4악장에서 연주자들이 하나 둘씩 퇴장을 하기 때문이다
제목의 느낌을 살려 이별을 암시하려는 하이든의 재치였을까? 이 곡에는 재미있는 탄생 배경이 숨어 있다.
'고별은 하이든이 에스테르하지 가의 악장으로 있을 때 작곡한 곡이다. 당시 에스테르하지 후작은 호화로운 거성을 짓고 연일 연주회를 열었는데, 이 때문에 단원들은 오랫동안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했다.
하지만 여름이 되어도 후작이 휴가를 보내줄 기미를 보이지 않자 단원들은 하이든에게 요청을 좀 드려달라고 부탁했다. 단원들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무턱대고 휴가를 보내달라고 말하면 후작의 노여움을 살 수 도 있었기 때문에 하이든은 고민에 빠졌다.
어느 날, 하이든과 단원들은 다른 때와 마찬가지로 교향곡을 연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 악장에 이르렀을때 다른 교향곡에서처럼 힘차게 마무리하지 않고 오히려 느리게 연주하면서 연주를 마친 단원들이 하나 둘씩 무대에서 촛불을 끄며 퇴장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 무대에는 두 대의 바이올린만 처량하게 남게 되었다. 휴가를 보내달라는 애절한 단원들의 호소를 재치 있게 노래에 담아 전한 것이다. 다행히 후작은 이 곡을 듣고 나서 그들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휴가를 보내주었다고 한다. 하이든의 재치와 유머러스하고 따뜻한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일화이다.
이야기가 살아 있는 클래식 상식백과, 이헌석 이정현 지음, 돋을새김, 페이지 40-41
 
하이든은 넛지로 휴가라는 달콤한 휴식을 얻어냈다.
넛지(nudge)’는 원래 ‘(특히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주의를 환기시키다라는 뜻의 영단어로 미국 시카고대의 행동경제학자 리처드 탈러(Richard H. Thaler)와 법률가 캐스 선스타인(Cass R. Sunstein)이 공저한 넛지(Nudge)란 책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탈러와 선스타인은 책에서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이란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했다. 금지와 명령이 아닌 팔꿈치로 옆구리를 툭 치는 듯한 부드러운 권유로 타인의 바른 선택을 돕는 것이 넛지인 것이다.(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
질병도 사람이 가지고 동반해 살아가야 하는 동반자도 될수 있지만 고별이라는 이별을 할 필요도 있다.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평생 같이 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중에 휴가처럼 평생 이별이 필요한 튼살이란 질병이 존재한다. 요즘에는 離婚이혼보다 혼인을 졸업한 卒婚졸혼이란 말을 쓰는데 정상피부로 복구해야 하는 피부인 딱 튼살이 거기에 해당한다.
튼살 치료를 위해 카카오톡 010-8632-6138 5image, 02-8432-0075 www.jahyangmi.co.kr 201744일 이후에강남역 8번출구에 있는 자향미 한의원을 방문해주기 바란다. "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