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6월 13일 금요일

신촌 이미지 한의원 02-336-7100 척추와 사지의 검진

1장 어깨관절 검진

1. Yergason test

상완 이두근 장두의 안정성 검사로, 환자는 elbow 90°를 유지한 상태에서

검사자는 팔굽과 손목을 각각 잡고, 환자의 팔을 외회전 하면서 동시에

팔꿈치를 아래로 당겨내린다. 이때 운동에 따른 안정성 유무를 확인할수 있다.

2. drop arm test

rotator cuff tearing 유무를 판별하는 검사로 환자는 shoulder 90°abduction

시킨뒤 천천히 팔을 아래로 내리도록 했을때 손상시 팔이 몸 옆으로 뚝 떨어지게

된다.

3. apprehension test

견관절 탈구에 대한 불안검사로, 환자는 shoulder abduction external rotation

상태로 유지 했을때 motion 증가에 따른 불안 및 pain 호소를 확인한다.



2장 주관절 검진

1. ligament stability test

내․외측 측부인대 안정성 검사로 환자는 주관절을 약간 구부린 자세에서

검사자는 한손을 elbow 뒷면을 감싸고, 한손은 손목을 감싼뒤. 서로 반대힘

을 가한다. 이때 각각의 통증유무에 따른 측부인대의 안정을 판별한다.

2. Tinel sign

신경 내의 신경종위에 압통을 유발하는 검사로, 만일 ulnar nerve 신경종이

있다면 주와 내측상과 사이의 오목한곳을 자극시 신경지배영역까지

tingling sensation을 호소하게 된다.

3. Tennis elow test

팔꿈치 통증 재현검사로, 환자는 전완을 고정, 주먹을 쥔채 손목을 배굴

시킨다. 이때 검사자는 손목배굴 반대방향으로 저항을 주게되면 외측상과의

압통을 호소하게 된다.


제 3장 손목,손 검진

1. 손가락의 장굴곡근 검사

①얕은 지굴근(flexer digitorum superficialis)의 검사

검사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제외하고, 나머지 손가락을 신전상태로

붙잡고 문제 손가락을 근위 지절관절에서 굴곡 검사를 할때, 굴곡 유무에

따라 근육의 정상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②깊은 지굴근(flexer digitorum profundus)의 검사

검사 하고자 하는 손가락의 중수지절관절 및 근위지절관절을 고정한뒤,

원위 지절관절을 굴곡할때, 굴곡 유무에 따라 근육의 정상유무를 판별한다.

2. Bunnel-Little 검사

손의 내재근 (충양근,골간근) 단축 검사로, 원위 지절간 관절의 굴곡제한이

내재근 단축 때문인지 관절낭 구축 때문인지를 결정하는 검사로 중수지절관절

을 신전한 상태에서 근위 지절간 관절을 굴곡 시켰을때 동작의 유무에 따라

근육의 정상유무를 판별한다.

이때 제한시 위의 두경우로 판별하게 되는데 중수지절관절을 약간 굴곡 시킨뒤에

근위 지절간 관절을 굴곡 하는데 굴곡이 가능하면 내재근 단축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관절낭 구축으로 판별하게 된다.

3. 지대 인대 검사(retinacular test)

원위 지절간 관절의 굴곡 제한이 지대 인대의 단축으로 인한 것인지 관절낭 구축

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는데 제한시 근위 지절간 관절을 약간 굴곡 시킨뒤에

원위 지절간 관절을 굴곡 하는데 굴곡이 가능하면 지대인대의 단축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관절낭 구축으로 판별하게 된다.

4. Allen 검사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이 충분하게 손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는지 유무를 진단

하기 위한 검사로 검사자에 주먹을 여러번 쥐게 한뒤 마지막에는 주먹을 꽉

쥐고 손목을 압박한뒤 풀어주게 될때 즉시 손가락이 붉어지게 되면 정상으로

판별한다.

제 4장 경추와 측두하악 관절 검진

1. 견인 검사(distraction test)

경추 견인으로 인한 동통의 경감을 입증하는 것으로 견인에 따라 관절주위

관절낭 압력은 견인에 의해 감소되는데 검사자는 한손을 환자의 턱밑에 받치고,

다른 한손은 후두부를 받친다.

2. 압박 검사(compression test)

환자는 앉은 자세 또는 누운자세를 취하게 한뒤 머리 압박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것으로 추간공의 협착, 추간 관절의 압력 증가, 근 경축의 원인으로

동통이 증가될수 있다.

3. Valsalva 검사

환자의 주관적 검사로 환자는 숨을 들이쉬고 아랫배에 힘을 주도록 한다.

이때 동통의 증가는 척수내압의 증가로 추간판 탈출증이나 종양과 같은

질병을 나타내고 동통은 경추 병변의 신경학적 레벨에 일치하는 피절분포에

따라 방사된다.

4. 연하 검사(swallowing test)

연하통은 뼈의 돌출, 뼈의 골돌기체와 같은 경추 자체의 병변, 경추 전반부의

혈종, 감염, 종창등의 윈인이 된다.

5. Adson 검사

압박된 쇄골하 동맥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요골동맥의 맥을

잡아가며 환자는 견관절을 외전,신전, 외선 시킨뒤 머리를 검사측으로 돌리게

한후 숨을 들이쉬게 한다.

만일 쇄골하 동맥이 압박되어 있다면 맥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뛰지 않는 것을

느끼게 된다.

6. Chvostek 검사

제 7뇌신경인 안면신경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교근이 덮여있는 이하선을

두드릴때 혈액내 칼슘치가 저하되면 안면근은 연축이 일어나며 수축하게 된다.


5장 고관절 검사

1. Thomas Test

고관절의 굴곡 구축의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힌다.

2) 환자의 한 쪽 다리 고관절을 굴곡시킨다.

3) 검사자는 환자의 허리 밑에 손을 넣어 요추 전만이 편평하게 되었나 확인한다.

4) 굴곡시킨 다리를 신전시키면서 환자의 요추 전만이 증가되거나 상체가 굴곡되면 고관절 구축이 있는 것이다.

2. Trendelenburg test

중둔근(Gluteus medius)의 근력약화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앞에 세운 후 검사자는 환자의 뒤쪽에 선다.

2) 환자에게 한쪽 다리를 들게 한다.

3) 이 때 검사자는 환자의 골반이 한 쪽으로 기울지 않나 검사한다.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반대편 중둔근의 약화가 있는 것이다.

3. True leg length discrepancy

실제 다리 길이의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한 검사

1) 전상장골극(ASIS)과 족관절 내과(Med. malleolus)까지의 길이를 측정한다.

4. Apparent leg length discrepancy

외견상 다리 길이의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한 검사

1) 배꼽부터 족관절 내과까지의 길이를 측정한다.

4. Ober test

장경인대(Iliotibial band)의 구축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검사하고자 하는 다리가 위로 오도록 옆으로 눕힌다.

2) 환측 다리를 슬관절 90°굴곡하고 고관절을 30°정도 굴곡시킨다.

3) 환측 고관절을 최대한 외전시켜 검사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받쳐준다.

4) 환자에게 힘을 빼라고 말한 후 받쳐주었던 환측다리를 놓아주었을 때 다리가 떨어지면 정상 그대로 떨어지지 않고 있으면 장경인대의 구축이다.

5. Ortolani click test

선천성 고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측 고관절을 외회전시키며 외전시켜 정복시킬 때 대퇴골두(femur head)가 관골구 개연(acetabulum rim)과 충돌하면서 클릭소리가 들린다.

6. Telescoping 현상

선천성 고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를 알기 위한 검사

1) 한 손으로 슬관절을 잡으며 대퇴골을 잡아당긴다.

2) 반대쪽 손으로 골반을 고정하고 엄지손가락을 대전자(greater trochanter)위에 놓는다.

3) 대퇴골을 잡았다 놓는 것을 반복할 때, 대전자가 비정상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면 선천성 고관절 탈구(CDH)이다.

7. Adduction Contracture(내전 구축)

선천성 고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를 알기 위한 검사

1) 고관절을 90°굴곡해서 외전시킨다.

2) 선천성 고관절 탈구(CDH)이면 외전이 20°이하로 제한된다.


6장 슬관절 검사

1. Valgus stress

내측측부인대(Lat. Collateral Lig.)의 안정성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검사자의 한 손은 환자 슬관절 외측에 대고 다른 손은 발목 내측에 댄다.

2) 슬관절 쪽에는 내측방향으로, 발목쪽은 외측방향으로 힘을 준다.

3) 슬관절 내측에 관절선에 틈이 생기는 지 관찰하거나 촉진하여 틈이 벌어지거나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내측측부인대에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2. Varus stress

외측측부인대(Lat. Collateral Lig.)의 안정성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검사자의 한 손은 환자 슬관절 내측에 대고 다른 손은 발목외측에 댄다.

2) 슬관절 쪽에는 외측방향으로, 발목 쪽은 내측방향으로 힘을 준다.

3) 슬관절 외측에 관절선에 틈이 생기는 지 관찰하거나 촉진하여 틈이 벌어지거나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외측측부인대에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3. Anterior draw sign

전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의 안정성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진찰대 위에 슬관절 90°굴곡한 채로 Supine position으로 눕힌다.

2) 검사자는 두 손으로 환자의 무릎 바로 아래 부분을 잡고 앞으로 잡아당긴다.

3) 경골이 앞으로 미끄러져 나오거나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전십자인대의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3. Posterior draw sign

후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의 안정성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진찰대 위에 슬관절 90°굴곡한 채로 Supine position으로 눕힌다.

2) 검사자는 두 손으로 환자의 무릎 바로 아래 부분을 잡고 뒤로 민다.

3) 경골이 뒤로 미끄러져 나오거나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후십자인대의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4. McMurray test

후부 반월판 단열(Posterior meniscal tear)의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supine position으로 눕힌다.

2) 검사하고자 하는 쪽을 한 손은 발목을 다른 한 손은 무릎을 잡는다.

3) 슬관절에 외반힘(Valgus stress)을 가하면서 하퇴를 외회전시키며 천천히 신전시킨다.

4) 클릭 소리를 듣거나 느끼면 내측반월판의 후방 1/2되는 곳의 단열을 의심할 수 있다.

5. Apley's compression & distraction test

반월판 단열의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Prone 자세로 눕힌 후 검사하고자 하는 무릎을 90°굴곡시킨다.

2) 검사자는 환자의 발목을 양손으로 잡고 하퇴를 대퇴쪽으로 압박을 가하면서 하퇴를 외회전 및 내회전 시킨다.

3) 통증이 양성으로 나오면 이번에는 위로 잡아당기면서 하퇴를 내회전 및 외회전 시킨다.

4) 이 때도 통증이 양성이면 측부인대의 문제이고 잡아당길 때는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반월판 연골의 단열을 의심할 수 있다.

6. Bounce home test

관절낭 내의 부종으로 인해 슬관절 완전신전이 불가능한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히고 검사자는 손바닥으로 환자의 뒤꿈치를 감싸쥔다.

2) 환자의 무릎을 완전히 굴곡시킨다.

3) 수동적으로 무릎을 신전시키면서 완전 신전되는지 되 튀기는지를 검사한다.

4) 슬관절을 충분히 신전하지 못하고 신전에 대하여 탄력 있는 저항을 나타내면 반월판 단열이나 어떤 다른 장애가 있는 것이며 Bounce home motion은 일어나지 않는다.

7. Patellar femoral grinding test

대퇴골 활차절흔(trochlear groove of the femur)과 슬개골의 관절면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히고 양쪽 다리는 중립위에서 이완시킨다.

2) 슬개골을 활차절흔에서 원위부로 누르면서 대퇴사두근에 힘을 주라고 한다.

3) 검사자는 손가락으로 슬개골의 움직임에 따라 저항을 주면서 만져본다.

4) 관절면이 고르지 못하면 염발음을 느끼게 된다.

8. Apprehension test for patellar dislocation and subluxation(슬개골 탈구와 아탈구의 불안 테스트)

슬개골의 외측 탈구가 되려는 경향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히고 양쪽 다리를 신전시키고 힘을 빼라고 한다.

2) 슬개골의 내측연 외측방향으로 밀면서 환자의 얼굴을 관찰한다.

3) 슬개골이 외측으로 탈구되려고 하면 환자의 얼굴표정은 불안할 것이다.

9. Tinel sign

신경절단단(end of nerve cut)의 신경종(neuromata)을 두드려서 재생신경말초에 자극을 유발하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히고 경골조면의 내측부를 두드리거나 압박한다.

2) 복재신경(saphenous nerve)의 슬개골하지(infrapatellar branch)의 절단된 신경 끝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 슬관절 수술시 특히 내측 반월판을 제거할 때 이 신경이 절단되는 일이 많다.


7장 족관절과 발의 검사

1. Test for rigid or supple flat feet(편평족의 교정 가부 감별 검사)

교정이 가능한 편평족인지 아닌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가 발끝으로 서있을 때와 앉았을 때 환자의 발을 관찰한다.

2) 서있을 때나 발끝으로 서 있을 때, 앉아있을 때 모두 내측종아취(medial longitudinal arch)가 소실되어 있다면 교정 불가능한 편평족이다.

3) 서있을 때는 내측종아취가 소실되어 있으나, 발끝으로 서거나 또는 앉아 있을 때 아취가 생기면 교정 가능한 편평족이다.

2. Tibial torsion test

경골의 내측 염전(internal tibial torsion)의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경골의 근위부와 족관절의 양쪽과를 연결한 선

2) 경골조면과 족관절까지의 수직선

3) 정상에서는 2)의 선으로부터 1)의 선은 15°외회전 되어 있다.

4) 안짱다리(toe in)는 이 각이 없거나 내회전 되어 있다.

3. Forefoot adduction correction test(내전족 교정 검사)

소아의 전족부 내전(forefoot adduction)의 교정 필요한 지 아닌지를 알기 위한 검사

1) 도수적으로 중립위 이상으로 전족부를 외전할 수 있다면 자연적으로 교정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받을 필요가 없다.

2) 중립위 이하로 밖에 교정이 되지 않는다면 석고붕대 등에 의한 교정이 필요하다.

4. Ankle dorsiflexion test(족관절 배측 굴곡 검사)

족관절 배측굴곡이 제한이 있을 때 Gastrocnemius의 문제인지 Soleus의 문제인지를 알기 위한 검사

1)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족관절을 배측굴곡 시킨다.

2) 배측굴곡 제한이 있다면 슬관절을 굴곡시킨다.

3) 슬관절을 굴곡시킨 후 족관절 배측굴곡이 가능하다면 Gastrocnemius의 단축이 원인이다.

* Gastrocnemius는 2 joint muscle이고 Soleus는 1 joint muscle이기 때문에

5. Homan's sign

심부혈전성 정맥염(Deep Vein Thrombophlebitis)의 유무를 알기 위한 검사

1) 슬관절을 신전하고 족관절을 강하게 배측굴곡을 시켰을 때

2) 종아리의 강한 통증이 일어나면 이 검사의 양성을 나타낸다.

3) 종아리 근육을 깊이 누를 때 압통이 심하면 DVT가 더 분명해진다.


8장 요추 검사

※ 신경학적 검사

1. 신경학적 레벨 T12, L1, L2, L3

1) 고유 반사는 없다.

2) 근육검사 - 장요근(Iliopsoas) T12, L1, L2, L3

3) 감각검사 - 서혜인대(Inguinal ligament)와 슬관절 사이의 대퇴전면부

L1 - 서혜인대의 바로 밑에서 대퇴상부 전면

L2 - 대퇴 중앙 전면의 L1과 L2의 피부절 사이

L3 - 슬개골 바로 위에서 대퇴 전면

2. 신경학적 레벨 L2, L3, L4

1) 고유검사 - 슬개건 반사(Patellar reflex) => L4

2) 근육검사

① 대퇴사두근(Quadriceps) L2, L3, L4 대퇴신경(Femoral n.)

② 고관절 내전근(Hip adductor group) L2, L3, L4 폐쇄신경(Obturator n.)

3. 신경학적 레벨 L4

1) 고유검사 - 슬개건 반사(Patellar reflex) => L4

2) 근육검사 -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L4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

3) 감각검사 - L4 하퇴내측

4. 신경학적 레벨 L5

1) 고유검사는 없다.

2) 근육검사

① 장모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L5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

② 중둔근(Gluteus medius) L5 상둔신경(Superior gluteal n.)

③ 장지신근과 단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 brevis) L5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

3) 감각검사 - L5 하퇴 외측과 발등

5. 신경학적 레벨 S1

1) 고유검사 - 아킬레스건 반사(Achilles tendon reflex) => S1

2) 근육검사

① 장비골근과 단비골근(Peroneus longus & brevis) S1 천비골신경(Superficial peroneal n.)

② 비복근과 가자미근(Gastrocnemius & Soleus) S1, S2 경골신경(Tibial n.)

③ 대둔근(Gluteus maximus) S1 하둔신경(Inferior gluteal n.)

3) 감각검사 - S1 외과(Lat. malleolus)와 발의 외측면과 발바닥

6. 신경학적 레벨 S2, S3, S4

1) 고유검사는 없다.

2) 근육검사 - 방광조절

3) 감각검사 - 항문주위의 3개의 동심원으로 가장안쪽 S4 S5, 가운데 S3, 바깥원 S4


※ 표재 반사(Superficial reflex)

이 반사가 나타나지 않으면 상위 운동신경원의 병변이 있음을 나타낸다.

1. 표재성 복부근 검사(Superficial abdominal reflex)

1) 환자를 바로 눕힌 다음 복부를 4등분해서 한 부분을 긁어서 배꼽이 긁은 쪽으로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2) 복부근 반사의 소실은 상위 운동신경원의 병변을 나타낸다.

2. 표재성 거고근 반사(Superficial cremasteric reflex)

1) 대퇴상부의 내측면을 긁어서 동측의 음낭이 위로 당겨지는지 관찰한다.

2) 양쪽 모두 반사 소실이면 상위 운동신경원의 병변을 한 쪽만 소실이면 하위 운동신경원의 병변을 나타낸다.

3. 표재성 항문 반사(Superficial anal reflex)

항문주위의 피부를 자극하여 외괄약근과 항문괄약근이 수축하는지 관찰한다.


※ 병적 반사(Pathologic reflex)

이 반사가 나타나면 상위 운동신경원의 병변이 있음을 나타낸다.

1. Babinski test

1) 발바닥의 종골부 위에서 외측면을 따라 전족부를 향하여 자극한다.

2) 음성반응은 발가락이 전혀 움직이지 않거나 동시에 모든 발가락이 구부러진다.

3) 양성반응은 엄지발가락은 신전되고 다른 발가락은 족저 굴곡되고 벌어진다.

2. Oppenheim test

1) 손톱으로 경골능을 따라 무릎 위를 향하여 긁어 본다.

2) 아무 반응이 없거나 통증만을 호소하면 정상이다.

3) 양성반응은 Babinski test 양상과 같게 나타난다.


※ 특수 검사(Special test)

1. SLR test

허리와 하지의 통증의 대한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검사대위에 바로 눕히고 슬관절 신전상태에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들어올린다.

2) 정상은 80°정도이다.

3) 이 검사의 양성이 좌골 신경의 문제인지 Hamstring의 단축 문제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2. Hoover test

환자가 다리를 들 수 없다고 할 때 꾀병으로 그러는 것인지 아닌지를 알기 위한 검사

1) 바로 누운 자세에서 환자에게 환측다리를 들라고 한다.

2) 이 때 검사자는 반대쪽 하지의 종골을 감싸쥔다.

3) 만약 환자가 정말로 환측다리를 들려고 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반대쪽 다리에 압력이 가해지나 환자가 꾀병이라면 아무런 느낌이 없을 것이다.

3. Kernig test

척수를 신장시키고 통증을 재현하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힌 후 양손을 머리 뒤로 깍지를 끼게 한다.

2) 깍지 낀 상태에서 머리를 가슴쪽으로 힘차게 구부리게 한다.

3) 환자가 경추나 허리, 하퇴에 통증을 호소하면 뇌막자극증상, 신경근의 손상, 신경근을 감싸는 경막자극증상을 나타낸다.

4. Milgram test

척수 내압 상승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게 한 다음 양쪽 다리를 신전한 채로 5cm 정도 들어올리게 한다.

2) 이 자세로 유지하면 장요근과 전복부근을 긴장시키고 척수 내압을 상승시킨다.

3) 30초가 유지하면 정상, 통증을 호소하거나 시간이 짧다면 경막 병변이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수막 자체에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를 의심할 수 있다.

5. Naphziger test

척수 내압 상승 검사

1) 환자의 얼굴이 붉어질 때까지 약 10초 동안 경정맥을 가볍게 누른다.

2) 그런 다음 환자에게 기침을 하게 한다.

3) 환자가 기침을 할 때 통증을 일으킨다면 수막에 병적인 압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6. Valsalva test

척수 내압 상승 검사

1) 환자에게 대변을 볼 때처럼 아랫배에 힘을 주게 한다.

2) 허리나 다리 아래쪽으로 방사통(radiation pain)이 있을 때는 수막에 병적이 압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7. Pelvic rock test(골반의 불안정 검사)

천장관절(Sacro iliac joint)의 불안정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게 하고 검사자는 양손을 환자의 장골능 위에 놓는다.

2) 엄지손가락은 전상장골극(ASIS) 위에 손바닥은 환자의 장골 결절(Iliac tubercle) 위에 놓는다.

3) 그 다음 신체의 정중선 쪽을 향하여 골반을 강하게 내측으로 압박한다.

4) 환자가 천장관절 주위에서 통증을 호소하면 천장관절의 병변을 의미한다.

8. Gaenslen test

천장관절(Sacro iliac joint)의 불안정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게 하고 양쪽 다리를 잡아당겨 가슴까지 닿게 한다.

2) 진찰대 가장자리에 검사쪽 엉덩이를 반쯤 걸치게 하고 반대쪽은 진찰대 위에 그대로 있게 한다.

3) 검사쪽의 반쯤 걸친 다리를 진찰대 아래로 늘어뜨리게 하고 반대쪽 다리는 그대로 유지한다.

4) 환자가 천장관절 쪽에 통증을 호소하면 천장관절의 병변을 의미한다.

9. Patrick test 또는 Fabere test

천장관절(Sacro iliac joint)의 불안정 여부와 고관절에 대한 병변을 알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게 한 다음 환측 발을 반대편 건측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2) 환측 고관절을 굴곡, 외전, 외회전 시켜서 발목이 건측 무릎위까지 가게 한다.

3) 검사자는 한 손으로는 건측 전상장골극을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검사쪽 굴곡된 무릎을 잡는다.

4) 두 지점의 양쪽을 하방으로 벌리는 힘을 가한다.

5) 환자가 천장관절 쪽에 통증을 호소하면 천장관절의 병변을 의미한다.

10. Beevor's sign

복직근(Abdominal muscles)과 부척추근(Paraspinal muscles)의 신경분절 지배를 조사하기 위한 검사

1) 환자를 바로 눕힌 후 팔짱을 끼게 하고 상채를 1/4 정도 일으켜 세운다.

2) 환자가 이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환자의 배꼽을 관찰한다.

3) 배꼽은 근력이 강한쪽으로 움직이거나 근력이 약한 쪽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4) 소아마비나 척수 수막류(Menigomyelocele)가 있는 환자에게 주로 양성으로 나타난다.

댓글 없음: